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의 약물 단서에 대한 주의편향
Attention Bias Toward Drug Cues in Female Methamphetamine Addicts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2 no.4, 2019년, pp.75 - 84  

김나연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음영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연구장비개발운영본부 연구장비운영부) ,  김교헌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독자들은 물질이나 행동과 같은 중독-관련 단서에 주의를 더 기울인다. 그리고 이러한 단서들에 증가된 주의는 갈망과 관련이 있다. 국내 마약류 사범 중 가장 많이 남용되고 있는 마약류는 메스암페타민이며, 재범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3년 동안 전체 마약류 사범 중 여성의 비율은 21.1%이나, 여성 마약류 사범에 대한 연구의 부족으로 관련 정책과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들을 대상으로 약물 단서에 대한 주의편향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기관에 수용중인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중독 집단) 22명과 약물과 관련한 문제가 없는 정상인(통제 집단) 22명을 대상으로 탐침탐사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 과제를 통해 약물 단서와 중성 단서 위치에 따른 정반응률 및 정반응시간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통제 집단은 정반응률과 정반응시간 모두에서 약물 단서와 중성 단서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중독 집단은 중성단서에 비해 약물 단서에서 더 낮은 반응률과 더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마약류로부터 단절된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들의 약물 단서에 대한 주의편향 특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ddicts pay more attention to addiction-related cues, such as substance or behavior. And increased attention to these cues is associated with craving. Methamphetamine is the most abused drug among domestic drug offenders, with continually increasing rates of recidivism. Of the total number of repo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탐침 탐사과제를 사용하여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의 갈망과 관련된 주의 편향에 대한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메스암페타민 중독자들의 약물 관련 단서에 대한 주의 편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메스암페타민 중독자들이 약물 단서에 선택적으로 주의가 촉진될 것으로 가정하고, MacLeod와 동료들(1986)이 개발 한 탐침 탐사 과제를 사용하여 약물 단서와 중성 단서 위치에 따른 정반응률 및 정반응시간(정반응 시행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들의 갈망 단서에 대한 주의 편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탐침 탐사 과제(dot probe task)를 사용하고자 한다. 탐침 탐사 과제는 주의를 두고 있던 공간에 목표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와 주의를 두고 있지 않았던 공간에 자극이 제시 되었을 때 간의 반응 속도에서의 차이를 통해 주의가 기울여진 정도를 측정한다(MacLeod, Mathews, & Tata, 1986).
  • 실험이 끝난 후 debriefing 과정에서 실험자는 참가자들에게 갈망이 유발되었는지 여부를 질문하였다. 중독 집단의 모든 참가자들은 제시된 약물 단서를 보고 약물을 사용하고 싶은 갈망이 유발되었다고 보고하였다.
  • 메스암페타민은 중추 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서 카테콜라민(catecholamine) 농도를 증가시켜 작용하는 흥분제(각성제)로, ‘필로폰’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Kaye, McKetin, Duflou, & Darke, 2007; Supreme Prosecutors's Office Republic of KOREA, 2019). 이러한 국내 마약류 사범의 현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메스암페타민 중독으로 연구 범 위를 국한하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메스암페타민 중독자들이 갈망 유발 단서에서 일어나 는 주의 촉진과 탐침(dot) 자극 탐지에서 일어나는 주의 간섭을 행동학적으로 정량화하여, 메스암페타민 갈망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특히 본 연구는 메스암페타민 중독자들 중 교정기관에 수용되어있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더욱 중독에 취약하며(Kuhar, 2012),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감염(Bauserman et al.

