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4대강 보 건설에 따른 실지렁이류(Aquatic Oligochaeta) 서식분포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habita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quatic Oligochaeta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weirs in four major river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7 no.4, 2019년, pp.607 - 617  

왕주현 (상지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형준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정호 ,  송행섭 ,  김호준 (한국수자원공사) ,  박연정 (한국수자원공사) ,  최준길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황구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4대강 보 설치에 따른 실지렁이류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현지조사는 2018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10회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18종 35,390 ind. m-2 개체가 출현하였다. Limnodrilus hoffmeisteri (77.1%)이 우점종, Branchiura sowerbyi (9.5%)이 아우점종으로 분석되었다. 건중량 분석결과 총 32.418 g m-2이 계측되었으며, 각 종별 건중량과 TOC 농도와의 상관 분석 결과 실지렁이, 아가미지렁이와 TOC 농도 간 음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지렁이류와 물리적·이화학적 요인들 간의 다변량 상관분석 결과 퇴적토 깊이, Clay 비율, Silt 비율, Cobble 비율, Pebble 비율, pH, TOC 항목과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p<0.01). 조사지역별 실지렁이류 개체수와 퇴적토 깊이 및 Clay의 비율과 비교·분석한 결과 퇴적토의 깊이와 Clay의 비율이 높을수록 개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시기에 따른 실지렁이류의 개체수, TOC 비교·분석결과 3월부터 10월까지 개체수는 감소하는 경향성을 나타냈으며, TOC는 증가하는 경향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habita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quatic Oligochaeta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weirs in the four major rivers in South Korea. The area was investigated 10 times from March to October in 2018 and a total of 18 species and 35,390 ind. m-2 were sampled. The domin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2년 완공된 4대강 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구 온난화 및 빈번한 가뭄과 홍수 피해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수자원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조성되었으며(Kang et al. 2012; Ji et al. 2015), 이·치수 효과를 극대화하여 수자원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4대강 보 설치 이후 변화된 서식처에 따른 실지렁이류의 분포 특성 비교와 물리적·이화학적 요인에 따른 서식처 선호도를 파악하여 실지렁이류를 이용한 4대강 서식처 관리 방안마련과 국내 실지렁이류 생태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4대강 보 설치에 따른 실지렁이류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현지조사는 2018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10회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대강 보는 언제 완공되었는가? 2012년 완공된 4대강 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구 온난화 및 빈번한 가뭄과 홍수 피해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수자원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조성되었으며(Kang et al. 2012; Ji et al.
4대강 보는 어떤 목적을 갖고 조성되었는가? 2012년 완공된 4대강 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구 온난화 및 빈번한 가뭄과 홍수 피해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수자원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조성되었으며(Kang et al. 2012; Ji et al.
4대강 보는 어떤 문제를 만들었는가? 2015), 이·치수 효과를 극대화하여 수자원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대형 인공구조물인 보의 설치는 하천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퇴적물의 축적량을 증가시켜 시간이 지날수록 부영양화 및 수질오염을 가중시켜 왔다(Walther and Whiles 2008; Kang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llan DJ. 1995. Stream Ecology: Structure and Function of Running Waters. Chapman & Hall, London. p. 388. 

  2. Bae YJ, DH Won, DH Hoang, YH Jin and JM Hwang. 2003. Community composition and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aquatic insects according to stream order from the Gapyeong creek in Gyeonggi-do, Korea. Korean J. Ecol. Environ. 36:21-28. 

  3. Brinkhurst RO and CR Kennedy. 1965. Studies on the biology of the Tubificidae (Annelida, Oligochaeta) in a polluted stream. J. Anim. Ecol. 34:429-443. 

  4. Brinkhurst RO. 1971. Aquatic Oligochaeta of the World. Toronto University Press, Toronto, Canada. 

  5. Choi YH. 2005. The Bloodworm (Limnodrilus socialis) using capacity for treatment of aquaculture wastewater. MS Thesis, Chungju University, Chungju, Korea. 

  6. Cho HK, HJ Lim and SM Kim. 2018. Comparison of water quality before and after four major river project for water monitoring stations located near 8 weirs in Nakdong River. J. Agric. Life Sci. 52:89-101. 

  7. Han MS, MH Kim, KK Kang, YE Na, MR Kim, LJ Choe and KJ Cho. 2013. Growth characteristics of Tubificidae spp. by flooding during winter in paddy fields. J. Korea Soc. Environ. Restor. Technol. 16:19-26. 

