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슬레저 웨어의 무역 네트워크 변화 - 사회연결망 분석 -
Changes in athleisure wear trade networks - A social network approach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7 no.3, 2019년, pp.251 - 263  

주나안 (에이라운지) ,  이현정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이규혜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spread of the health and wellness trend continues worldwide, many consumers are spending much time on sports activities and expressing their individuality through sportswear. This study analyzes the trade networks of major exporters and importers of athleisure wear to provide an exporting p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S Code 6211(트랙슈트 · 스키슈트 · 수영복과 그 밖의 의류)의 무역네트워크를 국가 간 무역 네트워크의 흐름과 방향, 구조의 복잡성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애슬레저 웨어 산업의 흐름을 분석하고, 다수 상대국 간의 상호 영향력을 밝히고자 한다.
  • 세계화로 국가 간 재화와 서비스의 이동이 용이해짐에 따라 국가 간의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자유무역 시대에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차별화에 초점을 맞춘 의류 수출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애슬레저 웨어의 주요 생산국과 소비국을 대상으로 무역 네트워크를 분석한 연구로, 국가 간 무역 네트워크의 흐름과 방향을 통해 애슬레저 웨어 산업의 흐름을 분석하고 향후 한국 애슬레저 웨어 수출 및 의류 기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다른 품목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비교 우위에 있는 품목을 찾아내고 우리나라 의류 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과 세부전략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과학기술 및 섬유기술의 발전 역시 고기능성 애슬레저 웨어의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 스포츠 웨어 수출 및 의류 기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애슬레저 웨어의 주요 생산국과 소비국을 대상으로 무역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무역 구조의 복잡성을 반영하여 애슬레저 웨어의 교역구조를 네트워크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세계 애슬레저 웨어 시장에서 한국의 위치와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애슬레저 웨어는 무엇인가? 애슬레저 웨어는 편안함과 기능성을 갖춘 의복으로, 과거 운동복과 달리 디자인과 형태가 다양해 일상복으로도 입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할리우드 스타들이 ‘1마일웨어(집에서 1마일 정도 거리를 편하게 입고 다닐 수 있는 옷)’로 요가복과 브라탑 등을 입는 모습이 매체를 통해 소개되며, 20~30대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애슬레저 웨어의 특징은 무엇인가? 애슬레저 웨어는 편안함과 기능성을 갖춘 의복으로, 과거 운동복과 달리 디자인과 형태가 다양해 일상복으로도 입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할리우드 스타들이 ‘1마일웨어(집에서 1마일 정도 거리를 편하게 입고 다닐 수 있는 옷)’로 요가복과 브라탑 등을 입는 모습이 매체를 통해 소개되며, 20~30대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어떠한 배경으로 인해 많은 패션업계는 애슬레저웨어를 신규 성장동력으로 설정하고 신규 라인을 론칭하거나 제품을 확대하고 있는가? 애슬레저 웨어는 편안함과 기능성을 갖춘 의복으로, 과거 운동복과 달리 디자인과 형태가 다양해 일상복으로도 입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할리우드 스타들이 ‘1마일웨어(집에서 1마일 정도 거리를 편하게 입고 다닐 수 있는 옷)’로 요가복과 브라탑 등을 입는 모습이 매체를 통해 소개되며, 20~30대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이처럼 운동복을 착용하는 시간과 횟수가 늘어나고, 운동할 때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운동복을 입는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국내 애슬레저 웨어 시장 규모는 2016년 1조 5천억 원에서 2020년 3조 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Korea Bizwire, 2018). 이에 따라 많은 패션업계는 애슬레저웨어를 신규 성장동력으로 설정하고 신규 라인을 론칭하거나 제품을 확대하고 있다(Moon,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Driver, R. (2018, August 22). Athleisure now accounts for 24% of US apparel sales, study says. Fashion Network , Retrieved May 1, 2019, from https://uk.fashionnetwork.com/news/Athleisure-now-accounts-for-24-of-US-apparel-sales-study-says,1006502.html 

  2. Freeman, L. C. (2004).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analysis: A study in the sociology of science . Vancouver, BC: Empirical Press. 

  3. 10.4135/9781529760170 Hofmann, A. , Gold, N. , & Curtin, C. (2019). Nike, Inc: Late arrival to the ‘athleisure-wear’ trend. Erasmus , Retrieved June 15, 2019, from http://hdl.handle.net/1765/116051 

  4. Hong, J. Y. , & Lee, J. Y. (2012). Global production network implemented in China. The Journal of Modern China Studies, 14 (1), 193-230. 

  5. 10.3390/ijerph16122161 Jang, J. W. (2015, December 17). 애슬레저, 내가 제 일 잘나가! [Athleisure, I am the best!]. Hana Fin ancial Investment , Retrieved May 1, 2019, from https://www.hanaw.com/download/research/FileServer/WEB/strategy/market/2015/12/16/What%A1%AFs%20Hot_Athleisure.pdf 

  6. Ji, H.-K. , & Rhee, E.-Y. (2006a). Intra-industry phenomena of clothing trad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8 (1), 37-48. 

