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유도재생술용 차폐막 적용을 위한 polyvinylidene fluoride와 polyacrylonitrile 나노섬유의 평가
Evaluation of Polyvinylidene Fluoride and Polyacrylonitrile Nanofibers for Barrier Membrane Application in Guided Bone Regeneration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6 no.3, 2019년, pp.125 - 134  

임윤경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생화학교실) ,  국중기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생화학교실) ,  유상준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이원표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이경현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김희중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  이승훈 (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  김찬 ((주)아모그린텍 신소재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various nanofiber membranes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using electrospinning methods have been re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 vitro osteogenesis efficiency of electrospun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nd polyacrylonitrile (PAN) membranes. Nano sized topograp...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소수성 소재인 PVDF(polyvinylidenefluoride)와 친수성 소재인 PAN(polyacrylonitrile)을 전기 방사법으로 3차원 다공성 멤브레인을 제조하여 비흡수성 차폐막의 기준이 된 불소계 PTFE 멤브레인과의 비교를 통해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나노섬유가 갖는 물리적 특성인 ECM 유사구조와 높은 비표면적 특성, 친수 및소수성 표면특성이 골유도 재생술용 차폐막으로 적용 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생물학적 특성과 유전자 및 단백질 레벨에서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소수성 소재인 PVDF(polyvinylidenefluoride)와 친수성 소재인 PAN(polyacrylonitrile)을 전기 방사법으로 3차원 다공성 멤브레인을 제조하여 비흡수성 차폐막의 기준이 된 불소계 PTFE 멤브레인과의 비교를 통해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나노섬유가 갖는 물리적 특성인 ECM 유사구조와 높은 비표면적 특성, 친수 및소수성 표면특성이 골유도 재생술용 차폐막으로 적용 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생물학적 특성과 유전자 및 단백질 레벨에서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기방사된 평균 직경 300 nm 내외의 대표적인 소수성 PVDF와 친수성 PAN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하여 비흡수성 차폐막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PTFE계 cytoplast와 비교하여 골유도재생술용 차폐막으로써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유도재생술이란 무엇인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 소실이 심한 부위가 존재할 경우 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또는 합성골 등을 이식하여 골조직을 재생하는 골이식술과 골유도재생술 등의 임상적 처치로 진행하게 된다. 골유도재생술은 차폐막을 사용하여 골 재생에 작용하는 4가지 세포 중 골결손 부위로 인접 상피세포 및 결체조직세포의 이동을 막아 치주인대 세포와 치조골 세포로 골조직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개념이다[3,4]. 1980년대 셀룰로스계 필터 차폐막을 이용하여 치주조직 재생 임상증례가 보고된 후 PTFE계 Teflon® 등을 사용한 사람의 임상연구를 통해 조직유도재생술(guided tissue regeneration, GTR)이 확립되었으며, 골유도재생술 개념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5,6].
연신법, 염 추출법으로 제조되는 멤브레인은 어떠한 단점이 있는가? 현재, 차폐막에 응용되는 대표적인 멤브레인은 연신법, 염 추출법과 전기방사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연신법이나 염 추출법은 필름상에 기공(pore) 구조를 부여하는 기법으로 기공의 형태나 크기가 제각각이며, 표면에서 이면까지 연결된 세공구조를 갖기 힘든 닫힌 세공 구조(closedpore structure)이며,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9]. 반면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은 직경 1 µm 미만의 섬유상 구조체가 방사와 동시에 3차원으로 적층되면서 이루어지는 다공성 시트상 구조체로 의류용, 전기전자분야, 의료용에 이르기까지 기초소재로서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이 진행되고 있다.
이상적인 차폐막의 조건은 무엇인가? 이러한 차폐막은 상피세포의 하방 증식을 차단하고, 선택적인 세포증식을 위해 조직 내에서 노출되지 않으면 서염증 반응 없이 세포 재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적인 차폐막으로는 생체 적합성과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공간 유지능, 세포 폐쇄성, 혈액을 통한 영양분이나 생체가스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투과성 구조체, 조작 용이성, 생분해성 및 저가격 등의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차폐막은 생분해성이 가능한 흡수성 소재와 신생 조직 재생 후 제거하는 비흡수성 소재로 구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 S. Shin and H. Y. Cho, "Bone Remodeling and Mineralization", Endocrinol. Metab., 2005, 20, 543-555. 

  2. Y. S. Won, C. H. Choi, and H. N. OH, "Risk Factor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4, 38, 176-183. 

  3. A. H. Melcher, "On the Repair Potential of Periodontal Tissue", J. Periodontol., 1976, 47, 256-260. 

  4. D. H. Han, K. S. Hong, C. H. Chung, and S. B. Yim, "A Comparative Study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of Silk Fibroin Nanomembrane(NanoGide-STM)",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2008, 38, 475-482. 

