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중성 남세균, Wilmottia murrayi (Oscillatoriales, Cyanobacteria)의 국내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에 대한 연구
A study of newly recorded genus and species for aerial cyanobacteria Wilmottia murrayi(Oscillatoriales, Cyanobacteria) in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7 no.3, 2019년, pp.260 - 267  

이남주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  서요셉 (상명대학교 생명공학과) ,  기장서 (상명대학교 생명공학과) ,  이옥민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금강수계의 하구역에 위치한 하제항 암벽으로부터 기중성 남세균이 채집되어, 단조류 배양되었다. 2개의 남세균 배양주로부터 형태적 형질과 TEM에 의한 세포 미세구조 특징을 관찰하였다. 또한 16S rDNA 염기서열을 규명하여 BLAST 검색, 염기서열 유사도, 유전거리 및 계통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배양주는 Wilmottia murrayi와 계통학적으로 동일한 clade를 형성하였고, 99%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냈다. TEM을 통한 세포 미세구조는 틸라코이드가 여러겹으로 세포막 주변에 분포하는 특징을 나타냄으로써 Coleofasciculaceae과의 특징과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W. murrayi를 국내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으로 보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aerophytic cyanobacteria from the rockwall of Haje port located in Geum river, Korea, were isolated in unialgal cultures and submitted to polyphasic evaluation. The filaments of the populations presented solitary or several to many parallel arranged. The straight trichomes were not attenuated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7). 본 연구에서는 건조한 암벽에 분포하는 기중성 종으로 나타났다.
  • TEM을 통한 세포 미세구조는 틸라코이드가 여러겹으로 세포막 주변에 분포하는 특징을 나타냄으로써 Coleofasciculaceae과의 특징과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W. murrayi를 국내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으로 보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세균은 어디에서 서식하고 자라는가? 남세균은 담수와 해수 환경에 널리 분포하고, 부유하거나 또는 기질에 부착하여 자란다. 또한 육상 환경의 토양, 암반 등에 자라는 기중조류가 있으며 다양한 생물과 공생관계로 살아가기도 한다(Sze 1997).
남세균의 부정적인 측면은 무엇인가? 남세균은 오늘날 인류에게 중요한 분류군으로 대두되었으며, 긍정적인 측면과 동시에 부정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다. 많은 종류의 남세균은 전 세계적으로 녹조현상을 일으키고, 독소를 생산하고 있다(Graham et al. 2009).
국내 기중조류에 대한 연구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가? 특히 국내 기중조류에 대한 연구는 담수와 해양 남세균 연구에 비해 더욱 부족한 상황이다. 국내의 기중조류는 Chang et al. (1998)에 의해 토양조류의 생활사 연구를 통하여 16분류군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국내 석조문화재에 서식하는 기중조류의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Haplaosiphon fontinalis와 Stigonema turfaceum종을 포함한 7분류군의 국내 미기록종이 보고되었다(Klochlkova et al. 2006; Lim and Lee 2008a, 2008b;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asamatta D, D Stanic, M Gantar and LL Richardson. 2012. Characterization of Roseofilum reptotaenium (Oscillatoriales, Cyanobacteria) gen. et sp. nov. isolated from Caribbean black band disease. Phycologia 51:489-499. 

  2. Chang YK, JW Lee, SL Jeon and MR Kim. 1998. A taxonomic study of the soil algae in Korea. J. Nat. Sci., Sookmyung Women's Univ. 9:39-43. 

  3. Comte K, M Sabacka, A Carre-Mlouka, J Elster and J Komarek. 2007. Relationships between the arctic and the antarctic cyanobacteria; three Phormidium-like strains evaluated by a polyphasic approach. FEMS Microbiol. Ecol. 59:366-376. 

  4. Graham LE, JM Graham and LW Wilcox. 2009. Algae, 2nd., Benjamin Cummings, San Francisco. 

  5. Guiry MD and GM Guiry. 2019.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http://www.algaebase.org. 

  6. Huelsenbeck JP and F Ronquist. 2001. MRBAYES: Bayesian inference of phylogenetic trees. Bioinformatics 17:754-755. 

  7. Katoh K and DM Stanley. 2013. MAFFT multiple sequence alignment software version 7: improvements in performance and usability. Mol. Biol. Evol. 30:772-780. 

  8. Kiel G and CC Gaylarde. 2006. Bacterial diversity in biofilms on external surfaces of historic buildings in Porto Alegre.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2:293-297. 

  9. Kim HS. 2015.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Blue-green Alg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Publishers, Incheon. 

  10. Kim JH, MS Jeong, DY Kim, S Her and MB Wie. 2015. Zinc oxide nanoparticles induce lipoxygenase-mediated apoptosis and necrosis in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Neurochem. Int. 90: 204-214. 

  11. Kim YJ, OJ Kim and OM Lee. 2010. The distribution of aerial algae and the assessment of biological pollution class at 8 stone cultural heritages in Korea. J. Conserv. Sci. 26:259-268. 

  12. Kim YJ, OJ Kim and OM Lee. 2011. The community of aerial algae and the biological pollution coverage at 9 stone cultural heritages in Korea. J. Conserv. Sci. 27:145-154. 