  7. Ji, H.-K. , & Rhee, E.-Y. (2006b). The pattern of clothing export in leading count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 (3), 81-90. 

  8. Jo, H. W. (2019, June 13). 중국 스포츠웨어 시장동 향 및 트렌드 [Chinese sportswear market trends]. Kotra News , Retrieved June 15, 2019, from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75481 

  9. Kantar. (2019, June 11). BrandZ top global brands. Kantar Millward Brown , Retrieved June 15, 2019, from http://www.millwardbrown.com/brandz/rankingsand-reports/top-global-brands/2019 

  10. Kim, E. Y. (2017, January 19). “예뻐야 운동이다” 나 홀로 운동 ‘혼동족’을 위한 스포츠 웨어 뜬다 [“Pretty is a sport” Sportswear for people who exercise alone become trendy]. Chosun Biz , Retrieved May 1, 2019, fr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17/2017011702108.html 

  11. Kim, K.-H. (2009). Sportswear purchase decision factors and brand preference among college student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1 (4), 583-591. 

  12. Kim, S. J. (2019, February 11). 韓 애슬레져, 일본에 서 가능성 찾자 [Korea athleisure, look for possibilities in Japan]. The Industry News , Retrieved May 1, 2019, from http://tinnews.co.kr/16425 

  13. 10.5805/SFTI.2017.19.6.723 Kim, S. N. , Jung, H. J. , & Oh, K. W. (2017). The effects of lifestyles on pursuing benefits and purchase intention of athleisure wear.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9 (6), 723-735. doi:10.5805/SFTI.2017.19.6.723 

  14. Korea Bizwire. (2018, April 16). S. Korea’s sportswear market expected to top 2 tln won this year: Report. The Korea Bizwire , Retrieved May 1, 2019, from http://koreabizwire.com/s-koreassportswear-market-expected-to-top-2-tln-won-thisyear-report/117090 

  15. Kwon, J. (2016). A study on the athleisure of characteristics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8 (4), 101-116. 

  16. 10.21184/jkeia.2017.02.11.2.25 Kwon, J.-S. (2017). Athleisure of the expression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in fashion industry.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 (2), 25-35. 

  17. Lee, D. A. , & Ahn, I. S. (2016).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thleisure design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brands. Illustration Forum, 48 , 27-36. 

  18. Lee, J. , Choi, S. , & Do, W. (2017). A study on the wearing condition of athleisure wear of Korean women in their 20’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9 (5), 579-588. doi:10.5805/SFTI.2017.19.5.579 

  19. Lee, J. W. (2018, August 9). 트렌드에 맞추어 변화하 는 프랑스 스포츠웨어시장 [French sportswear market changing according to trend]. Kotra News , Retrieved June 15, 2019, from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68844 

  20. 10.18208/ksdc.2018.24.1.443 Lee, K. Y. (2018). A study on athleisure look in current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4 (1), 443-453. doi:10.18208/ksdc.2018.24.1.443 

  21. Lee, S. E. (2019, June 17). 미국, 애슬레저(Athleisure) 트렌드에 열광하다 [USA is enthusiastic about athleisure]. Kotra News , Retrieved June 18, 2019, from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74863 

  22. Lee, S. J. (2018, November 15). 스포츠에 과학을 더 하다, 네덜란드 스포츠 혁신 아젠다 2015-2020 [Adding Science to Sports, The Netherlands SportsInnovation Agenda 2015-2020]. Kotra News , Retrieved June 15, 2019,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71008 

  23.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8). 2018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 [2018 trend of daily sports participation in Korean]. Retrieved May 1, 2019, from https://www.mcst.go.kr/kor/s_policy/dept/deptView.jsp?pDataCD=0408010000&pSeq=1228 

  24. Moon, B. H. (2016, October 20). 나이키․언더아머 가 잘 나가는 이유 [The reasons why Nike and Under Armor are selling well]. Fashion Seoul , Retrieved May 1, 2019, from https://www.fashionseoul.com/125332 

  25. 10.14504/ar.16.4..2 Musante, G. (2016). Trending near you: Athleisure. AATCC Review, 16 (4), 40-44. 

  26. Park, H. , & Lee, J. Y. (2018). 한국 패션의류산업의 구조고도화 전략 [Structure upgrading strategy of Korea fashion industry].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 Retrieved May 1, 2019, from www.kiet.re.kr/part/sDownload.jsp?s_idx=46871 

  27. 10.18652/2018.18.2.4 Park, J. H. , & Chun, J. H. (2018). The characteristics of styling of a mix and match of an athleisure wear: Focused on street fashion. Journal of Fashion Design, 18 (2), 55-72. doi:10.18652/2018.18.2.4 

  28. 10.1353/asr.2018.0029 Petriccione, A. (2018). Fashion vs. function: A look at new opportunities for fashionable and functional travel wear. Advertising & Society Quarterly, 19 (3). doi:10.1353/asr.2018.00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