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물 유형에 따른 화재 발생의 공간 계량 분석
Spatial Econometrics Analysis of Fire Occurrence According to Type of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7 no.3, 2019년, pp.129 - 141  

서민송 (BK21+, Dept. of Urban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유환희 (BK21+, ERI, Dept. of Urban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는 도시에는 많은 인구와 시설물들이 증가하고 집중이 심화함에 따라 재해와 재난에 취약함을 나타낸다. 특히, 화재는 우리나라의 도시 내에서 교통사고와 더불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재해 중 하나로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 발생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진주시를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화재데이터를 취득하였다. 먼저 공간 자기 상관성 분석을 시행하여 진주시 화재 발생의 공간 분포 패턴을 파악한 후, 상관관계 및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인문 사회 요인과 물리적 요인 간의 공간적 종속성 및 비정상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화재 발생 위치와 각 요인별 위치를 고려하여 공간 가중치를 활용한 OLS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진주시 화재 발생의 LISA분석 결과 화재 발생 빈도가 높은 용도지역은 중심상업지역, 공업지역, 주거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 사회적 변수 및 물리적 변수를 통합하여 다중회귀분석의 최종 모형으로 도출된 요인들을 중심으로 공간가중치를 적용하여 OLS회귀모형을 분석한 결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이 화재 발생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단독주택, 판매시설, 제1종 근린생활시설, 가구수의 순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도시 지역의 시설물별 화재 발생 요인을 분석하고 화재 안전대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fast growing cities in Korea are showing signs of being vulnerable to more disasters as their population and facilities increase and intensify. In particular, fire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asters in Korea's cities, along with traffic acciden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들에게 위협이 되는 화재 발생이 공간적으로 어떤 요인들과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화재 발생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진주시를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화재데이터를 취득하여 공간 자기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여 진주시 화재 발생의 공간 분포 패턴을 파악한 후, 상관관계 및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인문·사회 요인과 물리적 요인 간의 공간적 종속성 및 비정상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재의 원인은 무엇인가? 많은 재난 중 흔하게 접하게 되는 재난은 화재이며 사회재난에 속한다. 화재의 주된 원인은 사람들의 방심과 부주의 때문에 발생 되며, 기온이 낮고 불의 사용도가 높은 겨울철에 많은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 화재는 우리나라의 도시 내에서 교통사고와 더불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재해 중 하나로 장소와 시간을 막론하고 다양한 도시시설과 시민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Bae, 2016).
공간 가중 행렬을 구축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공간 가중 행렬을 구축하는 경우 크게 두 가지로 나뉘게 된다. 공간 인접성(spatial contiguity)을 기준으로 구축하는 방법 그리고 공간 거리(spatial distance)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이다. 인접성 기반의 가중치란, 공간적 인접성을 고려하여 인접한 경우 1, 이격된 경우 0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회귀 분석은 무엇인가? 회귀 분석이란 설명변수(Xi)가 종속변수(Y)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통계 방법으로, 회귀 분석을 수행하는 목적은 종속변수와 설명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회귀 식을 추정한 후, 그 추정된 회귀식으로부터 Xi 값의 변화에 따라 대응하는 Yi값을 예측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선형회귀모델은 설명변수와 종속변수 관계가 직선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e, G.H. (2016),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and Risk Evaluation of Fire Occurrence in Jinju-si,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62p. 

  2. Baller, R.D., Anselin L., Messener S.F., Deane, G., and Hawkins, D.F. (2001), Strutural Covariates of U.S County Homicide Rates : Incorporating Spatial Effects, Criminologh, Vol. 39, No. 3, pp. 561-588. 

  3. Jeo, A.L. (2017),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omen's Space Utilization Through Floating Population Analysis,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Gachon, Korea, 95p. 

  4. James, P., Lesage, R., and Kelley, P. (2008), Spatial Econometric Modeling of Origi-Destination Flow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Vol. 48, No. 5, pp. 941-967. 

  5. Kim, H.J. (2009),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in Fire Outbreak Using GIS, Master' 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ongju, Korea, 90p. 

  6. Kim, M.I., Kwak, H.B., Lee, W.K., Won, M.S., and Koo, K.S. (2011), Study on Regional Spatial Autocorrela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9, No. 2, pp. 29-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ang, Y.O. and Park, M.R. (2005),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Vulnerability Map of Fire in Seou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4 October, Seoul, Korea, pp. 195-200. 

  8. Kim, J.T. and Um, J.S. (2007), The Urban Fire Prediction Mapping Technique based on GIS Spatial Statistic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1, No. 2, pp. 14-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S.Y. (2010),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 in Fire, Emergency, Rescue Outbreaks Using GIS and Dispatch System Analysis, Master' 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ongju, Korea, 109p. 

  10. Lee, H.Y. and No, S.C. (2013),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Munu, Korea. 

  11. Shin, J.D., Jeong, S.H., Kim, M.S., and Kim, H.J. (2012), Analysis of Fire Risk with Building Use Type Using Statistical Data, Korean Se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4, pp. 107-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Yeon, G.H. (2016), The Analysis about Distributive Characteristics and Influential factors of Urban Fires -Focusing on Cheongju city-,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Korea, 134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