가설 설정

  • 또한 유인 민감화 이론은 갈망의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설명하는 이론 중 하나로, 중독을 일으키는 물질은 특정 뇌 영역들 간의 해부학적, 기능적 연결성을 변화시키는 능력을 갖는다고 가정한다(Robinson & Berridge, 2001).
  • 본 연구는 메스암페타민 중독자들의 약물 관련 단서에 대한 주의 편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메스암페타민 중독자들이 약물 단서에 선택적으로 주의가 촉진될 것으로 가정하고, MacLeod와 동료들(1986)이 개발 한 탐침 탐사 과제를 사용하여 약물 단서와 중성 단서 위치에 따른 정반응률 및 정반응시간(정반응 시행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의편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MacLoad 등(1986)이 개발한 탐침 탐사 과제(Dot probe task)를 사용하였다. 탐침 탐사 과제는 주의를 두고 있는 공간에 탐침(dot)이 제시되었을 때 주의를 두지 않았던 공간에 탐침이 제시되었을 때보다 빠르게 반응을 하기에, 개인의 취약 소인에 대해 부호화 (encoding)를 한다고 가정한다. 이 과제를 통해 중성 자극과 주의 편향을 유도하는 자극을 동시에 제시한 후, 그 위치에 탐침(dot)이 제시되었을 때 반응의 시간을 측정하고 반응시간의 차이를 통해 주의가 편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스암페타민이란? 특히, 국내 마약류 사범들중 가장 많이 남용되고 있는 마약류는 메스암 페타민(methamphetamine)이다. 메스암페타민은 중추 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서 카테콜라민(catecholamine) 농도를 증가시켜 작용하는 흥분제(각성제)로, ‘필로폰’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Kaye, McKetin, Duflou, & Darke, 2007; Supreme Prosecutors's Office Republic of KOREA, 2019). 이러한 국내 마약류 사범의 현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메스암페타민 중독으로 연구 범 위를 국한하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마약류 중독으로 인해 인체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은? 마약류 중독은 마약, 향정신성약물, 그리고 대마의 사용에 의해 유발된 의존, 내성, 금단을 주된 증상으로 갖는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마약류 중독은 신체적으로는 치아 손상, 패혈증, 간경변증 및 뇌졸 중 등을 유발하고 심리적으로는 공격성, 불안, 우울 등과 같은 문제를 경험하게 한다(Chang, 2013; Kuhar, 2012; Wormer & Davis, 2003). 더 나아가서는 마약류 사범과 같은 사회적, 법적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국내 마약류 사범 동향 조사에서 여성의 비율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또한 마약류 남용으로 인해 사회적 관계망의 약화와 고립을 더 심각하게 겪게 되고 자살 시도에 이르기까지의 사회적 문제를 초래한다(Chang, 2013; Rade, Desmarais, Van Dorn, Lutnick, Kral & Lorvick, 2015; Wormer & Davis, 2003). 2018년 기준 국내의 전체 마약류 사범(12,613명) 중 여성 마약류 사범은 2,719명으로 21.6%에 해당한다. 이는 2014년에 1,378명으로 전체 마약류 사범(9,984명) 중 여성 마약류 사범의 비율이 13.8%였는데 반해, 2018년에는 약 2배 이상 증가된 수치이다(Supreme Prosecutors's Office Republic of KOREA, 2019). 마약류 사범 동향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여성 마약류 사범의 비율은 증가되었고,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DSM-5). Washington, DC: APA. 

  2. Bar-Haim, Y., Lamy, D., Pergamin, L., Bakermans-Kranenburg, M. J., & Van Ijzendoorn, M. H. (2007). Threat-related attentional bias in anxious and nonanxious individuals: a meta-analytic study. Psychological Bulletin, 133(1), 1-24. DOI: 10.1037/0033-2909.133.1.1 

  3. Bauserman, R. L., Richardson, D., Ward, M., Shea, M., Bowlin, C., Tomoyasu, N., & Solomon, L. (2003). HIV prevention with jail and prison inmates: Maryland's Prevention Case Management program. AIDS Education and Prevention, 15(5), 465-480. DOI: 10.1521/aeap.15.6.465.24038 

  4. Bradley, B. P., Mogg, K., Wright, T., & Field, M. (2003). Attentional bias in drug dependence: vigilance for cigarette-related cues in smokers.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17(1), 66-72. DOI: 10.1037/0893-164x.17.1.66 

  5. Chang, J. Y. (2013).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female drug offenders.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s Service, 59, 207-241. 

