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외 장소성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alyzing the Study Trends of 'Sense of Place'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0 no.2, 2019년, pp.189 - 209  

이인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김혜진 (국립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경로 분석(Main Path Analysis, MPA)은 문헌의 인용정보를 기반으로 지식이 전달되는데 기여한 핵심 문헌을 추출하는 텍스트마이닝 기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외에서 발행된 장소성 관련 논문의 인용정보와 초록을 토대로 주경로 분석과 단어동시출현빈도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1990년부터 2018년까지 수집된 문헌을 5년씩 기간 구분하여 (마지막 기간은 3년) 각 기간 별로 국내외에서 장소성 관련 연구가 전반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주경로 분석 결과, 1990년부터 해외의 장소성 관련 연구는 개인 정체성, 공공 토지 관리, 환경 교육, 도시 개발 분야 순으로 진행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단어동시출현을 기반으로 한 연관어 네트워크를 통해서는 국내의 경우 도시 개발, 문화, 문학, 역사 등 다양한 차원에서 장소성이 논의되는 격변기를 겪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반면 국외에서는 건강, 정체성, 경관, 도시 개발 관련 논의가 90년대부터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장소성 연구동향을 기존의 특정 영역에 장소성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미시적 관점의 분석이 아닌 다양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장소성을 주제로 삼고 있는 논문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통시적 접근의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지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in Path Analysis (MPA) is one of the text mining techniques that extracts the core literature that contributes knowledge transfer based on citation information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applied various text mining techniques to abstract of the paper related with sense-of-place, which is publis...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가설 설정

  • 동시출현 단어기반 연관어 분석은 계량정보학 분야의 분석기법 중 하나로 한 텍스트 또는 문맥에서 동시출현하는 단어들의 패턴을 이용해 단어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기법이다(He 1999). 동시출현빈도가 높은 단어 쌍일수록 두 용어의 연관성은 높다고 가정한다(Morris and Van 2008). 그리고 사회연결망 분석에서 사용하는 중심성 개념을 적용하여 시기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단어와 관련어들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식 확산에 대한 이해가 어려운 이유는? 모든 학문 분야에서 지식 확산에 대한 이해는 연구자와 실무자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오랜 시기를 걸쳐 형성되고 발전을 이루어 온 성숙기에 접어든 학문 분야를 인지적으로 쉽게 파악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드는 어려운 일이다. 특정 분야에서 발행된 문헌의 인용 정보를 활용하여 그 분야의 지식 전달과정을 추적하는 주경로 분석(Main Path Analysis, MPA)은 인간이 감당할 수 없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식이 전달되는데 기여한 핵심 문헌을 추출하는 텍스트마이닝 기법 중 하나이다(Hummon and Dereian 1989).
주경로 분석이란? 주경로 분석(Main Path Analysis, MPA)은 문헌의 인용정보를 기반으로 지식이 전달되는데 기여한 핵심 문헌을 추출하는 텍스트마이닝 기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외에서 발행된 장소성 관련 논문의 인용정보와 초록을 토대로 주경로 분석과 단어동시출현빈도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공간의 사전적 정의는? 일반적으로 ‘공간’과 ‘장소’라는 단어는 큰 차이를 두지 않고 혼용하여 사용되지만,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두 단어는 명확히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공간(空間)은 ‘아무것도 없는 빈 곳’,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장소(場所)는 ‘어떤 일이 이루어지거나 일어나는 곳’을 의미한다. 즉, 공간은 물리적 측면이 강조되는 반면, 장소는 좀 더 구체적이며 주관적․해석적 측면이 강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Kim, Min-suk. 2012. "A Study on the Placeness of Baek Seok's Poetry." Literary Criticism, 46: 65-106. 

  2. Kim, Seong-Hee and Rho-Sa Chang. 2010. "The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he its Applicability to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4): 71-87. 

