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소화불량의 식적설문지 개발과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
Development of a Food Retention Questionnaire for Functional Dyspepsia and the Analysis of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40 no.3, 2019년, pp.390 - 408  

황미니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하나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고석재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박재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김진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Several pattern diagnosis questionnaires have been developed to objectify the process of pattern diagnosis in Korean medicin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food retention questionnaire for functional dyspepsia (FRQ-FD) by modifying the previously developed food reten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설문지 초안을 각각 30명의 식적 환자군과 건강 대조군을 대상으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을 하였고, 최종 17문항으로 구성된 기능성소화불량의 식적설문지를 개발하여 식적 변증의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종 소화불량 평가 지표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개발된 식적설문지를 임상 및 연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 문헌 조사와 전문가 집단의 합의를 거쳐 기 개발된 식적 변증설문지 문항 이외의 항목을 추가로 선정하였다. 본 설문지 초안을 각각 30명의 식적 환자군과 건강 대조군을 대상으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을 하였고, 최종 17문항으로 구성된 기능성소화불량의 식적설문지를 개발하여 식적 변증의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종 소화불량 평가 지표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개발된 식적설문지를 임상 및 연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변증설문지 개발 필요성에 발맞추어 기능성소화불량의 식적설문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Park 등15에 의해 이미 개발된 식적 변증설문지가 존재하나, 이는 연구 대상자가 특정 질환 군에 한정되지 않았고 한의사의 판단이 필요한 복진(腹診), 맥진(脈診), 설진(舌診) 항목이 고려되지 않았으며 또한 변증의 황금 표준(gold standard)이 13명의 한의사 각자의 주관에 의한 것이었다.
  • 18점으로 책정되어 있으며 이 점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비기허증으로 진단하고, 이하인 경우에는 비기허증이 아닌 것으로 진단한다22. 본 연구에서는 FRQ-FD와 SQDQ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였다.
  • 이 평가 도구의 최적 절단값은 14점으로 책정되어 있으며 이 점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위기허증으로 진단하고, 이하인 경우에는 위기허증이 아닌 것으로 진단한다. 본 연구에서는 FRQ-FD와 SSQD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였다.
  • 연구 대상자에게 0~100 mm의 연속된 직선을 제시한 뒤, 0은 ‘소화불량이 없음’, 100은 ‘매우 심한 소화불량’으로 기준을 세워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전반적인 소화불량에 대한 불편감을 직선 위에 사선으로 그어 시각적 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RQ-FD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였다.
  •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기존의 FRQ 문항을 활용하여 연구의 재현성을 높이는 동시에, 연구 대상자를 기능성소화불량으로 한정하여 해당 질환에 대한 특이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그러나 한의사의 주관적 판단인 복진(腹診), 맥진(脈診), 설진(舌診) 항목이 포함되지 않았고, 연구 대상자를 특정 질환 군으로 국한하지 않았으며, 13명의 한의사 각자가 주 관에 따라 식적을 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FRQ를 보완하여, 기능성소화불량 환자들에 대한 한방 진료 시 식적을 객관적이고 간편하게 변증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Park 등15에 의해 이미 개발된 식적 변증설문지가 존재하나, 이는 연구 대상자가 특정 질환 군에 한정되지 않았고 한의사의 판단이 필요한 복진(腹診), 맥진(脈診), 설진(舌診) 항목이 고려되지 않았으며 또한 변증의 황금 표준(gold standard)이 13명의 한의사 각자의 주관에 의한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식적 변증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기능성소화불량 환자에 대한 한방 진료 시 식적을 객관적이면서 간편하게 변증하기에 적합한 설문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문헌 조사와 전문가 집단의 합의를 거쳐 기 개발된 식적 변증설문지 문항 이외의 항목을 추가로 선정하였다.
  • 임상타당도는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집단을 구 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각 항목에 대한 환자군과 대조군의 응답 결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3개 문항(3번, 6번, 14번)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응답 결과 값이 유의하게 높았기에, 이들 3개 문항을 제외한 17문항의 FRQ-FD의 임상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소화불량(Functional dyspepsia, FD)이란 무엇을 일컫는가? 기능성소화불량(Functional dyspepsia, FD)은 기질적 원인 없이 식후 더부룩함, 조기 만복감, 명치 부근 동통이나 화끈거림 등의 상복부 증상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1 . 아직까지 명확한 병리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으며, 최근에는 기능성소화불량이 가지는 타 질환과의 동반 이환성 (comorbidity)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과민성장증후군2이나 위식도역류질환3 등의 기능성 위장관 장애(functional gastrointestional disorders), 섬유근육통4이나 만성 두통을 포함한 통증 장애(pain disorders), 불안이나 기분 장애 등의 정신 장애(psychological disorders) 5 등과 관련 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능성소화불량과 식적을 비교할 때, 어떤 결과를 예상할 수 있는가? 기능성소화불량과 식적을 동일한 개념으로 볼 수는 없으나, 각각의 병인과 증상을 고려할 때 둘은 상당 부분 공통성을 공유하고 있 다. 이에 기능성소화불량 환자에 대한 한방 진료 시 임상적 지표로써 식적을 진단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변증설문지에 의한 진단 자료를 활용하면 어떤 점에 좋은가? 최근에는 변증을 표준화하고 간편화하여 임상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변증진단도구를 개발하려는 노력들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변증설문지에 의한 진단 자료는 의료정보학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근거중심의학의 바탕이 될 수 있고, 임상 통계의 연구 자료로써 가치가 있으며, 주요한 질병과 증상에 대해 한의학적 진단 및 치료가 지니는 임상적 효율성을 입증할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다11 . 현재 한열(寒熱) 12 , 어혈(瘀 血) 13 , 담음(痰飮) 14 , 식적15 , 음허(陰虛) 16 , 비기허증 (脾氣虛證) 17 , 위기허증(胃氣虛證) 18 변증설문지 등이 이미 개발되어 있으며, 이를 환자의 임상 증상19 이나 각종 객관적 검사 지표20,21와 결합하여 분석하는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tanghellini, V., Chan, F.K.L., Hasler, W.L., Malagelada, J.R., Suzuki, H., Tack, J., Talley, N.J.. Gastroduodenal Disorders. Gastroenterology, vol.150, no.6, 1380-1392.