  6. Childress, A. R., Ehrman, R., McLellan, A. T., MacRae, J., Natale, M., & O'Brien, C. P. (1994). Can induced moods trigger drug-related responses in opiate abuse patients?.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11(1), 17-23. DOI: 10.1016/0740-5472(94)90060-4 

  7. Cho, J. W., (2019).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rugs-oriented narcotic investigation. Korea Association of Criminal Psychology, 15(2), 53-66. Retrieved from http://www.ndsl.kr/ 

  8. Field, M., Mogg, K., & Bradley, B. P. (2004). Cognitive bias and drug craving in recreational cannabis user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74(1), 105-111. DOI: 10.1016/j.drugalcdep.2003.12.005 

  9. Field, M., & Cox, W. M. (2008). Attentional bias in addictive behaviors: A review of its development, causes, and consequence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97(1), 1-20. DOI: 10.1016/j.drugalcdep.2008.03.030 

  10. Franken, I. H., Kroon, L. Y., Wiers, R. W., & Jansen, A. (2000). Selective cognitive processing of drug cues in heroin dependence.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4(4), 395-400. DOI: 10.1177/026988110001400408 

  11. Goodman, A. (2008). Neurobiology of addiction: An integrative review. Biochemical Pharmacology, 75(1), 266-322. DOI: 10.1016/j.bcp.2007.07.030 

  12. Halikas, J. A., Kuhn, K. L., Crosby, R., Carlson, G., & Crea, F. (1991). The measurement of craving in cocaine patients using the Minnesota Cocaine Craving Scale. Comprehensive Psychiatry, 32(1), 22-27. DOI: 10.1016/0010-440x(91)90066-l 

  13. Hekmat, S., Alam Mehrjerdi, Z., Moradi, A., Ekhtiari, H., & Bakhshi, S. (2011). Cognitive flexibility, attention and speed of mental processing in opioid and methamphetamine addicts in comparison with non-addicts. Basic and Clinical Neuroscience, 2(2), 12-19. DOI: 10.18869/nirp.bcn 

  14. Hester, R., & Luijten, M. (2014). Neural correlates of attentional bias in addiction. CNS spectrums, 19(3), 231-238. DOI: 10.1017/s1092852913000473 

  15. Jeon, Y. S., Kim, S. K., Bae, S. K., & Joo, H. K. (2017). Current status and control policies of crimes related to new psychoactive substances.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Retrieved from http://www.ndsl.kr/ 

  16. Kang, J. H., Maeng, S. J., & Kim, Y. H (2019). A study on the deactivating factor of system for compulsory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drug abusers in Korea. Studies on Life and Culture, 52(1), 129-152. Retrieved from http://www.ndsl.kr/ 

  17. Kaye, S., McKetin, R., Duflou, J., & Darke, S. (2007). Methamphetamine and cardiovascular pathology: a review of the evidence. Addiction, 102(8), 1204-1211. DOI: 10.1111/j.1360-0443.2007.01874.x 

  18. Kim, K. H. (2002).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s of addictive behavio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7(2), 159-179. Retrieved from http://www.ndsl.kr/ 

  19. Kim, S. J., & Kim, K. H. (2013). Cognitive approach to Internet addiction improvement: focused on Solution of craving loss of contro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8(3), 421-443. Retrieved from http://www.ndsl.kr/ 

  20. Kuhar, M. (2012). The Addicted Brain Why we abuse drugs, alcohol and nicotine. Pearson Education, Inc. DOI: 10.5860/choice.49-5701 

  21. Kozlowski, L. T., & Wilkinson, D. A. (1987). Use and misuse of the concept of craving by alcohol, tobacco, and drug researchers.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82(1), 31-36. DOI: 10.1111/j.1360-0443.1987.tb01430.x 

  22. Lee, J. I. (2010). An economic review on drug related criminal policy: focused on the impact of prohibition on crime.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81, 225-249. Retrieved from http://www.ndsl.kr/ 

  23. Ludwig, A. M., & Wikler, A. (1974). "Craving" and relapse to drink. Quarterly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Quarterly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35, 108-130. Retrieved from http://www.ndsl.kr/ 

