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천 용천수에 서식하는 연준모치 Phoxinus phoxinus (Cyprinidae)의 생태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oxinus phoxinus (Cyprinidae) at the Spring Water in Eocheon Stream,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3 no.3, 2019년, pp.256 - 265  

변화근 (서원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어천 용천수에 서식하는 연준모치(Phoxinus phoxinus)의 생태적 특징을 연구를 위하여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온은 $9.7{\sim}14.3^{\circ}C$로 연중 $15^{\circ}C$ 이하를 유지하였다. 연준모치 공서종은 금강모치(Rhynchocypris kumgangensis, 70.14%), 둑중개(Cottus koreanus, 13.63%),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3.16%),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0.97%), 참갈겨니(Zacco koreanus, 0.49%), 참종개(Iksookimia koreensis, 0.24%) 등 이었다. 암수의 성비는 1:0.86 이었고 전장이 30~50 mm 집단은 만1년생, 50~65 mm는 만 2년생, 65~75 mm는 만 3년생, 75 mm 이상은 만 4년생으로 추정되었다. 암컷은 전장의 길이가 50 mm 이상이, 수컷은 60 mm 이상이 되어야 성적 성숙이 이루어졌다. 산란시기는 4월부터 7월이었으며 산란 성기는 6월에서 7월 이었다. 산란시기의 수온은 $12.3{\sim}14.3^{\circ}C$ 이었고 산란 성기는 $13.8{\sim}4.3^{\circ}C$ 이었다. 포란수는 평균 508개로 이었고 성숙란은 노란색으로 구형이었고 직경은 $1.58{\pm}0.13mm$ 이었다. 전장-체중과의 상관관계식은 $BW=0.000007TL^{3.09}$로 상수 a는 0.000007를, 매개변수 b는 3.09이었고, 비만도 평균 0.99(0.76~1.32) 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oxinus phoxinus in the spring water in Eocheon stream from January to December 2016. The water temperature was $9.7{\sim}14.3^{\circ}C$ and remained below $15^{\circ}C$ throughout the year. The fishes cohabiting with minnow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 냉수성인 연준모치는 여름철 수온이 20℃ 이하를 유지하는 최상류역이나 복류되는 하천에서 물이 솟아나는 부분이 서식지이며 용천수에서의 생태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복류 하천 중 물이 솟아나는 용천수에서 서식지 수환경, 공서어종, 산란시기, 포란수와 난의 크기, 성장도, 전장-체중 상관관계 등 생태적 특징을 밝혀 본 종의 자원 증식과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준모치를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하게 된 배경은? 이를 토대로 개체군 보호 및 어족자원을 고려한 하천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최근 들어 하천정비와 수질오염, 기후온난화에 따른 수온 상승,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분포역과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2017년에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ME, 2017)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국내에서 냉수성인 연준모치는 여름철 수온이 20℃ 이하를 유지 하는 최상류역이나 복류되는 하천에서 물이 솟아나는 부분이 서식지 이며 용천수에서의 생태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 이다.
연준모치는 무엇인가? 연준모치는(Phoxinus phoxinus)는 잉어과(Cyprinidae) 황어아과(Leuciscinae) 연준모치속(Phoxinus)에 속하는 어종이다. 연준모치는 Linnaeu가 1758년에 신종으로 기재한 종으로(Linnaeu, 1758) 분포 범위가 매우 넓어 Berg (1949) 는 3개의 아종으로 구분하였으며 한국산 표본은 미병장에 대한 미병고의 백분비가 36.
연준모치는 언제 신종으로 기재되었나? 연준모치는(Phoxinus phoxinus)는 잉어과(Cyprinidae) 황어아과(Leuciscinae) 연준모치속(Phoxinus)에 속하는 어종이다. 연준모치는 Linnaeu가 1758년에 신종으로 기재한 종으로(Linnaeu, 1758) 분포 범위가 매우 넓어 Berg (1949) 는 3개의 아종으로 구분하였으며 한국산 표본은 미병장에 대한 미병고의 백분비가 36.2∼4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nderson, R.O. and R.M. Neumann(1996)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uctural indices. Pages 447-482 in B.R. Murphy and D.W. Willis, editor. Fisheries Techniques, 2nd edition. American, pp. 447-482. 

  2. Anderson, R.O. and S.J. Gutreuter(1983)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ectural indices. L. A. Johnson. Fisheries techniques. American Fisheries Society. Betheda, Maryland, pp. 283-300. 

  3. Baek, H.M , H.B. Song, H.S. Sim, Y.G. Kim and O.K. Kwon(2002) Habitat segregation and prey selectivity on Cohabitation fishes, Phoxinus phoxinus and Rhynchocypris kumgangensis . Korean J. Ichthyol. 14(2): 121-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Bagenal, T. (1978) Methods for Assessment of Fish Production in Fresh Waters. Blackwell Scientific, pp. 48-116. 

  5. Berg, L.S. (1949) Freshwater fishes of the USSR and adjacent countries Ⅲ. Guide Fauna U.S.R. Nors. 30: 929-1382. (in Russian) 

  6. 10.13047/KJEE.2016.30.4.745 Byeon, H.K. (2016) The first record on the Rhynchocypris kumgangensis from Taehwa River, Korea. Kor. J. Env. Eco. 30(4): 745-7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K.C. , S.S. Choi and Y.P. Hong(1990) On the micro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 Coreoleuciscus splendidus (Gobioninae)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2(1): 63-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ijisa, Seoul. 727pp. (in Korean) 

  9. 10.2307/2422722 Cummins, K.W. (1962) An evalut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The American Midland Naturalist 67: 477-504. 

