$\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기 청소년의 인간애와 친구관계에서 적응유연성과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Empathy on the Relation between Humanity and Friendship of the Early Adolesc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297 - 305  

우주영 (나사렛대학교 재활치료학부) ,  박민 (나사렛대학교 재활치료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인간애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적응유연성과 공감능력이 매개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C 및 B 지역에 재학 중인 초등 5~6학년, 중등 1~2학년을 대상으로 332부를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그 결과는 첫째, 인간애는 적응유연성, 공감능력, 친구관계의 모든 변인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적응유연성은 친구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공감능력은 친구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인간애는 적응유연성을 부분 매개하여 친구관계에 영향을 주었으나, 공감능력은 매개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적응유연성과 공감능력 중에서 적응유연성이 공감능력보다 인간애와 친구관계를 더 잘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매개변인의 성차는 공감능력에서 남녀 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적응유연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청소년의 인간애가 높은 청소년일수록 친구관계에 더욱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며 또한 인간애가 높을수록 적응유연성이 높아 친구관계가 좋아지는 간접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는데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ilience and empathy on the relation between humanity and friendship of the early adolescen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ubjects were total 332 students of the 5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1st and 2nd grade in junior school. The ...

Keyword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친구관계에 영향을 주는 여러 변인 간에 대한 개별적 연구들은 많이 이루어졌으나, 그 변인들 간의 상호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확인해보려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인간 애, 친구관계, 적응유연성 및 공감능력의 측정 변인들 간의 구조 모델을 검증하고 매개변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부가적으로 공감능력과 적응유연성의 매개변인에서 성별을 통제변인으로 두었을 때 친구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인간 애, 친구관계, 적응유연성 및 공감능력의 측정 변인들 간의 구조 모델을 검증하고 매개변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부가적으로 공감능력과 적응유연성의 매개변인에서 성별을 통제변인으로 두었을 때 친구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아래에 연구문제를 기술하였고 Fig.
  • 본 연구에서는 초기 청소년의 인간애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적응유연성과 공감능력이 매개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고 선행 연구결과들과의 비교를 통해 논의를 해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다른 한편으로,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벗어나서 아직 성인기에는 이르지 못한 발달 단계로서 학업부진, 학교폭력 및 비행, 게임중독 등과 같은 다양한 심리적 부적응을 보이기도 한다[3]. 한 예로서, 또래 친구들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청소년들이 친구들과의 교제를 위해 스마트폰에 많이 의존하는데, 과도한 스마트폰의 사용이 오히려 친구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4].
성격강점이란? 그 한 가지가 성격강점 (character strengths)이다. 성격강점이란 긍정적인 특질로서 개인의 사고, 정서, 및 행동에 반영되는 것을 가리킨다[7]. 이 성격강점은 청소년이 성공적으로 전 생애 발달을 해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8], 청소년의 기질적 취약성을 성격강점들이 보완하여 부적응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3].
적응 유연성이 높은 청소년의 특징은 무엇인가? 청소년기에는 가족 등의 보호 요인으로부터 벗어나 주변 환경의 여러 가지 위험 요인들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런 위험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는 적응유연성이 필요하다. 또한 적응유연성이 높은 청소년은 학교 적응력이 높아 다른 친구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적응 유연성 개념의 특성상 적응유연성에 대한 연구는 빈곤가 정, 조손가정, 이혼가정, 소년소녀가정 등의 다양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행되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J. M. Choe & M. L. Kim. (2003). The study of adolescents' friendships gener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0(3), 373-394. UCI : G704-000387.2003.10.3.016 

  2. Y. J. Han, & S. H. Kim. (2015). The mediating effect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 between empathy and friendship of the early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12), 471-491. UCI : G704-000387.2015.22.12.030 

  3. S. S. Ha. (2015). The moderating effect of adolescent character strength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mal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6), 1-32. UCI : G704-000387.2015.22.6.006 