  2. Cremonini, F., Talley, N. J.. Review article: the overlap between functional dyspepsia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 a tale of one or two disorders?.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vol.20, no.suppl7, 40-49.

  3. Quigley, Eamonn M. M., Lacy, Brian E.. Overlap of functional dyspepsia and GERD-diagnostic and treatment implications. Nature reviews.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vol.10, no.3, 175-186.

  4. 10.1080/11024159850191210 

  5. Malt, Eva Albertsen, Berle, Jan Eystein, Olafsson, Snorri, Lund, Anders, Ursin, Holger. Fibromyalgia is associated with panic disorder and functional dyspepsia with mood disorders : A study of women with random sample population control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49, no.5, 285-289.

  6. Committee of Digestive Diesease, National Korean Medicine College 348 2008 

  7. 407 2001 

  8. Zhu 569 2002 

  9. Developing questionnaire for pathogenesis analysis of Pyungweesan symptom Lim 72 2007 

  10. Committee of Pathology, National Korean Medicine College 172 2001 

  11. Committee of Biofunctional medicine, National Korean Medicine College 23 2014 

  12. Development of Questionnaire for Cold-Heat Patternization Kim 64 2003 

  13. Park, Y.J., Yang, D.H., Lee, J.M., Park, Y.B.. Development of a valid and reliable blood stasis questionnaire and its relationship to heart rate variability.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vol.21, no.6, 633-640.

  14. Development of Questionnaire for Damum Patternization Park 64 2006 

  15. Park, Y.J., Lim, J.S., Park, Y.B.. Development of a valid and reliable food retention questionnaire. European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vol.5, no.5, 432-437.

  16. Park, Young-Jae, Cho, Sang-Won, Lee, Byoung-Hee, Park, Young-Ba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Yin Deficiency Scale.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 research on paradigm, practice, and policy, vol.19, no.1, 50-56.

  17. 오혜원, 이지원, 김제신, 송은영, 신승원, 한가진, 노환옥, 이준희. 脾氣虛證(비기허증) 진단평가도구 개발 연구.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ol.35, no.1, 157-170.

  18. Lee, Jaehyung, Park, Jae-Woo, Ko, Seok-Jae, Kim, Jinsung.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pattern identification scale for Stomach Qi Deficiency. European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vol.17, 56-63.

  19. 이정은, 박재우, 김진성.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미각 이상과 비기허증(脾氣虛證)의 상관관계.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ol.38, no.4, 455-467.

  20. 남성욱, 박재우, 김진성. 기능성소화불량에서 위기허증(胃氣虛證)과 복부초음파로 측정한 위 배출능과의 상관성 분석.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ol.39, no.3, 405-425.

  2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astric Emptying Measured by Ultrasonography and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Baek 527 2015 

  22. 오혜원, 이지원, 김제신, 이준희. 비기허증(脾氣虛證) 환자의 식사 전후 주관적 식욕과 Gut Hormone 혈중 농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7, no.1, 125-137.

  23. Talley,, Haque,, Wyeth,, Stace,, Tytgat,, Stanghellini,, Holtmann,, Verlinden,, Jones,. Development of a new dyspepsia impact scale: the Nepean Dyspepsia Index.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vol.13, no.2, 225-235.

  24. Validation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version Lee 48S 2003 

  25. Talley, Nicholas J, Verlinden, Marleen, Jones, Michael. Validity of a new quality of life scale for functional dyspepsia: a United States multicenter trial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National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vol.94, no.9, 2390-2397.

  26. Lee, Eun-Hyun, Hahm, Ki-Baik, Lee, Jun Haeng, Park, Jong-Jae, Lee, Dong Ho, Kim, Seong Kook, Choi, Seok Reyol, Lee, Soo Tei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unctional Dyspepsia-Related Quality of Life (FD-QOL) scale in South Korea. 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vol.21, no.1, 268-274.

  27. Berle, Christine A., Cobbin, Deirdre, Smith, Narelle, Zaslawski, Christopher. A Novel Approach to Evaluat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reatment Outcomes Using Pattern Identification.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 research on paradigm, practice, and policy, vol.16, no.4, 357-367.

  28. Smith 43 2002 

  29. Knapp, Thomas R.. Focus on Psychometrics. Coefficient alpha: Conceptualizations and anomalie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14, no.6, 457-460.

  30. Hylley 47 2013 

  31. Dancey 175 2011 

  32. 김지혜, 김주연, 김진성, 김근호. 비기허증(脾氣虛證) 진단평가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예비 평가: 만성 소화불량 환자 대상 설문지 검증 임상시험.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ol.36, no.3, 23-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