  10. 10.1016/j.fishres.2004.10.007 Ecoutin, J.M. , J.J. Albert and S. Trape(2005) Length-weight relationships for fish populations of a relatively undisturbed tropical estuary: The Gambia. Fisheries Research 72: 347-351. 

  11. Frost, W.E. (1943) The natural history of the minnow, Phoxinus phoxinus . J. anim. Ecol., 12: 139-162. 

  12. 10.1111/j.1095-8649.1997.tb01649.x Garner, P. (1997) Effects of variable discharge on the velocity use and shoaling behaviour of Phoxinus phoxinus . J. of Fish Biol. 50: 1214-1220. 

  13. Gunther, S. (1963) Freshwater fishes of the world. Viking Press Inc., New York, 425pp. 

  14. Howes, G.J. (1985) A revised synonymy of the minnow genus Phoxinus Rafinesque, 1820 (Teleostei: Cyprinidae) with comments on its relationships and distribution. Bull. Br. Mus. Zool. V. 48(1): 57-74. 

  15. Jeon, S.R. (1980)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es Figure 6. Total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Phoxinus phoxinus in the Eocheon Stream. from Korea. Doctoral thesis of Chungang University, pp. 14-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Jeon, S.R. (1989) Studies on the key and distribution of the genus Tribolodon , Phoxinus and Moroco (Pisces : Leuciscinae) from Korea. J. Basic Science. 3: 17-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n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518pp. (in Korean) 

  18. Kim, I.S. , G.Y. Lee and S.Y. Yang(1985) Systematic study of subfamily Leuciscinae (Cyprinidae) from Korea. Bull. Korea Fish. Soc. 18(4): 381-400. (in Korean) 

  19. Kim, I.S. ,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615pp. (in Korean) 

  20. Kottelat, M. and J. Freyhof(2007) Handbook of european freshwater fishes. Publications Kottelat, Cornol and Freyhof, Berlin, 646pp. 

  21. Kwater(2007) A guidebook of river in South Korea. Kwater, Daejeon, 582pp. (in Korean) 

  22. 10.1353/ks.1986.0003 Lee, G.Y. , S.I. Jang and M.J. Yun(1986) Karyotypes of nine species in the family Cyprinidae fishes from Korea. Korean J. Limnol. 19: 59-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J.Y. , J.S. Choi, J.K. Kim, Y.S. Jang, K.Y. Lee and B.C. Kim(2008) Ecological Effects of Kumgang fat minnow ( Rhynchocypris kumgangensis ) on Turbid Water. Korean J. Env. Eco. 22(2): 184-1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Linnaeus, C. (1758) Systema Naturae, Ed. X. 1. Laurentii Salvius, Stockholm, 824pp. 

  25. ME(Ministry of Environment)(2017) Conservation and management laws of wildlife (Law No. 737). (in Korean) 

  26. Miller, P.J. (1986) Reproductive biology and systematic problems in Gbioidei fishes. Indo-Pacific Fish Biology, pp. 640-647. 

  27. 10.1111/j.1365-2427.1987.tb01028.x Mills, C.A. (1987) The life history of the minnow Phoxinus phoxinus (L.) in a productive stream. Freshwater Biol. 17: 53-67. 

  28. 10.1111/j.1095-8649.1988.tb05498.x Mills, C.A. (1988) The effect of extreme northerly climatic conditions on life history of minnow, Phoxinus phoxinus (L.). J. of Fish Biol. 33: 545-561. 

  29. Min, M.S. , Y.J. Kim and S.Y. Yang(1995) mtDNA analysis of species of the genera Moroco and Phoxinus (Pisces, Leuciscinae). Korean J. Zool. 38: 87-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Mori, T. (1952) Check list of the fishes of Korea. Mem. Hyogo Univ. Agr. 1(3). Biol. Ser. 1. 288pp. 

  31. Nam, M.M. (1996) Present status of Korean freshwater fish. In 1996 Symposium of Korean Journal of Limnology Proc, pp. 31-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Nowak, M. , W. Popek, W. Jagusiak, S. Deptula, J. Popek, K. Tatoj, K. Kleczar and P. Epler(2009) Weight-length relationships for three fishes ( Leuciscus leuciscus , Phoxinus phoxinus , Salmo trutta ) from the Strwiaz River (Dniester River drainage). Arch. Pol. Fish. 17: 313-316. 

  33. Peter, S. , P.S. Maitland and R.N. Campbell(1992) The new naturalist, Freshwater fishes of the British Isles. Harper Collins Pub., Somerset, UK., pp. 206-210. 

  34. 10.1111/j.1095-8649.1987.tb05731.x Rasotto, M.B. , P. Cardellini and E. Marconato(1987) The problem of sexual inversion in the minnow, Phoxinus phoxinus (L.) J. of Fish Biol. 30: 51-57. 

  35. Song, H.B. and Y.M. Son(2002) Maturity and reproductive ecology of the minnow, Phoxinus phoxinus (Cyprinidae) in the upper South Han River, Korea. Korean J. Ichthyol. 14(4): 262-2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Uchida, K. (1939) The fishes of Tyosen. Part 1. Nematognathi, Eventognathi. Bull. Fish. Exp. Sta. Gov. Gener. Tyosen. 6., 459pp. 

  37. Wootton, R.J. and L.A. Mills(1979) Annual cycle in female minnow Phoxinus phoxinus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