  13. King JM and CH Ward. 1977. Distribution of edaphic algae as related to land usage. Phycologia 16:23-30. 

  14. Klochkova TA, SH Kang, GY Cho, CM Pueschel, JA West and GH Kim. 2006. Biology of a terrestrial green alga, Chlorococcum sp. (Chlorococcales, Chlorophyta), collected from the Miruksazi stupa in Korea. Phycologia 45:349-358. 

  15. Komarek J. 2016. A polyphasic approach for the taxonomy of cyanobacteria: principles and applications. Eur. J. Phycol. 51:346-353. 

  16. Komarek J and K Anagnostidis. 2005. Cyanoprokatyota. 2. Teil/2nd Part: Oscillatoriales, Su $\ss$ wasserflora von Mitteleuropa 19/2. Elsevier/Spektrum, Heidelberg. 

  17. Komarek J, J Kastovsky, J Mares and JR Johansen. 2014. Taxonomic classification of cyanoprokaryotes (cyanobacterial genera) 2014, using a polyphasic approach. Preslia 86:295-335. 

  18. Lim AS and OM Lee. 2008a. Distribution of aerial algae and biological classes in five stone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Algae 23:63-69. 

  19. Lim AS and OM Lee. 2008b. The distribution of aerial algae and the evaluation of algal inhabitation on five stone cultural properties in Gyeonggi-do. Algae 23:269-276. 

  20. Machado-de-Lima NM, MD Martins and LHZ Branco. 2017. Description of a tropical new species of Wilmottia (Oscillatoriales, Cyanobacteria) and considerations about the monophyly of W. murrayi. Phytotaxa 307:43-54. 

  21. Mandrioli P, G Caneva and C Sabbioni. 2003. Culture Heritage and Aerobiology-Methods and Measurement Techniques for Biodeterioration Monitoring.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22. Mansour HA and AS Shaaban. 2010. Algae of soil surface layer of Wadi Al-Hitan protective area (world heritage site), El-Fayum depression, Egypt. J. Am. Sci. 6:243-255. 

  23. Martins MD, NM Machado-de-Lima and LHZ Branco. 2019. Polyphasic approach using multilocus analyses supports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aerophytic cyanobacterial genus Pycnacronema (Coleofacisculaceae, Oscillatoriales). J. Phycol. 55:146-159. 

  24. Mataloni G and M Pose. 2001. Non-marine algae from islands near Cierva Point, Antarctic Peninsula. Cryptogam. Algol. 22:41-64. 

  25. Mataloni G and G Tell. 2002. Microalgal communities from ornithogenic soils at Cierva Point, Antarctic Peninsula. Polar Biol. 25:488-491. 

  26. Mikter SS and SP Shukla. 2006. Study on algal flora of algae-moss association on barks of some selected tree species at Ronohills of Papum pare district in Arunachal pradesh, India. Bull. Arunachal Forest Res. 22:1-8. 

  27. Richards E, M Reichardt and S Rogers. 2003. Preparation of genomic DNA from plant tissue. pp. 2.3.1-2.3.7. In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Ausubel FM, R Brent, RE Kingston, DD Moore, JG Seidman, JA Smith and K Struhl eds.).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28. Ryu HS, RY Shin and JH Lee. 2016. Morphology and taxonomy of the Aphanizomenon spp. (Cyanophyceae) and related species in the Nakdong River, South Korea. J. Ecol. Environ. 41: 6. 

  29. Siegesmund MA, JR Johansen, U Karsten and T Friedl. 2008. Coleofasciculus gen. nov. (Cyanobacteria):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riteria for revision of the genus Microcoleus Gomont. J. Phycol. 44:1572-1585. 

  30. Stamatakis A. 2014. RAxML version 8: a tool for phylogenetic analysis and post-analysis of large phylogenies. Bioinformatics 30:1312-1313. 

  31. Stanier RY, R Kunisawa, M Mandel and G Cohen-Bazire. 1971.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unicellular blue -green algae (Order Chroococcales). Bacteriological Rev. 35:171-205. 

  32. Strunecky O, J Elster and J Komarek. 2011. Taxonomic revision of the freshwater cyanobacterium "Phormidium" murrayi Wilmottia murrayi. Fottea 11:57-71. 

  33. Sze P. 1997. A Biology of the Algae. 3rd. The McGraw-Hill college, New York. 

  34. Taton A, S Grubisic, P Balthasart, DA Hodgson, J Laybourn-Parry and A Wilmotte. 2006. Bio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ecological ranges of benthic cyanobacteria in East Antarctic lakes. FEMS Microbiol. Ecol. 57:272-289. 

  35. Wood SA, JM Kuhajek, M de Winton and NR Phillips. 2012. Species composition and cyanotoxin production in periphyton mats from three lakes of varying trophic status. FEMS Microbiol. Ecol. 79:312-326. 

  36. Yim BC, HC Jung, SD Bang and OM Lee. 2018. A study of nine unrecorded species of planktonic cyanobacteria (Cyanophyceae, Cyanophyta) i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6:299-3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