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정서읽기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얼굴표정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Reading Ability on Prosocial Behavior: Centered on Facial Express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433 - 438  

고정완 (광주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읽기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하고 있는 사립유치원 만 5세 192명이다. 2018년 12월 17일부터 12월 27일까지 유아의 정서읽기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유아의 정서읽기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읽기능력은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정서읽기능력 향상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reading ability on prosocial behavior.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2 young children's. From December 17, December 27, 2018, after conducting a survey on emotional reading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of infants, the data w...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은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만을 밝히고 있으며, 유아기에 의사소통에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얼굴표정을 통한 정서읽기능력과 관련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읽기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이 어떠한 관련성이 있으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지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정서인식능력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유아의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정서읽기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둘째, 유아의 정서읽기능력은 친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유아의 정서읽기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밝혀냄으로써, 이를 고려하여 적합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유아교육현장의 유아교사들이 정서읽기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또래와의 관계에서 친사회적인 관계를 맺기 힘들어하는유아들을 위해 정서읽기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을계획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 J. Seo. (2006). A Study of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Requestive Strategies, and Maternal Socialization Beliefs and Strategies.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1(4), 287-310. 

  2. H. R. Hong, J. Y. HA & S. J. Seo. (2008).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Emotional Intelligence, Maternal Socialization Beliefs and Strategies on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6), 15-33. 

  3. G. W. Ladd & S. M. Protilet. (1996). The child behavior scale: A teacher-report measure of young children's aggressive, withdrawn, and prosocial behaviors. Developmental Psychology, 32(6), 1008-1024. DOI : https://doi.org/10.1037//0012-1649.32.6.1008 

  4. S. H. Sin. (2003). Effect of a Role-Play Program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After School. Korean Society for Child Education, 12(2), 89-101. 

  5. Y. B. Jeong. (2009). Understanding Child Development. Seoul: HagJiSa. 

  6. D. Bar-Tal. (1976). Prosocial Behavior. NY: John Wiley & Sons. 

  7. J. E. Kim.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year-ol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eschool Adjustment.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8. D. R Shaffer. (2005).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Sigeumapeuleseu. 

  9. P. Salovey, M. A. Brackett & J. D. Mayer. (2004). Emotional Intelligence: Key Readings on the Mayer and Salovey Model. NY: National Professional Resources. 

  10. M. J. Choi & M. C. Hwang. (2017). A study on behavior response of child by emotion coaching of teacher based on emotional recognition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323-330. 

  11. L. F. Barrett, K. A. Lindquist & M. Gendron. (2007). Language as context for the perception of emotion. Trends in Conitive Sciences, 11(8), 327-332. DOI : 10.1016/j.tics.2007.06.003 

  12. J. Ciarrochi, A. Y. C. Chan & J. Bajgar. (2001).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in adolesc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1, 1105-1119. DOI : https://doi.org/10.1016/S0191-8869(00)00207-5 

  13. J. L. Perry & K. Bussy. (1984). Marital disruptio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s, and behavior problems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8, 295-307. 

  14. N. Eisenberg & M. Hand. (1979). The relationship of preschooler' reasoning about prosocial behavior. Child Development, 50(2), 356-363. 

  15. K. J. Cho, S. J. Park, I. H. Song & H. R. Ghim. (2007). Developmental Changes in Emotional-States and Facial Expression. Korea Society for Emotion and Serviceability, 10(1), 127-138. 

  16. Y. Y. Kim.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4(5), 105-118. 

  17. J. Dunn & P. Munn. (1986). Sibling quarrels and maternal intervention : Individual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nd aggressio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27(5), 583-595. 

  18. J. W. Yang, N. R. Park & K. M. Chung. (2011).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in Adolescents: Association with Psychosocial Adjustment and Peer Relationship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0(2), 475-495. 

  19. E. J. Choi. (2012).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on the Social Behavior and Self-Esteem of Children. General Graduate School of Uiduk University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yeongJu, Korea. 

  20. E. H. Kim.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al Recognition of Emotion, Peer Relationship and Social Anxiety of School-aged Children. Dep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