  4. J. H. Keum, D. S. Kim & S. I. Jeong. (2016).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mputer use hours, smart phone dependency, pornography addiction, learning activities, and peer relationship of male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4), 219-241. UCI : G704-000387.2016.23.4.020 

  5. D. D. Hahn & I. J. Gil. (2016). A surve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riend relations and their development across upper grade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9(4), 257-280. UCI : G704-000649.2016.29.4.003 

  6. C. Wenar & P. Kerig. (2006).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5nd Ed.)Boston: McGraw-Hill. DOI:10.1002/9781119125556.devpsy113 

  7. N. Park, C. Peterson & M. E. P. Seligman. (2004).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5), 603-619. DOI: 10.1521/jscp.23.5.603.50748 

  8. S. M. Cheon. (2014). Character strengths for adolescents and life satisfaction: Mediating roles of self-esteem.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1(2), 251-271. UCI : G704-SER000009521.2014.21.2.002 

  9. E. Toner, N. Haslam, J. Robinson & P. Williams. (2012). Character strengths and wellbeing in adolescence: Structure and correlates of the Val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 for Childre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2(5), 637-642. DOI : 10.1016/j.paid.2011.12.014 

  10. C. Peterson, & M. E. P. Seligman.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DOI: 10.1176/appi.ajp.162.4.820-a 

  11. M. S. Kim, S. H. Park, & J. Y. Kim.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orientations to happiness in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5(1), 53-71. 

  12. Y. H. Chang, K. J. Kim & J. S. Lee.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haracter strengths(humanity), self-control, and altruistic behavior in the times of convergence: The mediating effect of moral elev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9), 445-452. DOI : 10.14400/JDC.2015.13.9.445 

  13. S. H. Kang & S. J. Chang. (2013). The mediating effect of character strength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s and subjective well-being: Focused on community child center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4(4), 2395-2416. DOI : 10.15703/kjc.14.4.201308.2395 

  14. J. R. Gang, M. S. An & Y. G. Park. (2014).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on the relationship of temperament and parental attitude to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10), 147-165. UCI : G704-000387.2014.21.10.015 

  15. S. S. Lim. (2013).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model of resilience and positive development of adolescents.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10(2), 1-26. UCI : G704-002141.2013.10.2.001 

  16. A. S. Masten.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3), 227-238. DOI : 10.1037/0003-066X.56.3.227 

  17. S. K. Kang & W. H. Baek. (2006).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resilience.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8(2), 49-68. UCI : G704-002137.2006.8.2.002 

  18. K. S. Jung. (2011).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resiliency and well-being.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0, 103-121. UCI : G704-SER000009000.2011.20..007 

  19. J. Decety & P. L. Jackson. (2004). The functional architecture of human empathy. Behavioral and Cognitive Neuroscience Reviews, 3(2), 71-100. DOI : 10.1177/1534582304267187 

  20. B. M. P. Cuff, S. J. Brown, L. Taylor & D. J. Howat. (2016). Empathy: A review of the concept. Emotion Review, 8(2), 144-153. DOI : 10.1177/1754073914558466 

  21. S. Y. Hwang & M. S. Yoon. (2018).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mpathy, prosocial behavior, and school happines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4(1), 173-197. DOI : 10.29318/KER.24.1.7 

  22. B. Soenens, B. Duriez, M. Vansteenkiste & L. Goossens. (2007).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empathy-related responding in adolescence: The role of maternal suppor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3(3), 299-311. DOI: 10.1177/0146167206296300 

  23. M. de Wied, S. J. Branje & W. H. Meeus. (2007). Empathy and conflict resolution in friendship relations among adolescents. Aggressive Behavior, 33(1), 48-55. DOI: 10.1002/ab.20166 

  24. Y. M. Yang, H. S. Shin & S. J. Lee. (2017). The effect of emphatic ability and family strengths on happiness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9(4), 49-64. DOI : 10.19031/jkheea.2017.12.29.4.47 

  25. Y. S. Kang & K. Park. (2014).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on empathy in middle school student and the quality of their peer relationships. Studies on Korean Youth, 25(2), 5-45. DOI : 10.14816/sky.2014.25.2.4 

  26. E. K. Bae. (2011). The effect of empathic ability on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self-esteem.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3(1), 85-100. 

