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중등 교육자원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자원의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ing Archiving Priorities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Resource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6 no.2 = no.112, 2019년, pp.153 - 174  

김성훈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도슬기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삼균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 중등 교육자원 아카이브가 부재한 상황에서 기초조사의 성격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는 웹조사와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의 초 중등 교육자원의 관리 현황 및 교육자원의 유형을 파악, 이용자를 대상으로 자원의 가치에 따른 아카이빙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조사 수행, 전문가 워크샵을 통해 우선순위 선정 및 교육자원 아카이브 체계 구축의 당위성에 대한 토론 및 의견수렴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국내의 초 중등 교육자원은 공공과 민간의 영역에서 많은 양이 생산되나 산발적으로 관리되며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아 이용에 불편함이 있는 상황이다. 교육자원의 유형 추출 및 우선순위 선정 결과,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사례정보, 교육과정 관련자원, 교과서 등이 보존해야 할 가치가 높은 교육자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교육자원이 가진 가치와 아카이브 수행 기관의 당위성을 근거로 국가적 차원의 교육자원 아카이브 체계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자원 아카이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단초로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basic facts on educational resources in Korea and see how educators have managed their tasks without educational resource archives. The research had the following steps: 1) finding out how the current state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resources is managed ...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8)

  1. Kang, Changdong (2009).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sociology. Seoul: Hakjisa. 

  2. Kwak, Seung-Jin, Choi, Jae-Hwang, Kim, Jin-Mook, Jung, Young-Mi, Kim, Jeong-Taek, & Bae, Kyung-Jae (2010). Best practices for archiving digital content by life cycle. Daejeon: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3.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7).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edu-content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4. Kim, Kwang-Young, & Kwak, Seung-Jin (2010). A study on prioritizing digital archiving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4), 123-131.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0.21.4.123 

  5. Kim, InAe (2008). A study on the plans of archival contents services for secondary social education: Based on analysis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portal 'Nara-Kirok'. Department of Archival Science,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6. Kim, Hee-Jung (2008). A study on educational services of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8(1), 27-43. 

  7. Moon, Moo-Sang. (2017, September 26). Interview by author. Seoul. 

  8. Suh, Hye-Ran (2018).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theory and practice. Seoul: Joeungeulteo. 

  9. Seol, Moon-Won, Lee, So-Yeon, Lee, Yong-Hun, Lee, Mi-Hwa, Kim, Myoung-Hun, Lee, Yun-Ju, ??? Seo, Seok-Jae (2005). A study on developing national digital archiving strategies. Daejeon: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10. Shim, Sungbo (2007).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 service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6, 201-256. 

  11. Yun, Hyun-Jung (2017). A study on the background and case analysis of cultural contents digital archives. Journal for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6), 303-315. http://dx.doi.org/10.21184/jkeia.2017.08.11.6.303 

  12. Lee, Eun-Yeong (2011). A study on structures of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cusing on the TNA of UK and the NARA of US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8, 83-121. 

  13. Joung, Kyoung-Hee (2007). A case study on archival seeking behavior of Korean history teachers in high schools: Focused on the local communities of history teacher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4), 377-396. 

  14. Jeong, Ki-Ae, & Kim, You-Seung (2009). A study of improvement for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Based on KS X ISO 1548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1), 231-257. http://dx.doi.org/10.3743/KOSIM.2009.26.1.231 

  15. Han, Hui-Jeong, Oh, Hyo-Jung, Kim, Tae-Young, & Kim, Yong (2016).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archive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2), 95-134.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6.27.2.095 

  16. ISO (2016). ISO 15489-1 -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Records management. Geneva: ISO. 

  17. Shepherd, E., & Yeo, G. (2003). Managing records: a handbook of principles and practice. London: Facet publishing. 

  18. Upward, F. (1996). Structuring the records continuum - Part One: Postcustodial principle and properties. Archives and Manuscripts, 2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