  24. Lundahl, L. H., & Johanson, L. H. (2011). Cue-induced craving for marijuna in cannabis-dependent adults. Experimental Clinical Psychopharmacol, 19(3), 224-230. DOI: 10.1037/a0023030 

  25. MacLeod, C., Mathews, A., & Tata, P. (1986). Attentional bias in emotional disord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1), 15-20. DOI: 10.1037/0021-843x.95.1.15 

  26. Markou, A., Weiss, F., Gold, L. H., Caine, S. B., Schulteis, G., & Koob, G. F. (1993). Animal models of drug craving. Psychopharmacology, 112(2-3), 163-182. DOI: 10.1007/bf02244907 

  27. Mcclure, S. M., & Bikel, W. K. (2014). A dual-systems perspective on addiction: contributions from neuroimaging and cognitive training.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327(1), 62-78. DOI: 10.1111/nyas.12561 

  28. Mun, S. H. (1999).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lternative interventions of women with drug abuse. Chung-Ang Journal of Social Sciences, 12, 101-118. Retrieved from http://www.ndsl.kr/ 

  29. Niaura, R., Shadel, W. G., Abrams, D. B., Monti, P. M., Rohsenow, D. J., & Sirota, A. (1998). Individual differences in cue reactivity among smokers trying to quit: effects of gender and cue type. Addictive Behaviors, 23(2), 209-224. DOI: 10.1016/s0306-4603(97)00043-9 

  30. North, L., Robinson, C., Haffegee, A., Sharkey, P. M.., & Hwang, F. (2014). Using virtual environments for trigger identification in addiction treatment. International Journal on Disability and Human Development, 13(3), 369-375. DOI: 10.1515/ijdhd-2014-0330 

  31. O'Brien, C. P., Childress, A. R., Ehrman, R., & Robbins, S. J. (1998). Conditioning factors in drug abuse: can they explain compulsio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2(1), 15-22. DOI: 10.1177/026988119801200103 

  32. Park, M, S., Sohn, S, J., Park, J, E., Kim, S, H., Yu, I, K., & Sohn, J, H. (2007). Alcohol craving in subjects with alcohol use disorders in response to alcohol cues.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0(4), 603-611. Retrieved from http://www.ndsl.kr/ 

  33. Park, S. S.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drug treatment situation: focused on the motivation enhancement for the abstinence of drug programs. Public Policy Review, 24(4), 167-188. Retrieved from http://www.ndsl.kr/ 

  34. Parr, L. A., Modi, M., Siebert, E., & Young, L. J. (2013). Intranasal oxytocin selectively attenuates rhesus monkeys’ attention to negative facial expressions. Psychoneuroendocrinology, 38(9), 1748-1756. DOI: 10.1016/j.psyneuen.2013.02.011 

  35. Pineles, S. L., Shipherd, J. C., Mostoufi, S. M., Abramovitz, S. M., & Yovel, I. (2009). Attentional biases in PTSD: More evidence for interference.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7(12), 1050-1057. DOI: 10.1037/e717692011-017 

  36. Prus, A. (2018). Drug and the Neuroscience of Behavior: An introduction to psychopharmacology 2nd edition. Los Angeles, CA: Sage 

  37. Rade, C. B., Desmarais, S. L., Van Dorn, R. A., Lutnick, A., Kral, A. H., & Lorvick, J. (2015). Mental health correlates of drug treatment among women who use methamphetamine. The American Journal on Addictions, 24(7), 646-653. DOI: 10.1111/ajad.12279 

  38. Robinson, S. J., & Ehrman, R. N. (2004). The role of attentional bias in substance abuse. Behavioral and Cognitive Neuroscience Reviews, 3(4), 243-260. DOI: 10.1177/1534582305275423 

  39. Robinson, T. E., & Berridge, K. C. (1993). The neural basis of drug craving: an incentive-sensitization theory of addiction. Brain Research Reviews, 18(3), 247-291. DOI: 10.1016/0165-0173(93)90013-p 