  3. Kim, Yu-Kon and Ki-Young Suh. 2000. "A Study on changing characteristics of a place based on analysis of structural elements of form: focused on a part Tae-Hang-No." Architectural Research, 20(2): 211-214. 

  4. Kim, Hae Young and Sae June Kim. 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on Place Attachment, the Value Perception and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s in Museum: A Case of Museums in Jeong-dong."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30: 185-217. 

  5. Kim, Hee-Jin and Mack-Joong Choi.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and Change in Perception of Placeness in Cultural Districts: The Case of Samcheong-dong and Sinsa-dong Street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1(2): 97-112 

  6. Park, Beom-Jong and Seonyoung Seo. 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Local Development Using Place Marketing: Focused on Incheon and Busan's Chinatown." Culture and Convergence, 40(2): 167-198. 

  7. Park, Byung Eun and Gyoo Gun Lim. 2015. "A Study on the Impact Factors of Contents Diffusion in Youtube using Integrated Content Network Analysi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1(3): 19-36. 

  8. Park, Jung-Su and Hyun-Joon Yoo. 2007. "The Recovery of Placeness; in Old Seoul Station." Architectural Research, 27(1): 185-188. 

  9. Baik, Seonhae. 2004. "The Introduction of Art Festivals in Small Cities and the Creation of Placenes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9(6): 888-906. 

  10. Lee, Kyu-Mok. 1980. "Notes on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a Sense of Place."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24(3): 54-56. 

  11. Lee, Dong-Won. 2017. "Extension Method of Association Rul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3(4): 111-126. 

  12. Lee, Mu-Yong. 2006. "A Study on the Cultural Concept and Methodology of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1(1): 39-57. 

  13. Lee, Byeong-Kee. 2017. "A Study on the Placeness Form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hoo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2): 73-97. 

  14. Lee, Seock-Hwan and Kee-Won Hwang. 1997. "The Ambiguous Concepts of Place and Placenes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2(5): 169-184. 

  15. Lee, Yong Gyun. 2005. "Strategic Development of Place Marketing for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8(3): 21-34. 

  16. Lee, Il-Woo and Kun-Hee Kang. 2000. "An Analysis of the Substance of the Place in Jongro district - In the Direction of the Urban Renewal Based on the Place." Architectural Research, 20(1): 199-202. 

  17. Lee, Jeong-Ho. 2012.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lacenes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r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3): 253-278. 

  18. Jung, Keun-Sik. 2010. "Locality and Sense of Place." Localitology, 15: 1. 

  19. Choi, Mack-Joong and Mi-Ok Kim. 2001. "Empirical Analysis of Components and Economic Values of the Placeness: The Cases of Daehak and Rodeo Street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6(2): 153-162. 

  20. Choi, Il Young, Yong Sung Lee, and Jae Kyeong Kim. 2010. "A Usage Pattern Analysis of the Academic Database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in K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1): 25-40. 

  21. Choi, Hee-Soo.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Using Evaluation of Local Cultural Festival: Focused on Suwon Hwaseong Cultural Festival." The Journal of Global Cultural Contents, 32: 279-298. 

  22. Han, Beomsoo, Hee-Young Kim, and Sanghun Park. 2008. "Strengthening the Placeness by Networks of Cultural Tourism Contents Focused on the Themed Street." Seoul Studies, 9(4): 3-22. 

  23. Hwang, Zoon-Ki and Dong-Hun Oh. 2015. "Cultural initiative Gentification phenomenon."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197-213. 

  24. Ardoin, N. M., J. S. Schuh, and R. K. Gould. 2012. "Exploring the dimensions of plac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data from three ecoregional site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8(5): 583-607. 

  25. Brandenburg, A. M. and M. S. Carroll. 1995. "Your place or mine?: The effect of place creation on environmental values and landscape meanings." Society & Natural Resources, 8(5): 381-398. 

  26. Brown, G., C. M. Raymond, and J. Corcoran. 2015. "Mapping and measuring place attachment." Applied Geography, 57: 42-53. 

