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오플락 탈질수가 어린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의 생존율 및 생리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enitrified biofloc water on the survival rate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cific white shrimp juveniles, Litopenaeus vannamei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7 no.2, 2019년, pp.136 - 143  

김수경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장진우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조영록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김준환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김수경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안정된 바이오플락 사육수에는 대량의 미생물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사육수온이 높아 재사용이 가능할 경우 빠른 수질안정화 및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다. 바이오플락 사육수 내 부유하고 있는 자가 및 타가 영양세균은 호기성과 혐기성 세균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탄소원을 넣고 산소를 공급하지 않는 혐기성 상태로 만들면 탈질과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바이오플락 탈질수의 특성은 암모니아(6.9 mg L-1), 아질산(0.3 mg L-1), 질산농도(9.2 mg L-1), 높은 pH(8.42), alkalinity (590 mg L-1)였으며 이 탈질수를 첨가한 사육수의 물리적 환경 변화가 어린새우의 생존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탈질수를 100% 사용하여도 생존율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혈림프를 포함한 체액 분석결과 탈질수 혼합에 의한 조직손상 및 스트레스 지표인 크레아틴, 혈중 요소성 질소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탈질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새우 체내 이온(Na+, K+, Cl-)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향후 삼투압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탈질수를 일정비율로(50% 미만)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denitrified biofloc water on changes in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hrimps. Biofloc rearing water contains a large number of microorganisms and can rapidly stabilize the water quality and energy saving if reusable du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바이오플락 사육수 내 질산을 탈질과정을 통해 제거하고 물리적으로 변화된 탈질사육수가 어린 흰다리새우의 생존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육과정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아질산을 제거하기 위한 양식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사육과정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아질산은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에게 독성으로 작용하여 제거되지 않았을 경우는 스트레스와 대량폐사를 일으키는 원인이(Le Moullac and Haffner 2000; Tseng and chen 2004) 되기 때문에, 사육수 교환이나 질화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제거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대량의 사육수를 교환하여 질소원을 희석하는 유수식, 소량의 사육수를 환수하면서 미생물 여과조에 의해 제거하는 순환여과식, 식물 또는 해조류를 이용하여 질산을 제거하는 아쿠아포닉스, 물을 교환하지 않고 다양한 미생물의 질산화과정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바이오플락기술(BFT; biofloc technology) 등 다양한 양식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바이오플락기술이란? 이 중 바이오플락기술은 사육수 교환 없이 미생물의 질화과정을 이용하여 양식에서 발생하는 독성 있는 암모니아와 아질산을 제거하는데,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흰다리새우 양식은 미생물의 성장과 사육생물의 생육 수온을 고려하여 동절기에도 25°C 이상 수온을 유지하기 위한 가온이 필요하다. 또한 미생물이 증식하여 암모니아, 아질산 농도가 안정되기까지는 약 2개월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탈질이 된 바이오플락 사육수의 재사용할 시, 장점은? 2006) 이때 낮아지는 pH를 유지하기 위하여 중탄산나트륨을 일정량 공급하여 알칼리도를 150 mg L-1 전후로 관리해야 한다. 그런데 탈질과정을 거친 바이오플락 사육수는 pH, 알칼리도가 증가하여(Samocha et al. 2017), 탈질이 된 바이오플락 사육수를 재사용할 경우 소비되는 중탄산나트륨의 양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며 활성화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수질안정화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탈질이 된 사육수가 양식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Leungprasert and Chanaku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urford MA, PJ Thompson, RP McIntosh, RH Bauman and DC Pearson. 2003. Nutrient and microbial dynamics in high-intensity, zero-exchange shrimp ponds in Belize. Aquaculture 219:393-411. 

  2. Chen SM and JC Chen. 2003. Effects of pH on survival, growth, molting and feeding of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Aquaculture 218:613-623. 

  3. Chen JC and Y Lee. 1997. Effects of nitrite exposure on acid-base balance, respiratory protein, and ion concentration of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at low pH. Arch. Environ. Contam. Toxicol. 33:290-297. 

  4. Cheng SY, LW Shieh and JC Chen. 2013. Changes in hemolymph oxyhemocyanin, acid-base balance, and electrolytes in Marsupenaeus japonicus under combined ammonia and nitrite stress. Aquat. Toxicol. 130-131:132-138. 

