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담 시 거울 환경이 내담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rroring Environment on the Attitude of Client in Counsell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427 - 431  

김미소 (전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서선영 (전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은솔 (전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전나현 (전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조아해 (전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은주 (전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 시 거울 환경이 내담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20대 남녀 32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6명, 대조군 16명을 거울 환경의 유무에 따라 상담을 진행하고 진실성 척도와 의미변별척도를 사용하여 거울 환경이 중재된 실험군과 중재하지 않은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거울 환경을 제공한 실험군에서 진실성 척도의 '자기-소외' 요소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상담 환경을 어떻게 느끼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의미변별척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거울 환경의 유무가 내담자의 진실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진실성 척도의 요인 중 일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mirror environment influences the attitude of the client when counselling. A group of 16 experimenters, 16 controls, a group with a mirror environment, and 32 men and wome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erventional mirror environm...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7년 J대학교의 강의실에서 진행되었다. 대상자 모집 방법은 공고문을 제작하여 건물 내부에 부착하고 Social Network System(SNS)에 공지를 하였으며 일반인 성인 남녀 중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설문지 작성이 가능하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내담자들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32명으로 20대 남녀를 모집하여 이 중에서 실험군 16명, 대조군 16명을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 본 연구는 상담 진행시 거울의 존재로 인한 내담자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의사소통의 영역으로 듣기와 말하기에 해당하는 상담은 작업치료사에게 중요한 역량으로 내담자와 신뢰관계(rapport) 형성을 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 본 연구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나눠 상담 시 거울 환경이 내담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내담자의 태도 중 진실성과 상담환경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연구하였는데 진실성척도(AS)의 요인 중 ‘자기-소외’요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상담환경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 시 거울환경이 내담자의 진실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 거울로 인해서 자의식이 활성화 되어 현재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 태도를 가식 없이 표현하게 된다면 치료를 위한 믿을 만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상담 시 내담자의 태도 비교를 위한 매개체로써 거울 환경을 만들어 고찰해 보고자 한다
  • 설문지는 양극성의 뜻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나열하며 7점 척도로 표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상담을 하고 난 뒤 대상자들의 상담환경에 대한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였다. 상담에 맞는 형용사를 수집하기 위해 ‘한국형 어의차별 형용사 군의 탐색’을 참고하여 타당도가 검증된 단어를 사용하였다[15].
  • 그 중에서 거울을 이용한 상담이 진실한 답변을 이끌어 내는데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고찰이 있었다[16]. 이전의 연구들에서 거울이 자의식을 높이고 집중을 하게 한다는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었으나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거울 환경이 수사 과정이 아닌 치료적 과정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서 진실성 척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던 ‘자기-소외’요인은 스스로 잘 알지 못하는 주관적 경험 및 실제 자기로부터 멀어지는 느낌을 의미하는데 거울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는 것은 거울을 사용했을 때 자신을 스스로 더 가깝게 느낀다는 의미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화 방법이 의사소통의 중요한 요인이 되는 이유는? 그 중 의사소통은 클라이언트의 의견을 받아들이고 다른 의견을 교환하는 것을 의미한다[1]. 환자-의사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에서 대화 방법은 환자와 의사간에 좋은 관계를 향상하며 긍정적인 효과를 주기 때문에 의사소통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하였다[2]. 의사소통의 영역으로는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가 있다.
작업치료사로서 필요한 자질역량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국내 작업치료사의 자질 역량 지표 조사에 의하면 클라이언트 중심 수행과 의사소통, 긍정적 태도, 전문가 의식, 팀워크, 적극성이 있다. 작업치료사로서 효과적인 업무를 실행하는데 있어 자질역량들이 중요하다.
의사소통이란? 작업치료사로서 효과적인 업무를 실행하는데 있어 자질역량들이 중요하다. 그 중 의사소통은 클라이언트의 의견을 받아들이고 다른 의견을 교환하는 것을 의미한다[1]. 환자-의사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에서 대화 방법은 환자와 의사간에 좋은 관계를 향상하며 긍정적인 효과를 주기 때문에 의사소통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I. S. Ku, M. Y. Jung. E. Y. Yoo. J. H. Park. J. S. Lee & H. S. Lee. (2015). Development of Competency Indicators for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K-CIO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1), 137-149. doi:10.14519/jksot.2015.23 

  2. H. S. Na. Y. D. Kwon & J. W. Noh. (2013). Development of Physician Coaching Model for Improvement of Patient-doctor Communi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2), 331-340. DOI : 10.5392/JKCA.2013.13.02.331 

  3. S. J. Oh. (2012).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Speaking and Writing in the Communication Education: Focused on Developing a Teaching Model by Using Interview in University Classes.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 16(2), 353-374. 

  4. C. S. Song. (2012). Current Trends and Future-oriented View of Clinical Measurement Used by Neurological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1), 5229-5237. 

  5. C. Dedding. M. Cardol. I. C. J. M. Eyssen. J. Dekker & A. Beelen. (2004). Validity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 Client-centred Outcome Measurement. Clinical Rehabilitation, 18, 660-667. doi:10.1191/0269215504cr746oa 

  6. D. S. Janowsky. A. Kraft. P. Clopton & L. Huey. (1984). Relationships of Mood and Interpersonal Perceptions. Comprehensive Psychiatry, 25, 546-551. 

  7. A. Ziemelis. (1974). Effects of Client Preference and Expectancy upon the Initial Interview.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1, 23-30. 

  8. J. S. Hong & N. W. Jung. (2013). A Critical Review of Studies on the Counselor's Authenticit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5(3), 371-395. 

  9. M. K. Kim. (2004). The Truthfulness of the Counselor in Human-centered Counseling. Student Life Studies, 9, 99-113. 

  10. B. Mullen & J. Suls. (1982). "Know Thyself" : Stressful Life Changes and Ameliorative Effect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8(1), 43-55. 

  11. M. C. Fejfar & R. H. Hoyle. (2000). Effect of Private Self-awareness on Negative Affect and Self-referent Attribution: A Quantitative Review.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4, 132-142. 

  12. H. S. Lee & H. C. Shin. (2011). The Influence of Authenticity on Subjective Well-being: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2(5), 1561-1577. 

  13. C. S. Lee. (1996). A Case Study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s Technology and Technology Textbooks through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21(2), 41-55. 

  14. E. Y. Beak & Y. J. Kim. (2013). An Analysis of Leisure Sports Image Using Semantic Differential Scale in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2(3), 203-213. 

  15. Y. J. Lee. (1989). A Search for the Korean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The Hanyang Journal of Economic Studies, 10(2), 241-277. 

  16. S. E. Choi. (2016). Impacts of interviewer'attitude and mirror on amount and accuracy of interviewee'statem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