  27. I. S. Oh & M. J. Park (2019).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empathy and their school adjustment.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7(1), 35-65. DOI : 10.25152/ser.2019.67.1.35 

  28. B. Chakrabarti & S. Baron-Cohen, S. (2006). Empathizing: Neurocognitive developmental mechanism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S. Anders, G. Ende, M. Junghofer, J. Kissler, & D. Wildgruber (Eds.), Progress in brain research: Vol. 156. Understanding emotions (pp. 403-418). Amsterdam: Elsevier. DOI: 10.1016/S0079-6123(06)56022-4 

  29. M. H. Davis. (1983).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1), 113-126. DOI : 10.1037/0022-3514.44.1.113 

  30. K. de Corte, A. Buysse, L. L. Verhofstadt, H. Roeyers, K. Ponnet & M. H. Davis. (2007). Measuring empathic tendencie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utch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Psychologica Belgica, 47(4), 235-260. DOI : 10.5334/pb-47-4-235 

  31. C. O. Park & H. R. Ghim. (2010). Sex and peer status differences in empathizing and systemizing: Data from Korean 6 grader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3(4), 127-148. UCI : G704-000281.2010.23.4.008 

  32. Y. G. Yu & M. S. Yoo. (2012). The effects of children's empathy ability on the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Sookmyung Journal of Child Study, 25(1), 17-32. 

  33. M. L. Martinez-Marti & W. Ruch. (2017). Character strengths predict resilience over and above positive affect, self-efficacy, optimism,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2(2), 110-119. DOI : 10.1080/17439760.2016.1163403 

  34. H. W. Nam & K. S. Kim. (2015). The effects of the character strengths enhancement program using mindfulness on children's resilience.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3(2), 105-134. DOI : 10.35151/kyci.2015.23.2.006 

  35. A. R. Yi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character strength in adolescents.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36. M. E. P. Seligman. (2004).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37. K, G. Joreskog, & D. Sorbom.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2nd Ed.). Chicago: SPSS. 

  38. J. J. Hoogland, & A. Boomsma. (1998). Robustness studi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An overview and a meta-analysis.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6(3), 329-367. DOI : 10.1177/0049124198026003003 

  39. I. J. Kim. (2006). Positive psychology. Anyang: Mulpule. 

  40. H. S. Park. (1998). The developmental mechanism of school resilience of korean adolescents in pover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5(3), 147-165. 

  41. L. P. Hernandez. (1993). The role of protective factors in the school resilient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42. H. R. Lee & H. I. Jo. (2005). A study for development of the resilience scale of Korean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16(2), 161-206. UCI : G704-001385.2005.16.2.009 

  43. S. H. Park. (1994). Empathy, empathic understanding. Seoul: Wonmisa. 

  44. M. H. Davis. (1980).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A multidimensional approach.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0(7-B), 3480. 

  45. H. T. Kim. (1989).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the measurement of ego-identity in Korean youth.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46. J. P. Woo. (201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 and understanding. Seoul: Hanaree. 

  47. S. H. Hong.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48. M. E. Sobel.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pp. 290-312). San Francisco: Jossey-Bass. DOI: 10.2307/270723 

  49. P. J. Curran, S. G. West & J. F. Finch.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DOI : 10.1037/1082-989X.1.1.16 

  50. K. H. Lee, C. H. Seong & M. J. Kim. (2014).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on parental behavior and school adaptation flexibility of the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s according to the sex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11), 1-28. UCI : G704-000387.2014.21.11.006 

  51. M. S. Hong & J. K. Eo. (2013). The effects of narcissism, empathy ability and self esteem on middle school students' aggression according to the sex.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4(6), 3911-3928. DOI : 10.15703/kjc.14.6.201312.3911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