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성분분석에 의한 TMY 특성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 of Typical Meteorological Year Apply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원문보기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39 no.3, 2019년, pp.67 - 79  

김신영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자원.정책센터) ,  김창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자원.정책센터) ,  강용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자원.정책센터) ,  윤창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자원.정책센터) ,  장길수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  김현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자원.정책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liable Typical Meteorological Year (TMY) data, sometimes called Test Reference Year (TRY) data, are necessary in the feasibility study of renewable energy installation as well as zero energy building. In Korea, there are available TMY data; TMY fro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KIER), T...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국내 TMY 데이터 3종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먼저 기상요소의 통계적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TMY 데이터를 구성하는 기상요소의 구조적인 적합성을 판별하고, 자료구조의 지점별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TMY 데이터를 제공하는 KIER, PHIKO, KSES의 TMY 데이터를 구성하는 기상요소가 어떤 차이와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공통요소의 연평균 및 표준편차를 비교함으로써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수행했던 TMY 구성요소에 대한 통계적 분석과 더불어 TMY의 자료특성을 알아내기 위해 TMY 구성요소들에 대한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4개의 주성분으로 77%의 설명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KIER의 TMY 데이터는 세 기관 중 주성분의 설명력이 가장 높다.
  • 본 논문에서는 주성분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SA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고, scree plot을 이용하여 고유값이 1 이상이며 그래프의 기울기가 급격하게 변하는 구간을 기점으로 주성분의 개수를 결정하였다. 아울러 건물의 열과 에너지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며, 태양광, 태양열 발전시스템의 성능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온도와 일사량이 주성분으로, 각 지점별로 동일한 주성분이 도출될 때 일관성 있고 신뢰성 있는 TMY라는 가설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MY 데이터는 주로 어디에 사용되는가? TMY 데이터는 수평면 전일사량, 법선면 직달일사량, 건구온도, 풍속 등 다양한 기상요소를 포함하며, 제작방법 및 형식에 따라 포함되는 기상요소에 다소 차이가 있다. TMY 데이터는 주로 건물의 단열 및 냉난방 설비 설계와 태양광, 태양열 등 태양에너지 시스템의 성능평가 시 사용된다. 장기간 기상의 패턴을 반영하므로 특정기간의 기상 예측이나 실시간 건물에너지, 효율 평가에는 적합하지 않다.
TMY 데이터는 무엇인가? TMY(Typical Meteorological Year) 데이터는 장기기상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각 월마다 대표년을 선택하여 만든 1년간의 시간별 기상자료로 미국에서는 TMY, 유럽에서는 TRY(Test Reference Year)라고 명명한다1). TMY에 대한 개념은 Fig.
한국태양에너지학회에서 제공하는 TRY 데이터에는 어떤 단점이 있나? 국내의 주요 TMY 데이터로는 한국태양에너지학회(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KSES)에서 제공하는 7개 지점의 TRY 데이터가 있다5). 그러나 최신의 기상관측 데이터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어, 2017년 한국패시브건축협회(Passive House Institute Korea, PHIKO)에서는 국내 70개 지점의 TRY 데이터를 생산하였다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KIER)에서는 2015년부터 국내 일사관측 22개 지점에 대한 TMY 데이터를 제작하고 국가참조표준 데이터로 등록하였으며, 국가참조표준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Nielsena, K. P., Blanc, P., Vignola, F., Ramirez, L., Blanco, M., and Meyer, R. Discussion of currently used practices for: "Creation of Meteorological Data Sets for CSP/STE Performance Simulation", SolarPACES Report, IEA SolarPACES, 2017. 

  2. Wilcox, S. and Marion, W., Users Manual for TMY3 Data Sets,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2008. 

  3. Habte, A., Lopez, A., Sengupta, M., and Wilcox, S., Temporal and Spatial Comparison of Gridded TMY, TDY, and TGY Data Sets,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2014. 

  4. EnergyPlus. Available online: https://energyplus.net/weather/sources#IWEC 

  5.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KSES). Available online: http://www.kses.re.kr/data_06/list_hi.php. 

  6. Passive House Institute Korea(PHIKO). Available online: http://www.phiko.kr/bbs/ board.php?bo_tablez3_01&wr_id2479. 

  7.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KRISS). Available online: http://www.srd.re.kr/db/srdDbInfoView.do?scidS06001003. 

  8. Kim, E. Y. and Jun, H. J., A Study on Influence of Type of Weather Data on Results of Building Energy Performance Simula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9, No. 3, pp. 317-326, 2013. 

  9. Yang, L., Wan, K. K. W. Li, D. H. W. and Lam, J. C., A New Method to Develop Typical Weather years in Different Climates for Building Energy use Studies, Energy, Vol. 36, pp. 6121-6129, 2011. 

  10. Kevin, K. W., Wan, K. L., and Yang, C. L., Lam, J. C. A New Variable for Climate Change Study and Implications for the Built Environment, Renewable Energy, Vol. 34, pp. 916-919, 2009. 

  11. Lam, J. C., Kevin K. W., Wan, Lam, T. N. T., and Wong, S. L., An Analysis of Future Building Energy use in Subtropical Hong Kong, Energy, Vol. 35, pp. 1482-1490, 2010. 

  12. Realpe, A. M., Vernay, C., Pitaval, S., Lenoir, C., and Blanc, P., Benchmarking of Five Typical Meteorological year Datasets Dedicated to Concentrated-PV systems, Energy Procedia 97, pp. 108-115, 2016. 

  13. Finkelstein, J. M. and Schafer, R. E., Improved Goodness-of-fit tests, Biometrika, Vol. 58, No. 3, pp. 641-645, 1971. 

  14. Lee, H. J., Kim, S. Y., and Yun, C. Y., Generation of Typical Meteorological Year Data Suitable for Solar Energy Systems and Analysis of Solar Irradiance Data, New & Renewable Energy, Vol. 13, No. 3, 2017. 

  15. Lee, H. J., Kim, S. Y., and Yun, C. Y., Comparison of Solar Radiation Models to Estimate Direct Normal Irradiance for Korea, energies, 2017. 

  16. Lee, K. H., Yoo, H. C., and Levermore, G. J., Quality Control and Estimation Hourly Solar Irradiation on Inclined Surfaces in South Korea, Renewable Energy, 57, pp. 190-199, 2013. 

  17. Kim, S. Y., Lee, H. J., Kim, H. G., Jang, G. S., Yun, C. Y., Kang, Y. H., Kang, C. S., and Choi, J. O., A Study on Uncertainty to Direct Normal Irradiance of Typical Meteorological Year Data, New & Renewable Energy, Vol. 12, No. S2, pp. 36-43, 2016. 

  18. Yoo, H. C., Noh, K. H., Kang, H. G., and Shin, I. 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ypical Meteorological data by in Korea,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29, No. 2, pp. 361-366, 2009. 

  19. Yoo, H. C. and Park, S. H., Comparative Analysis of Diverse Typical Weather data Model for Building Energy Assessment,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0, No. 3, pp. 215-222, 2014. 

  20. Wilks, D. S., Statistical Methods in the Atmospheric Sciences, Third edition, Academic press,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