  8. Ji U, EK Jang and W Kim. 2015. Long-term bed change analysis and equilibrium bed elevation prediction after weir construction in Nakdong River.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16:7089-7097. 

  9. Jun TS and JH Park. 2005. The blood worm, Limnodrilus socialis's using capacity for treatment of aquaculture wastewater. Chungju Univ. Thesis Collect. 40:201-206. 

  10. Jung JH. 2011a. A Study on Estimation of Self-purification and Release Characteristics from Sediment in Urban Stream.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p. 74. 

  11. Jung JW. 2011b. Naidid oligochaetes (Annelida: Clitellata) from the Seokhyeoncheon and Changreungcheon Steams with new record of Nais variabilis. Korean J. Limnol. 44:407-410. 

  12. Kang HJ, MK Bae and YS Park. 2016. Ecotoxicological studies using aquatic Oligochaetes: Review. Korean J. Ecol. Environ. 49:343-353. 

  13. Kang HJ, MK Bae and YS Park. 2017. Behavioral response of Tubifex tubifex to changes of water temperature and structure composition. Korean J. Ecol. Environ. 50:355-361. 

  14. Kang MK, IY Choi, JH Park and JH Choi. 2012.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weirs construction in the Han River on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J. Korean Soc. Environ. Eng. 34:597-603. 

  15. Ladle M. 1971. The biology of Oligochaeta from Dorset chalk streams. Freshw. Biol. 1:83-97. 

  16. Lazim MN and MA Learner. 1987. The influence of sediment composition and leaf litter on the distribution of tubificid worms (Oligochaeta). Oecologia 72:131-136. 

  17. Lee HG, SW Jung, DG Kim and YJ Bae. 2012. Effects of acid drainage from abandoned coal mine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upp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Korean J. Limnol. 45:72-81. 

  18. Lee HG, HJ Kim and GS Choi. 2017. Identification and monitoring of 4 major rivers. J. Korea Water Resour. Assoc. 50:16-21. 

  19. Lee J and J Jung. 2014. Four unrecorded species of tubificid oligochaetes (Annelida: Clitellata) in Korea. Anim. Syst. Evol. Divers. 30:240-247. 

  20. Lin KJ and SP Yo. 2008. The effect of organic pollution on the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aquatic oligochaetes in an urban water basin, Taiwan. Hydrobiologia 596:213-223. 

  21. ME. 2012. 4th National Environment Survey Guideline.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p. 486. 

  22. ME. 2013. National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NAEMP),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p. 23. 

  23. NIER. 2016a. Establish Official Testing Metho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 40. 

  24. NIER. 2016b. Biomonitoring Survey and Assessment Manual.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 312. 

  25. Na KB. 2005. Taxonomy of the Chironomidae (Diptera, insecta) in Seoul-Gyeonggi area, Korea. Master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26. Park HJ, T Timm and YJ Bae. 2013. Taxonomy of the Korean freshwater Oligochaeta (Annelida) with eight species new to Korea. Entomol. Res. Bull. 29:180-188. 

  27. Shin HS, O Mitamura, SJ Kim and JK Choi. 2008. Characteristics of Musim stream by surveyed sites based on EPT-group of aquatic insects. Korean J. Environ. Ecol. 22:420-426. 

  28. Shin YS, HS Yu, HY Lee, DH Lee and GW Park. 2015. The change in patterns and conditions of algal blooms resulting from construction of weirs in the Youngsan River: Long-term data analysis. J. Ecol. Environ. 48:238-252. 

  29. Syrovatka V, J Schenkova and K Brabec. 2009. The distribution of chironomid larvae and oligochaetes within a stony-bottomed river stretch: the role of substrate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Fundam. Appl. Limnol. 174:43-62. 

  30. Timm T. 2009. A guide to the freshwater Oligochaeta and Polychaeta of Northern and Central Europe. Lauterbornia 66:1-235. 

  31. Walther DA and MR Whiles. 2008. Macroinvertebrate responses to constructed riffles in the Cache River, Illinois, USA. Environ. Manage. 41:516-527. 

  32. Yoon SM, HB Kong and W Kim. 2000. Freshwater Oligochaetes (Oligochaeta, Tubificida, Naididae) from several swamps in Kyungsangnam-do, Korea. Anim. Syst. Evol. Divers. 16:239-2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