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척지 적응성 잡곡 선발 및 간척지 재배 수수의 기능성 향상 효과
Screening for Fittest Miscellaneous Cereals for Reclaimed Land and Functionality Improvement of Sorghum bicolor Cultivated in Reclaimed Land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4 no.2, 2019년, pp.109 - 126  

강찬호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작물식품과) ,  이인석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작물식품과) ,  권석주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만금 간척지에서 적응 가능한 잡곡자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조, 기장, 수수 등 3종의 잡곡 유전자원 84종을 수집하였다. 수집 자원을 간척지에서 재배하면서 적응성을 검정한 결과 수수의 간척지 적응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대표적인 생육 요소인 초장의 간척지/일반지 비율을 측정한 결과 수수가 0.82로 간척지에서도 일반지에 비하여 크게 떨어지지 않는 생육상황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기장은 0.61, 조는 0.51 순이었다. 수수자원 중 우수한 간척지 적응성을 가진 유전자원으로 까만수수, 사탕대죽, 남풍찰 3종이 선발되었다. 사탕대죽은 간척지 수량 229.4 kg/10a로 간척지/일반지 수량 비율이 89.3%이었으며 까만수수는 227.4 kg/10a로 간척지/일반지 수량 비율 87.8%를 나타내었고 남풍찰은 간척지에서의 수량이 일반지 수량의 86.0%인 239.6 kg/10a로 우수한 간척지 적응성 자원으로 선발되었다. 선발자원의 내염성 정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포트에서 천일염을 사용하여 염농도를 1.0%까지 처리하고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과 광합성 능력 등을 검정한 결과 사탕대죽, 남풍찰, 까만수수 모두 높은 내염 정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장 강한 내염성을 가진 수수 자원은 사탕대죽이었다. 간척지 생산 수수 자원의 기능성 향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유해 활성산소 제거능을 확인하였고 ${\alpha}$-glicosidase 억제 활성을 통하여 항당뇨 활성을 분석하였다. 기능성 분석 항목 모두에서 간척지 재배 생산물의 기능성이 일반지 생산물에 비하여 향상되는 것을 확인되었는데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은 간척지 재배 시 함량 증가율 범위가 2%~26%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5%~55.6%로 함량이 증가하였다. DPPH 소거능도 간척지 재배시 16.7%p~47.0%p 증가하여 유해 활성산소 제거능력도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lpha}$-glicosidase 억제 활성도 선발자원별로 18.4%p~19.9%p 높아서 항당뇨 활성도 간척지 재배에서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etic resources of 84 species of Setaria italica BEAUVOIS, Sorghum bicolor, and Panicum miliaceum were collected to select the adaptable miscellaneous cereals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The adaptability of Sorghum bicolor in reclaimed land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cereals cultivated on r...

주제어

표/그림 (2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간척지의 생산기반 확보 및 유지기술 개발이 요구되며,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잡곡의 국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척지에 적응성이 높은 잡곡을 선발하고 품질 및 기능성 평가를 통한 부가가치 향상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간척지에서 재배된 잡곡의 생육 및 수량성과 기능성을 검토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잡곡의 특징은 무엇인가? 따라서 국산 잡곡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간척지를 활용한 잡곡류의 대량 생산체계 구축 및 품질고급화 등이 요구된다. 잡곡은 대부분 건강식품으로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간척지의 열악한 환경으로 수량성 등의 경쟁력이 다소 낮은 상황에서도 기능성 강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작물이다. 전라북도농업기술원의 시험연구 보고에 따르면 간척지에서 채소를 재배할 경우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13종 대상작물 중 12종에서 평균 37.
간척지에서 채소를 재배할 경우 장점은 무엇인가? 잡곡은 대부분 건강식품으로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간척지의 열악한 환경으로 수량성 등의 경쟁력이 다소 낮은 상황에서도 기능성 강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작물이다. 전라북도농업기술원의 시험연구 보고에 따르면 간척지에서 채소를 재배할 경우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13종 대상작물 중 12종에서 평균 37.2% (증가 범위 1.0~86%, 최고 증가작물 고구마)가 증가되었고, 폴리페놀은 11종에서 평균 112% (증가 범위 3~829%, 최고 증가작물 고구마)가 증가되었다고 하였다(RDA, 2015). 간척지 농업기술의 개발은 미래 우리 농업의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
간척지 생산 수수 자원의 기능성 성분 분석 결과는 무엇인가? 간척지 생산 수수 자원의 기능성 향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유해 활성산소 제거능을 확인하였고 ${\alpha}$-glicosidase 억제 활성을 통하여 항당뇨 활성을 분석하였다. 기능성 분석 항목 모두에서 간척지 재배 생산물의 기능성이 일반지 생산물에 비하여 향상되는 것을 확인되었는데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은 간척지 재배 시 함량 증가율 범위가 2%~26%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5%~55.6%로 함량이 증가하였다. DPPH 소거능도 간척지 재배시 16.7%p~47.0%p 증가하여 유해 활성산소 제거능력도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lpha}$-glicosidase 억제 활성도 선발자원별로 18.4%p~19.9%p 높아서 항당뇨 활성도 간척지 재배에서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anadanovic-Brunet J. M., Djilas S. M., Cetkovic G. S. and Tumbas V. T. 2005.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ormwood (Artemisia absinthium L.) extracts. J. Sci. Food Agr. 85 : 265-272. 

