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교류 음 전압에 따른 형광 OLED의 전계 발광 특성
Electro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Fluorescent OLED with Alternating Current Negative Voltage 원문보기

한국표면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v.52 no.2, 2019년, pp.72 - 77  

서정현 (대진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양재웅 (대진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백경갑 (대진대학교 전자공학과) ,  주성후 (대진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C driven OLED, we fabricated the fluorescent OLEDs and analyzed the electroluminescence characteristics of OLEDs with AC negative voltage. The luminance and the current density of the OLED decreased, and the number and size of the dark spots increased in proportion 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적색 형광 OLED를 열 기상 증착법으로 제작하여 교류전원의 음 전압(negative voltage) 성분이 OLED의 전계발광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류회로를 이용하여 양 전압 성분을 제거한 다양한 전압의 교류 음전압을 OLED에 인가하여 시간에 따른 전압밀도, 발광휘도, 전류발광효율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층구조 녹색 형광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층구조 녹색 형광 유기 전계 발광 소자(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가 보고된 이후 OLED는 차세대 광원 소자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6]. OLED는 별도의 광학 설계 없이 면광원 형태의 조명 구현이 가능하고, 종이처럼 얇고 가벼우며, 발광 색을 결정하는 재료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고연색성의 발광이 가능하며, 디자인 자유도가 우수하여 다양한 용도와 형태의 조명으로 사용이 가능하다[2-6]. 조명 분야에서 OLED의 경우 직류(DC : direct current)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교류(AC : alternating current) 전원을 직류 전원의 형태로 만들기 위해 AC / DC 변환기를 포함하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방식이 주로 사용한다.
OLED의 구동하는 방법은 어떻게 되는가? OLED는 별도의 광학 설계 없이 면광원 형태의 조명 구현이 가능하고, 종이처럼 얇고 가벼우며, 발광 색을 결정하는 재료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고연색성의 발광이 가능하며, 디자인 자유도가 우수하여 다양한 용도와 형태의 조명으로 사용이 가능하다[2-6]. 조명 분야에서 OLED의 경우 직류(DC : direct current)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교류(AC : alternating current) 전원을 직류 전원의 형태로 만들기 위해 AC / DC 변환기를 포함하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방식이 주로 사용한다. OLED를 상용 교류전원에 직결로 연결하여 최소한의 보호 회로로 구동할 경우, OLED 조명의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하며,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수명이 OLED에 의해 결정되어 조명장치의 수명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OLED를 60Hz 교류 전원에서 구동할 경우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또한 전원 공급 장치가 소비하는 전력만큼 효율이 개선되며, 디자인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5-6]. OLED를 60 Hz의 교류 전원에서 구동할 경우 직류 구동 OLED 보다 낮은 전압에서 발광이 시작되고, 낮은 전압 영역에서 직류 구동보다 우수한 효율을 나타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여러 개의 OLED를 직렬로 연결하여 상용 교류전원에서 직결로 OLED 구동이 가능함을 확인한 바가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W. Tang, S.A. Vanslyk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s, Appl. Phys. Lett., 51 (1987) 913-915. 

  2. J. Kido, M. Kimura, and K. Nagai, Multilayer white light-emit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Science., 267 (1995) 1332-1334. 

  3. T. Tsuboi, H. Murayama, S. J. Yeh, and C. T. Chen, Energy transfer between organic fluorescent CBP host and blue phosphorescent FIrpic and FIrN4 guests, Opt. Mater., 29 (2007) 1299-1304. 

  4. Hyun-Dong Chun, Hyunseok Na, and Sung-Hoo Ju, Emission Properties of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Blue Emitting Layer, J. KIEEME., 26 (2013) 451-456. 

  5. J. H. Seo, J. H. Kim, and S. H. Ju, Emission Characteristics of Fluorescent OLED with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Driving Method, J. KIEEME., 27 (2014) 104-109. 

  6. J. H. Seo, S. H. Ju, Electroluminaescent Characteristics of Fluorescent OLED with Alternating Current Forward Bias, J. Korean Inst. Surf. Eng., 50 (2017) 398-404. 

  7. P. E. Burrows, V. Bulovic, S. R. Forrest, L. S. Sapochak, D. M. McCarty, and M. E. Thompson, Reliability and degrada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Appl. Phys. Lett., 65 (1994) 2922. 

  8. S. F. Lim, W. W. Wang and S. J. chua, Degradation of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due to formation and growth of dark spots, J.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22, (2001) 154-159. 

  9. P. E. Burrows, V. Bulovic, S. R. Forrest, L. S. Sapochak, D. M. McCarty, and M. E. Thompson, Reliablity and degrada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Appl. Phys. Lett., 65 (1994) 2922-2924. 

  10. M. Matsumura and Y. Jinde, Voltage dependance of light-emitting zone in aluminumhydroxyquinoline layers of organic heterojunction el devices, IEEE Trans. Electron Devices., 44, (1997) 1229-1233. 

  11. C. W. Tang, An overview of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J. of the SID., 5, (1997) 1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