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척주측만증과 허리뼈 골절 수술 환자의 엑스선 촬영법 연구
A Study of Radiographic Methods to X-ray Study of Patients with Spinal Scoliosis and Vertebrae Bone Fracture of Lumbar Spine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3 no.3, 2019년, pp.425 - 431  

안병주 (남부대학교 방사선학과) ,  이준행 (남부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자는 척주 측만증 및 허리뼈 분쇄 골절된 환자의 수술 후 단순 엑스선 척주 측방향 촬영에서 두개의 철심이 겹친 영상을 얻어내기 위해 엑스선관 및 인체팬톰의 각도를 변화시켜 영상을 얻었다. 영상 평가를 위해 대학병원 영상의학과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방사선사 5명에게 주관적 평가를 하였다. 측정 결과 척주 측만증 측방향 촬영은 정중 이마면을 IR면 중심에 일치되게 하고 일곱 번째 등뼈가 중앙이 되도록 자세를 조정한 후 엑스선관과 척주팬톰 자세를 각각 수직으로 촬영하면 척주 측방향 촬영에서 두 개의 겹쳐진 영상을 얻을 수 있었고 주관적 평가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허리뼈 탈구 골절된 허리뼈 측방향 촬영은 이마면을 IR면 중심에 일치시키고 네번째 허리뼈가 중앙이 되도록 자세를 조정하여 엑스선관 각도를 수직되게 하고 척주 팬톰을 네번째 허리뼈를 수직하여 촬영 하게 되면 척주 측방향 촬영에서 두개의 철심이 겹치는 영상을 얻을 수 있었고 주관적 평가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In order to obtain images of overlap of the two iron cores in the spinal cord simple x-ray scan after surgery of patients with ulcer lateral sclerosis and a fractured backbone,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bjective evaluation on five radiographers of the university hospital's imaging depar...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등뼈 및 허리뼈 전·후 방향촬영에서 철심 두 개의 평행한 영상은 문난하게 영상을 얻을 수 있으나 척주 측방향 촬영에서 두개의 철심이 겹쳐진 영상을 얻고자 할 때는 정확한 촬영법이 요구된다. 그래서본 연구자는 척추팬톰에 철심 두개를 삽입하여 척추 측만증인 등뼈와 분쇄골절된 허리뼈 측방향 촬영에서 두 개의 철심이 겹쳐진 영상을 얻고자 하였다. 가장 알맞은 각도인 두 개의 철심이 겹친 영상을 얻기 위해 엑스선관 및 팬톰을 이용하여 여러 각도로 영상을 촬영하여 대학병원 영상의학과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방사선사 5명을 선정하여 주관적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평가를 통해 영상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S. T. Lee, The TEXTBOOK of radiographic Positioning clinical diagnosis 5th Edition, Chung-Ku Publisher, pp. 538-539, 2017. 

  2. S. T. Lee, The TEXTBOOK of radiographic Positioning clinical diagnosis 5th Edition, Chung-Ku Publisher, pp. 628-629, 2017. 

  3. H. O. Yu, The Human Anatomy 2th Edition, Pacific books , pp. 109-111, 2009. 

  4. G. S. No, The Image Inspection Full Course 2th Korean Medicine, Goryeo Medicine , pp. 76-77, 2013. 

  5. O. H. Lee, The PACICS Huma Anatomy 2012 2th Edition, Pacific books, pp. 103-107, 2012. 

  6. S. T. Lee, The TEXTBOOK of radiographic Positioning clinical diagnosis 5th Edition, Chung-Ku Publisher , pp. 604-605,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