  2. Cha J. Y., Kim H. J., Chung C. H., and Cho Y. S.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 1310-1315. 

  3. Choi, K. C., Jung M. W., Cho N. C., Park H. S., Yoon S. H., Kim J. G., Song C. E., Choi E. M., Kim C. M. and Kim Y. C. 2011. Effect of application of swine slurry on productivity of sorghum ${\times}$ sorghum hybrid and soil environment in reclaimed land. Korean J. Grassl, Forage Sci. 31 : 159-166. 

  4. Christen Y. 2000. Oxidative stress and Alzheimer disease. Am. J. Clin. Nutr. 71 : 621-629. 

  5. Cox M. S. 2001. The lancaster soil test methods as an alternative to the Mehlich 3 soil test methods. Soil Science 166(7) : 484-489. 

  6. Gee G. W. and J. W. Bauder. 1986. Particle size analysis. In Klute A. (2nd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I.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and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Wisconsin, USA. pp. 383-411. 

  7. Heim K. E., Tagliaferro A. R. and Bobilya D. J. 2002. Flavonoid antioxidants: Chemistry, metabolism,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J. Nutr. Biochem. 13 : 572-584. 

  8. Jung N. J., Kim J. K. and Park T. S. 2014. Selection of the excellent barnyard millet variety and technical development for their weediness prevention in paddy rice. PJ008457, RDA. 

  9. Kim J. Y., Lee J. Y., Lee W. Y., Yi Y. and Lim Y. Anti-oxidant property and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of eight plant extrac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 : 414-419 (2010). 

  10. Kim S., Ryu J. H., Kim Y. J., Cheong J. H., Lee S. H., Oh Y. Y., Kim Y. D. and Kim J. H. 2016. Influence of soil salinity on the growth response and inorganic nutrient content of a millet cultivar. Krean J. Crop Sci. 61(2) : 113-118. 

  11. Ko B. S., Kim H. K. and Park S. 2002. Insulin sensitizing and insulin-lik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Kalopanaxpictus NAKA fractions in 3T3 adiopocytes. Korean J. Agri. Chem. Biotech. 45 : 42-46. 

  12. Lee G. B., Hwang S. U., Lee S. H. 2012.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 for multifactorial utilization of reclaimed land. Soci. Agri. Res. Rec. Lands. 2012(10) : 18-28. 

  13. Lee S. H., Bae H. S., Lee S. H., Oh Y. Y. and Ryu J. H. 2015. The Society of Agricultural Research on Reclaimed Lands. pp. 88-103. 

  14. Lu Y and Foo L. Y. 2000.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olyphenols from apple pomace. Food Chem. 68 : 81-85. 

  15. NI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Analytical methods of soil and plant. NIAS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Suwon, Korea. 

  16. NAA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201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Suwon, Korea. 

  17. Park S., Jun D. W., Park C. H., Jang S. K., Park S. K., Ko B. S., Kim B. J. and Choi S. B. 2004. Hypoglycemic effects of crude extracts of MoutanRadics Cortex. Korean J. Food Sci. 36 : 472-477. 

  18. RDA. 2002. Agriculture of the reclaimed tidal land in Korea. Natl. Inst. Honam Agr. 

  19. RDA. 2015. Development of cultivation techniques for adaptable economic crops on open field and plastic film house in reclaimed tidal land. 99-103. 

  20. RRI. 2007. Development method of the future agriculture complex in reclaimed land. Res. Rpt. Rural Research Institute. pp. 1-400.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21. Shin, J. S., Kim W. H., Lee S. H., Yoon S. H., Chung, E. S. and Lim Y. C. 2004. Comparison of dry matter and feed value of major summer forage crops in the reclaimed tidal land. Korean J. Grassl Sci. 24 : 335-340. 

  22. Sohn, Y. M. G. Y. Jean, J. D. Song, J. H. Lee, and M. E. Park. 2009. Effect of spatial soil salinity variation on the emergence of soiling and forage crops seeded at the newly reclaimed tidal lands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42 : 172-178. 

  23. Sohn, Y. M., Park J. S., Kim H. T., Lee J. H., Lee G. B., Lee J. J., Shin Y. G., Park M. E., and Hwang Y. S. 2007. Multiple utilization of tidal reclaimed farmland for advanced agriculture.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24. Tsao R. 2010.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dietary polyphenols. Nutrients 2: 1231-1246. 

  25. Van-Gaal L., Mertens I. and De-Block C. 2006. Mechanisms linking obesity with cardiovascular disease. Nature 444 : 875-880. 

  26. Williams R. J., Spencer J. P. and Rice-Evans C. 2004. Flavonoids: Antioxidantsor signaling molecules Free Radic. Bio. Med. 36 : 838-849. 

  27. Yang C. H., Kim s., Baek N. H., Shin P., Cho K. M., Park E. Y., Lee G. H. 2014.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on Millet (Panicum miliaceum L.) yield and growth in reclaimed land. In proceeding of the 2014 Korean J. Soil Sci. Fert. 175-176. 

  28. Yang C. H., Lee J. H., Baek N. H., Jeong J. H., Cho K. M., Lee S. B., and Lee G. B. 2012. Incorporation effect of green manure crops on improvement of soil environment on Saemangeum reclaimed land during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45(5) : 744-7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