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기술이용 식품첨가물 국내·외 심사 현황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approval of the new technology-based food additives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52 no.2, 2019년, pp.188 - 201  

이진규 (이화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로운 식품원료 첨가물에 대한 산업 활성화를 위한 대표적 사례는 미국의 GRAS 제도이다. GRAS 제도의 가장 큰 특징은 FDA의 승인을 반드시 거치지 않더라도 전문 심의위원회(사설)의 검토를 거쳐 안전한 식품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를 제조 판매가 가능한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GRAS 제도는 식품으로의 사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책임을 제조사가 가져가는 구조임을 감안할 때, 현실적으로 국내의 식약처 중심의 안전성 심사 및 관리 체계에서는 도입하는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유럽 Novel Food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이러한 국내 환경과 유사하므로 유럽 법규 현황에 대한 세부적인 선행 사례 분석이 유의미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국의 신식품원료 심사제도는 유럽의 Novel Food 제도와 기본적 철학면에서는 운영에 있어 유사한 부분이 보이나, 자국 내 지정된 시험평가 기관에서 직접 평가한 결과만을 심사 검토의 기준 자료만으로 채택하고 있어 한국 국내 관련 산업의 활성화와 해외로의 진출을 지향하며 작성하게 된 본 지의 취지와 격차가 크다고 분석하였다. 마찬가지로 일본의 사례는 위해성 심사의 주관을 경제산업성이 맡고 있으면서, 경제산업성 산하의 독립행정법인인 제품평가반 기술기구(NITE)의 사전심사 기능 부여라는 분권화를 주된 특징으로 채택하고 있어 정부 주도의 한국 내 심사제도의 개선을 위해 제도적인 측면에서 참고할 부분의 발굴이 용이치 않다고 사료되었다. 이러한 사유로 유럽과 미국의 현행 법규에 한정하여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표 3). 미국 유럽 한국의 신규 식품소재의 인허가 심사 체계는 1) 기존 등록된 식품원료 첨가물과의 동등 규격 여부에 대한 유권해석, 2) 새로운 식품첨가물인 경우 제품의 안전성 심사, 3) 식품 제조 관리 기준에 따른 생산 인허가의 3단계 과정을 거쳐서 진행이 되며, 각국별 기준은 다소 차이가 있어도 기본적인 심사의 절차 및 소요기간은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제조의 과정에 유전자변형미생물 자체 혹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효소제 등을 사용할 경우, 미국의 GRAS 제도의 경우는 별도의 심사가 아닌 제품의 GRAS 심사의 과정 중에 모두 포함되어 안전성을 심사하는 것과 달리, 유럽 한국의 경우는 제품에 대한 안전성 심사 이외에 미생물과 효소제에 대한 별도의 안전성 심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유럽 Novel Food의 경우는 제조 과정 중 사용되는 유전자변형미생물의 경우 밀폐환경이용(contained use) 여부에 따른 완화된 법규 및 별도의 효소 균주의 positive list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국내와는 실질적으로 새로운 식품첨가물의 산업화를 위한 소요 일정, 비용이 매우 간소화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Kim, 2014) (그림 8).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ast, food additives were classified and managed as chemical synthetic and natural additive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but it was difficult to confirm the purpose or function of food additives.CODEX, an internationalstandard, classifies food additives according to their pract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최종 식품첨가물에 포함되지 않는 바이오 이용 기술인 제조공정용 가공 보조제(processing aids)에 대한 적절한 기준안이 없어 실질적인 국내 바이오·식품산업의 활성화를 더디게 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받고 있다(한국법제연구원, 2015; 한국생명공학회, 2017). 이러한 세계 추세에 대응하고 궁극적으로는 본 분야의 산업적 활성화를 염두에 두며 현재 한국의 식품첨가물 심사제도의 보완을 위해 참고할 외국의 신기술 이용 식품첨가물의 관련 법규와 심사제도의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첨가물 시장 규모로 2024년 말까지 1,15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러한 높은 수치를 예상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식품 첨가물은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장기간 섭취하기에 적합하도록 유통기한을 연장하여 식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주목적이 있다. 또한, 높은 경제 성장과 더불어 삶의 방식의 변화로 인해 가공 제품 및 음료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를 제조함에 있어 주로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 시장의 성장이 촉진될 것으로 예상한다. 식품첨가물은 제빵 및 제과, 음료, 유제품 및 냉동 제품, 소스 및 드레싱 등 다양한 분야의 식품의 제조에 응용되고 있다. 특히, 전세계 냉동 디저트 시장 규모는 2017년에 미화 100억 달러를 넘었으며, 외식의 증가 추세와 맛있는 향미에 대한 젊은 세대의 선호적 성향으로 꾸준한 시장규모의 성장이 예상된다. 미국 식품 첨가물 시장 수요는 다양한 물질의 허가와 관련한 호의적 정책으로 인해 2024년말까지 230억 달러를 초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7a, 2017b, 2017c). 또한, 비만과 신진 대사 증후군의 확산으로 기능성 식품성분과 보조제의 섭취 역시 증가하게 되리라 예상한다(통계청, 2016, 2017a, 2017b).
식품위생법에서 정의한 식품첨가물이란? 식품위생법(국가법령정보센터, 2019)에서 정의한 식품첨가물은 “식품을 제조·가공·조리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감미(甘味), 착색(着色), 표백(漂白) 또는 산화방지 등을 목적으로 식품에 사용되는 물질”로 맛, 향, 풍미, 외관, 색, 영양 등을 포함한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거나 감각적 특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더불어 “기구(器具)·용기·포장을 살균·소독하는 데에 사용되어 간접적으로 식품으로 옮아갈 수 있는 물질”까지 포함하여 관리되고 있다(백, 2016; 최, 2013).
GRAS 제도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새로운 식품원료 첨가물에 대한 산업 활성화를 위한 대표적 사례는 미국의 GRAS 제도이다. GRAS 제도의 가장 큰 특징은 FDA의 승인을 반드시 거치지 않더라도 전문 심의위원회(사설)의 검토를 거쳐 안전한 식품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를 제조 판매가 가능한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GRAS 제도는 식품으로의 사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책임을 제조사가 가져가는 구조임을 감안할 때, 현실적으로 국내의 식약처 중심의 안전성 심사 및 관리 체계에서는 도입하는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