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 수면호흡장애의 진단과 상악확장술의 치료효과
Diagnosis and Effect of Maxillary Expansion in Pediatric Sleep-Disordered Breathing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46 no.4, 2019년, pp.369 - 381  

김도영 (별가람소아치과) ,  백경희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이대우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김재곤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양연미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수면호흡장애 증상을 보이며 협착된 상악궁을 가진 7 - 9세 어린이에서 상악 확장술(semi-rapid maxillary expansion, SRME)을 이용한 상악 측방확장 치료 전후 수면호흡장애 증상의 변화와 개선을 소아수면설문지, 간이수면검사 및 측방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을 통해 기도부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상자는 총 15명으로 AHI 1 이상이며 좁은 상악궁을 가진 어린이였다. 모든 대상자는 SRME가 적용되기 전 소아수면설문지, 측방두부규격 방사선사진 및 간이수면검사를 시행하였다(T0). SRME가 적용되었고, 평균 확장 2개월 후 유지단계 3개월을 시행하였다. 치료 종료 후 소아수면설문지, 측방두부규격 방사선사진 및 휴대용 간이수면검사를 시행하였다(T1). 총 PSQ scale은 확장 전(T0) 평균 0.45에서 확장 후(T1) 평균 0.1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01). 특히 코골이, 호흡문제, 집중력 저하 영역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 = 0.001). 아데노이드 비대율은 확장 전(T0) 평균 0.63에서 확장 후(T1) 평균 0.51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03). 상기도 폭경 중 구개인두 폭경만이 치료 후(T1)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 0.035). 설골 위치는 치료 전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휴대용 간이수면검사 결과 AHI와 ODI는 치료 후(T1)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최저 산소포화도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수면호흡장애 증상은 치료 후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and improvements in symptoms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SDB) using semi-rapid maxillary expansion (SRME) in children with narrow maxilla and SDB symptoms. Subjects were 15 patients with sleep disorder (apnea-hypopnea index, AHI ≥ 1) and n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간단하고 표준화 된 소아수면설문지와 휴대용 간이수면검사를 이용하여 수면호흡장애가 있는 어린이를 선별하고,확장치료후 치료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보여줌으로써 조기 진단 및 치료효과를 보여주는데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수면호흡장애가 있는 어린이에서 설문지, 간이수면검사 및 측방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을 이용한 조기진단과 SRME를 이용한 구개확장치료는 호흡 및 수면양상을 향상시켜 어린이의 건강한 성장발육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수면호흡장애 증상을 보이며 협착된 상악궁을 가진 7 - 9세 어린이에서 SRME를 이용한 구개확장치료 전과 후에 수면호흡장애 증상의 변화와 개선양상을 소아수면설문지, 측방두부규격방사선사진 및 휴대용 간이수면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소아수면설문지를 통한 주관적인 증상에 대한 보고에서 확장 후 총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호흡장애 증상을 보이며 협착된 상악궁을 가진 7 - 9세 어린이에서 상악 확장술을 이용한 상악측방확장 치료 전후 수면호흡장애 증상의 변화와 개선을 소아수면설문지, 간이수면검사 및 측방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을 통해 기도부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호흡장애를 진단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수면호흡장애를 진단하는 방법은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PSG)가 가장 대표적인 검사법이다[6]. 그러나, 시간 및 고비용에 대한 부담과 전문인력의 필요성 등으로 인해 접근성이 좋지 않아 비실용적이다[6].
수면호흡장애란 무엇인가? 수면호흡장애(sleep-disordered breathing, SDB)는 수면 중 발생하는 호흡관련 장애 질환으로, 일차성 코골이(primary snoring),상기도 저항증후군(upper airway resistance syndrome),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위를 포함하는 질환이다[1].
소아 수면호흡장애의 호발연령은 언제인가? 소아 수면호흡장애의 유병율은 1 - 4%이고, 코골이는 3 -12%에 이른다[2]. 소아 수면호흡장애는 성별의 차이가 없으며,모든 연령에서 발생 가능하지만 호발 연령은 주로 2 - 8세의 미취학 어린이로 이는 편도와 아데노이드가 최대로 커져 상기도가 가장 좁아지는 시기이기 때문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Marcus CL :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Am J Respir Crit Care Med , 164:16-30, 2001. 

  2. Lumeng JC, Chervin RD : Epidemiology of pediatric obstructive sleep apnea. Proc Am Thorac Soc , 5:242-252, 2008. 

  3. Oh JI, Lee SH :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n children. Hanyang Med Rev , 33:246-252, 2013. 

  4. Marcus CL, Brooks LJ, Spruyt K,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hildhoo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ediatrics , 130:714-755, 2012. 

  5. Berry RB, Gamaldo CE, Marcus CL, et al.: AASM scoring manual version 2.2 updates: new chapters for scoring infant sleep staging and home sleep apnea testing. J Clin Sleep Med , 11:1253-1254, 2015. 

  6. Schechter MS : Technical report: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hildhoo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ediatrics , 109:69, 2002. 

  7. Spruyt K, Gozal D : Development of pediatric sleep questionnaires as diagnostic or epidemiological tools: a brief review of dos and don'ts. Sleep Med Rev , 15:7-17, 2011. 

  8. Spruyt K, Gozal D : Pediatric sleep questionnaires as diagnostic or epidemiological tools: a review of currently available instruments. Sleep Med Rev , 15:19-32, 2011. 

  9. Chervin RD, Hedger K, Dillon JE, Pituch KJ : Pediatric sleep questionnaire (PSQ):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cales for sleep-disordered breathing, snoring, sleepiness, and behavioral problems. Sleep Med , 1:21-32, 2000. 