  5. J. Gottlow, S. Nyman, J. Lindhe, T. Karring, and J. Wennstrom, "New Attachment Formation in the Human Periodontium by Guided Tissue Regeneration. Case Reports", J. Clin. Periodontol., 1986, 13, 604-616. 

  6. S. Nyman, T. Karring, and J. Lindhe, "The Regenerative Potential of the Periodontal Ligament. An Experimental Study in the Monkey", J. Clin. Periodontol., 1982, 9, 257-265. 

  7. Z. Sheikh, M. N. Abdallah, N. Hamdan, M. A. Javaid, and Z. Khurshid, "Barrier Membranes for Periodontal Guided Tissue Regeneration Applications", Handbook of Oral Biomaterials, 1st ed., Chapter 19, Pan Stanford Publishing, 2014, pp.601-638. 

  8. R. K. Schenk, D. Buser, W. R. Hardwick, and C. Dahlin, "Healing Pattern of Bone Regeneration in Membraneprotected Defects: A Histologic Study in the Canine Mandible",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4, 9, 13-29. 

  9. E. G. Cho, C. Kim, J. K. Kook, Y. I. Jeong, J. H. Kim, Y. A. Kim, M. Endo, and C. H. Hwang, "Fabrication of Electrospun PVDF Nanofiber Membrane for Western Blot with High Sensitivity", J. Membr. Sci., 2012, 389, 349-354. 

  10. J. Xue, M. He, Y. Liang, A. Crawford, P. Coates, D. Chen, R. Shi, and L. Zhang,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Electrospun PCL-gelatin Micro-/nanofiber Membranes for Anti-infective GTR Implants", J. Mat. Chem. B, 2014, 2, 6867-6877. 

  11. H. G. Jeong, Y. S. Han, K. H. Jung, and Y. J. Kim, "Poly(vinylidene fluoride) Composite Nanofibers Containing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Epigallocatechin Gallate Conjugate for Bone Tissue Regeneration", Nanomaterials, 2019, 9, 184-199. 

  12. S. H. Lee, Y. M. So, S. H. Jang, H. J. Sim, and C. Kim, "A Feasibility Study of Commercialization of PVDF Nanofiber Containing Plasticizer", Text. Sci. Eng., 2017, 54, 217-223. 

  13. H. Wei, M. Zuwei, Y. Thomas, E. T. Wee, and R. Seeram, "Fabrication of Collagen-coated Biodegradable Polymer Nanofiber Mesh and Its Potential for Endothelial Cells Growth", Biomaterials, 2005, 26, 7606-7615. 

  14. J. Y. Shim, I. H. Kim, M. K. Paik, and A. S. Om, "Proliferation and Extra Cellular Matrix Formation Effects of Genistein on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 Line", Cancer Prev. Res., 2009, 14, 48-53. 

  15. B. R. Sin, H. M. Kim, S. M. Kim, D. K. Kim, J. E. Song, C. H. Park, and G. S. Kang, "Osteogenesis Differentiation of Rabbit Bone Marrow-mesenchymal Stem Cells in Silk Scaffold Loaded with Various Ratios of Hydroxyapatite", Polymer(Korean), 2016, 40, 915-924. 

  16. G. I. Im,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nd Transcription Factors for Osteogenesis", J. Rheum. Dis.(JRD), 2008, 15, 1-10. 

  17. Y. Liu, C. Xu, Y. Gu, X. Shen, Y. Zhang, B. Li, and L. Chen, "Polydopamine-modified Poly(L-lactic acid) Nanofiber Scaffolds Immobilized with an Osteogenic Growth Peptide for Bone Tissue Regeneration", RSC Adv., 2019, 9, 11722-11736. 

  18. J. H. Kim, D. K. Kim, O. J. Lee, H. W. Ju, J. M. Lee, B. M. Moon, H. J. Park, D. W. Kim, J. M. Lee, and C. H. Park, "Osteoinductive Silk Fibroin/titanium Dioxide/hydroxyapatite Hybrid Scaffold for Bone Tissue Engineering", Inter. J. Biol. Macromol., 2016, 82, 160-167. 

  19. K. Nakashima, X. Zhou, G. Kunkel, Z. Zhang, J. M. Deng, R. R. Behringer, and B. Crombrugghe, "The Novel Zinc Fingercontaining Transcription Factor Osterix is Required for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Formation", Cell, 2002, 108, 17-29. 

  20. X. Wang, B. Ding, and B. Li, "Biomimetic Electrospun Nanofibrousstructures for Tissue Engineering", Materials Today, 2013, 16, 229-2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