  5. Distefano RJ, RJ Neves, LA Helfrich and MC Lewis. 1991. Response of the crayfish Cambarus bartonii to acid exposure in southern Appalachian streams. Can. J. Zool. 69:1585-1591. 

  6. Ebeling JM, MB Timmons and JJ Bisogni. 2006. Engineering analysis of the stoichiometry of photoautotrophic, autotrophic, and heterotrophic removal of ammonia-nitrogen in aquaculture systems. Aquaculture 257:346-358. 

  7. Furtado PS, BR Campos, FP Serra, M Klosterhoff, LA Romano and W Waiselesky Jr. 2015a. Effects of nitrate toxicity in the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reared with biofloc technology (BFT). Aquac. Int. 23:315-327. 

  8. Furtado PS, LH Poersch and W Waiselesky Jr. 2015b. The effect of different alkalinity levels on Litopenaeus vannamei reared with biofloc technology (BFT). Aquac. Int. 23:345-358. 

  9. Gopalakrishnan AM, J Rajkumar, G Sun, G Martin and A Parida. 2011. Impact of mineral deposition on shrimp, Penaeus monodon in a high alkaline water. J. Environ. Biol. 32:283-287. 

  10. Kuhn DD, SA Smith, GD Boardman, MW Angier, LFJ Marsh and J George. 2010. Chronic toxicity of nitrate to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impacts on survival, growth, antennae length, and pathology. Aquaculture 309:109-114. 

  11. Le Moullac G and P Haffner. 2000.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immune responses in Crustacea. Aquaculture 191:121-131. 

  12. Leungprasert S and P Chanakul. 2010. The reuse of shrimp culture wastewater treated by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process. Int. J. Environ. Sci. Dev. 1:371-377. 

  13. Li CC and JC Chen. 2008. The immune response of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and its susceptibility to Vibrio alginolyticus under low and high pH stress. Fish Shellfish Immunol. 25:701-709. 

  14. Lin YC and JC Chen. 2001. Acute toxicity of ammonia on Litopenaeus vannamei Boone juveniles at different salinity levels. J. Exp. Mar. Biol. Ecol. 259:109-110. 

  15. Lin YC and JC Chen. 2003. Acute toxicity of nitrite on Litopenaeus vannamei (Boone) juveniles at different salinity levels. Aquaculture 224:193-201. 

  16. Lourdes C, MS Sonnenholzner, M Wille and P Sorgeloos. 2014. Ammonia tolerance of Litopenaeus vannamei (Boone) larvae. Aquac. Res. 45:470-475. 

  17. Racotta IS and R Hernandez-Herrera. 2000. Metabolic responses of the white shrimp, Penaeus vannamei, to ambient ammonia. Comp. Bioch. Physiol. A 125:437-443. 

  18. Roy LA, DA Davis, IP Saoud and RP Henry. 2007. Effects of varying levels of aqueous potassium and magnesium on survival, growth, and respiration of the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reared in low salinity waters. Aquaculture 262:461-469. 

  19. Samocha TM, DI Prangnell, TR Hanson, GD Treece, TC Morris, LF Castro and N Staresinic. 2017. Design and operation of super-intensive biofloc-dominated systems for indoor production of the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The World Aquaculture Society, Baton Rouge, LA, USA. 

  20. Spotte S. 1979. Water management in closed systems. p. 179. In Fish and Invertebrate Culture (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21. Timmons MB and JM Ebeling. 2013. Recirculating Aquaculture (3rd ed.). Ithaca Publishing Company, Ithaca, New York, USA. 

  22. Tseng IT and JC Chen. 2004. The immune response of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and its susceptibility to Vibrio alginolyticus under nitrite stress. Fish Shellfish Immunol. 17:325-333. 

  23. Wang WN, AL Wang, L Chen and Y Liu. 2002. Effects of pH on survival, phosphorus concentration, adenylate energy charge and Na, K-ATPase activities of Penaeus chinensis Osbeck juveniles. Aquat. Toxicol. 60:75-83. 

  24. Wood CM. 2001. Toxic responses of the gill. pp. 1-89. In Target Organ Toxicity in Marine and Freshwater Teleosts, Vol. 1-Organs, (Schlenk and Benson eds.). Taylor & Francis, London. UK. 

  25. Zhou J, WN Wang, AL Wang, WY He, QT Zhou, Y Liu and J Xu. 2009. Glutathione S-transferase in the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characterization and regulation under pH stress. Comp. Biochem. Physiol. C 150:224-2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