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여뀌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효과
Whitening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Polygonum amphibium L.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7 no.2, 2019년, pp.195 - 200  

황병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이승영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강창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한웅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오영택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유상미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김민진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김철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엄정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정상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이욱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안영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정용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lanogenesis inhibiting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Polygonum amphibium L. Firstly, the n-hexane (Hx), chloroform ($CHCl_3$), ethyl acetate (EA), n-butanol (BuOH), and water (Water) fractions were isolated from the P. amphibium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미백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물여뀌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B16F10 흑색종 세포와 제브라피쉬 embryo 모델을 이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여뀌는 어디서 자라나? )는 마디풀속 여뀌절에 속하는 식물로써 육상 및 수중 환경 모두에 서식할 수 있는 분류군이다. 현재 북미, 동아시아, 유럽 등 북반구의 온대에서 아한대 지방에 주로 자라며, 남미, 멕시코 및 남아프리카 등지에도 일부 유입되어 자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이러한 물여뀌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림프구 활성화, 항암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한 보고가 있을 뿐이다[2−4].
과생성된 멜라닌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이러한 미백 효과는 멜라닌의 합성 제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멜라닌은 ultraviolet (UV)와 같은 고에너지 광원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멜라닌을 합성하지만 과생성시에는 기미 주근깨, 주름과 같은 피부질환을 야기한다[5, 6]. 이러한 멜라닌의 과생성을 억제하고 피부에 침착되는 멜라닌을 제어하는 물질을 찾는 연구가 최근 활발하며 현재 화장품과 같은 산업적으로 이용되는 멜라닌 저해제로 대표적인 물질은 arbutin과 kojic acid 등이 있다[7].
물여뀌는 무엇인가? 물여뀌(Polygonum amphibium L.)는 마디풀속 여뀌절에 속하는 식물로써 육상 및 수중 환경 모두에 서식할 수 있는 분류군이다. 현재 북미, 동아시아, 유럽 등 북반구의 온대에서 아한대 지방에 주로 자라며, 남미, 멕시코 및 남아프리카 등지에도 일부 유입되어 자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