  27. Easthope, H. 2004. "A place called home." Housing, theory and society, 21(3): 128-138. 

  28. Frantzeskaki, N., F. van Steenbergen, and R. C. Stedman. 2018. "Sense of place and experimentation in urban sustainability transitions: the Resilience Lab in Carnisse, Rotterdam, The Netherlands." Sustainability science, 13: 1045-1059. 

  29. Freeman, L. C. 1978.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3): 215-239. 

  30. Hay, R. 1998. "Sense of place in developmental contex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8(1): 5-29. 

  31. He, Q. 1999. "Knowledge Discovery Through Co-Word Analysis." In Library Trends, 48(1): 133-159. 

  32. Hummon, N. P. and P. Dereian. 1989. "Connectivity in a citation network: The development of DNA theory." Social Networks, 11(1): 39-63. 

  33. Jorgensen, B. S. and R. C. Stedman. 2001. "Sense of place as an attitude: Lakeshore owners attitudes toward their proper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3): 233-248. 

  34. Kudryavtsev, A., R. C. Stedman, and M. E. Krasny. 2012. "Sense of pla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8(2): 229-250. 

  35. Kyle, G. T., J. D. Absher, and A. R. Graefe. 2003. "The moderating role of place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fees and spending preferences." Leisure sciences, 25(1): 33-50. 

  36. Kyle, G., A. Graefe, and R. Manning. 2005. "Testing the dimensionality of place attachment in recreational settings." Environment and behavior, 37(2): 153-177. 

  37. Kyle, G., A. Graefe, R. Manning, and J. Bacon. 2003.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y involvement and place attachment among hikers along the Appalachian Trail."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5(3): 249-273. 

  38. Kyle, G., A. Graefe, R. Manning, and J. Bacon. 2004. "Effects of place attachment on users' perceptions of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natural setting."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4(2): 213-225. 

  39. Lindstrom, B. 1997. "A sense of place: Housing selection on Chicago's north shore." The Sociological Quarterly, 38(1): 19-39. 

  40. Liu, B. 2011. Social network analysis. Berlin, Heidelberg: Springer. 

  41. Liu, J. S. and L. Y. Lu. 2012. "An integrated approach for main path analysis: Development of the Hirsch index as an exampl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3(3): 528-542. 

  42. Masterson, V. A., R. C. Stedman, J. Enqvist, M. Tengo, M. Giusti, D. Wahl, and U. Svedin. 2017. "The contribution of sense of place to social-ecological systems research: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Ecology and Society, 22(1): 49. 

  43. Morris, S. A. and B. Van der Veer Martens. 2008. "Mapping research specialties."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2(1): 213-295. 

  44. Newman, M. E. J. 2006. "Modularity and community structure in networks." PNAS, 103(23): 8577-8582. 

  45. Prell, C. 2012. Social network analysis: History, theory, & methodology. London: Sage. 

  46. Quinn, T., F. Bousquet, C. Guerbois, E. Sougrati, and M. Tabutaud. 2018.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place and risk perception in landscapes of mobility." Ecology and Society, 23(2): 39. 

  47. Raymond, C. M., M. Kytta, and R. Stedman. 2017. "Sense of place, fast and slow: the potential contributions of affordance theory to sense of place." Frontiers in psychology, 8: 1674. 

  48. 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Vol. 1). London: Pion. 

  49. Shamai, S. 1991. "Sense of place: An empirical measurement." Geoforum, 22(3): 347-358. 

  50. Tuan, Y. F. 1977.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51. Van Patten, S. R., and D. R. Williams. 2008. "Problems in place: Using discursive social psychology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seasonal homes." Leisure sciences, 30(5): 448-464. 

  52. Verspagen, B. 2007. "Mapping technological trajectories as patent citation networks: A study on the history of fuel cell research." Advances in Complex Systems, 10(01): 93-115. 

  53. Williams, D. R. 2014. "Making sense of 'place': Reflections on pluralism and positionality in place researc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31: 74-8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