  10. Hamada M, Iida M : Home monitoring using portable polygraphy for perioperative assessment of pediatric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Tokai J Exp Clin Med , 37:66-70, 2012. 

  11. Villa M, Rizzoli A, Miano S, Malagola C : Efficacy of rapid maxillary expansion in children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36 months of follow-up. Sleep Breath , 15:179-184, 2011. 

  12. Pirelli P, Saponara M, Guilleminault C : Rapid maxillary expansion in children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Sleep , 27:761-766, 2004. 

  13. Pirelli P, Saponara M, Guilleminault C : Rapid maxillary expansion (RME) for pediatric obstructive sleep apnea: a 12-year follow-up. Sleep Med, 16:933-935, 2015. 

  14. Fujioka M, Young LW, Girdany BR : Radiographic evaluation of adenoidal size in children: adenoidal-nasopharyngeal ratio. AJR Am J Roentgenol, 133:401-404, 1979. 

  15. Marcus CL :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Am J Respir Crit Care Med , 164:16-30, 2001. 

  16. Jeans WD, Fernando DC, Maw AR, Leighton BC : A longitudinal study of the growth of the nasopharynx and its contents in normal children. Br J Radiol , 54:117-121, 1981. 

  17. Brunetti L, Rana S, Armenio L, et al.: Prevalence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n a cohort of 1,207 children of southern Italy. Chest , 120:1930-1935, 2001. 

  18. Linder-Aronson S : Adenoids. Their effect on mode of breathing and nasal air flow and their relationship to characteristics of the facial skeleton and the dentition. A biometric, rhino-manometric and cephalometro-radiographic study on children with and without adenoids. Acta Otolaryngol Suppl , 265:1-132, 1970. 

  19. Johns MW :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 14:540-545, 1991. 

  20. Schechter MS : Technical report: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hildhoo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ediatrics , 109:69, 2002. 

  21. Tan HL, Gozal D, Kheirandish-Gozal L : Overnight polysomnography versus respiratory polygraphy in the diagnosis of pediatric obstructive sleep apnea. Sleep , 37:255-260, 2014. 

  22. Kaditis AG, Alonso Alvarez ML, Verhulst S, et al. : Obstructive sleep disordered breathing in 2 to 18 year old. Eur Respir J , 47:69-94, 2016. 

  23. Alonso-Alvarez ML, Teran-Santos J, Gozal D, et al.: Reliability of home respiratory polygraphy for the diagnosis of sleep apnea in children. Chest , 147:1020-1028, 2015. 

  24. Villa MP, Malagola C, Ronchetti R, et al.: Rapid maxillary expansion in children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12-month follow-up. Sleep Med , 8:128-134, 2007. 

  25. Certal V, Camacho M, Costa-Pereira A, et al.: Unattended sleep studies in pediatric OS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aryngoscope , 125:255-262, 2015. 

  26. Vale F, Albergaria M, Malo L, et al.: Efficacy of rapid maxillary expansion in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J Evid Based Dent Pract , 17:159-168, 2017. 

  27. Monini S, Malagola C, Barbara M, et al.: Rapid maxillary expansion for the treatment of nasal obstruction in children younger than 12 year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 135:22-27, 2009. 

  28. Won TB : Contemporary methods of upper airway evaluation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Korean J Otorhinolaryngol- Head Neck Surg , 56:7-13, 2013. 

  29. Faber CE, Grymer L : Available techniques for objective assessment of upper airway narrowing in snoring and sleep apnea. Sleep Breath , 7:77-86, 2003. 

  30. Major MP, Flores-Mir C, Major PW : Assessment of lateral cephalometric diagnosis of adenoid hypertrophy and posterior upper airway obstruction: a systematic review.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 130:700-708, 2006. 

  31. Donner MW, Bosma JF, Robertson DL :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pharynx. Gastrointest Radiol , 10:196-212, 1985. 

  32. Katyal V, Pamula Y, Sampson WJ, et al.: Craniofacial and upper airway morphology in pediatric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changes in quality of life with rapid maxillary expans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 144:860-871, 2013. 

  33. Pirila-Parkkinen K, Lopponen H, Pirttiniemi P, et al.: Validity of upper airway assessment in children: a clinical, cephalometric, and MRI study. Angle Orthod , 81:433-439, 2011. 

  34. Pracharktam N, Hans MG, Strohl KP, Redline S : Upright and supine cephalometric evaluation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snoring subjects. Angle Orthod , 64:63-73, 1994. 

  35. Bibby RE : The hyoid bone position in mouth breathers and tongue-thrusters. Am J Orthod , 85:431-433, 1984. 

  36. Guilleminault C, Riley R, Powell N : Obstructive sleep apnea and abnormal cephalometric measurements. Implications for treatment. Chest , 86:793-794, 1984. 

  37. Attanasio R : Dental management of sleep disorders, Wiley-Blackwell, 2010. 

  38. Gungor AY, Turkkahraman H, Yilmaz HH, Yariktas M : Cephalometric comparison of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Eur J Dent, 7:48-54, 2013. 

  39. Battagel JM, Johal A, Kotecha B : A cephalometric comparison of subjects with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oea. Eur J Orthod , 22:353-365, 2000. 

  40. Endo S, Mataki S, Kurosaki N : Cephalometric evaluation of craniofacial and upper airway structures in Japanese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J Med Dent Sci , 50:109-120, 2003. 

  41. Phoenix A, Valiathan M, Hans M, et al.: Changes in hyoid bone position following rapid maxillary expansion in adolescents. Angle Orthod , 81:632-638, 2011. 

  42. Verin E, Tardif C, Pasquis P, et al.: Comparison between anatomy and resistance of upper airway in normal subjects, snorers and OSAS patients. Respir Physiol , 129:335-343,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