  40. Robinson, T. E., & Berridge, K. C. (2001). Incentive sensitization and addiction. Addiction, 96(1), 103-114. DOI: 10.1046/j.1360-0443.2001.9611038.x 

  41. Roelofs, S. M. (1985). Hyperventilation, anxiety, craving for alcohol: a subacute alcohol withdrawal syndrome. Alcohol, 2(3), 501-505. DOI: 10.1016/0741-8329(85)90123-5 

  42. Salo, R., Nordahl, T. E., Moore, C., Waters, C., Natsuaki, Y., Galloway, G. P., & Sullivan, E. V. (2005). A dissociation in attentional control: evidence from methamphetamine dependence. Biological Psychiatry, 57(3), 310-313. DOI: 10.1016/j.biopsych.2004.10.035 

  43. Salo, R., Nordahl, T. E., Natsuaki, Y., Leamon, M. H., Galloway, G. P., Waters, C., & Buonocore, M. H. (2007). Attentional control and brain metabolite levels in methamphetamine abusers. Biological Psychiatry, 61(11), 1272-1280. DOI: 10.1016/j.biopsych.2006.07.031 

  44. Shadel, W. G., Niaura, R., & Abrams, D. B. (2001). Effect of different cue stimulus delivery channels on craving reactivity: Comparing in vivo and video cues in regular cigarette smokers.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32(4), 203-209. DOI: 10.1016/s0005-7916(01)00035-0 

  45. Sinha, R., Talih, M., Malison, R., Cooney, N., Anderson, G. M., & Kreek, M. J. (2003).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and sympatho-adreno-medullary responses during stress-induced and drug cue-induced cocaine craving states. Psychopharmacology, 170(1), 62-72. DOI: 10.1007/s00213-003-1525-8 

  46. Sharma, D., Albery, I. P., & Cook, C. (2001). Selective attentional bias to alcohol related stimuli in problem drinkers and non-problem drinkers. Addiction, 96(2), 285-295. DOI: 10.1046/j.1360-0443.2001.96228512.x 

  47. Sherman, J. E., Morse, E., & Baker, T. B. (1986). Urges/craving to smoke: Preliminary results from withdrawing and continuing smokers. Advances i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8(4), 253-269. DOI: 10.1016/0146-6402(86)90008-1 

  48. Streeter, C. C., Terhune, D. B., Whitfield, T. H., Gruber, S., Sarid-Segal, O., Silveri, M. M., & Renshaw, P. F. (2008). Performance on the stroop predicts treatment compliance in cocaine-dependent individuals. Neuropsychopharmacology, 33(4), 827-836. DOI: 10.1038/sj.npp.1301465 

  49. Supreme Prosecutors's Office. (2019). 2018 Narcotic Crime white paper. Retrieved from http://www.spo.go.kr/ 

  50. Tiffany, S. T., & Carter, B. L. (1998). Is craving the source of compulsive drug use?.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2(1), 23-30. DOI: 10.1177/026988119801200104 

  51. Tiffany, S. T., & Conklin, C. A. (2000). A cognitive processing model of alcohol craving and compulsive alcohol use. Addiction, 95(8s2), 145-153. DOI: 10.1046/j.1360-0443.95.8s2.3.x 

  52. Townshend, J., & Duka, T. (2001). Attentional bias associated with alcohol cues: differences between heavy and occasional social drinkers. Psychopharmacology, 157(1), 67-74. DOI: 10.1007/s002130100764 

  53. Volkow, N., & Li, T. K. (2005). The neuroscience of addiction. Nature Neuroscience, 8(11), 1429-1430. DOI: 10.1038/nn1105-1429 

  5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International standards for drug use prevention. Retrieved from http://www.who.int/substance_abuse/publications/drugs/en/ 

  55. Volpicelli, J. R., Alterman, A. I., Hayashida, M., & O'Brien, C. P. (1992). Naltrexone in the treatment of alcohol dependenc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9(11), 876-880. DOI: 10.1016/0741-8329(94)90014-0 

  56. Wormer, K., & Davis, D. R. (2003). Addiction treatment: A strengths perspective. Belmont, CA: Thomson Books/Col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