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8년 주요 의료판결 분석
Review of 2018 Major Medical Decisions 원문보기

의료법학, v.20 no.1, 2019년, pp.243 - 279  

이동필 (법무법인 의성) ,  이정선 (법률사무소 건우) ,  유현정 (나음 법률사무소) ,  박태신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정혜승 (법무법인 반우) ,  박노민 (신.유 법률사무소)

초록

2018년 주요 판결 중에는 법리적으로 새로운 판결을 발견하기 어려운데, 이는 어느 정도 법리가 확립되었고, 손해배상이라는 틀 안에서 주로 사실관계에 대한 다툼에 집중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과실판단이 심급끼리 상반된 사례들은 그 사유와 법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갈수록 의료소송에서 다툼이 치열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책임제한을 하지 않은 판결들과 의무기록기재 관련 판결 등도 눈에 띄었는데, 특히 의무기록 기재 관련 판결들이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당사자들이 의무기록 관련 의문을 제기하는 사건들이 늘어나는 현상의 일환으로 생각되고 이번 기회에 몇 개판례를 분류하여 소개하였다. 장기입원환자의 퇴거 및 진료비 청구 사례는 의료과실로 인한 후유증 치료에 소요된 진료비는 환자에게 청구할 수 없다는 취지의 대법원의 판결 이후 퇴원 거부와 장기입원을 하는 환자들이 늘어가는 현실에서 법리적으로 관심이 가는 판결이어서 소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main ruling in 2018, it is difficult to find a new judiciary, which is understood to be due to a certain degree of jurisprudence established and focusing mainly on contentious disputes within the framework of damages. The cases in which the court's judgment is reversed helped to understa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무기록은 무엇인가? 의무기록은 그 의료행위에 관한 사실상 모든 것으로 그 이후의 환자 진료에 이용할 뿐 아니라 다른 의료관련 종사자에게도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로 하여금 적정한 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의료행위가 종료된 후에는 진료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의료법에서는 의료인에게 의무기록의 상세기재 의무를 부과하면서 의료법 시행규칙에는 구체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까지 명시하고 있다. 의료법상 의무기록을 작성하는 시기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고 의료현실상 의무기록을 의료행위 당시 바로 작성하는 것이 불가능할 때가 많다.
의무기록을 사후에 작성하거나 수정하여도 과실이 추정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의무기록은 그 의료행위에 관한 사실상 모든 것으로 그 이후의 환자 진료에 이용할 뿐 아니라 다른 의료관련 종사자에게도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로 하여금 적정한 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의료행위가 종료된 후에는 진료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의료법에서는 의료인에게 의무기록의 상세기재 의무를 부과하면서 의료법 시행규칙에는 구체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까지 명시하고 있다. 의료법상 의무기록을 작성하는 시기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고 의료현실상 의무기록을 의료행위 당시 바로 작성하는 것이 불가능할 때가 많다. 따라서 의무기록을 사후에 작성하였다거나, 사후에 수정하였다고 하여 이로써 바로 과실이 추정되지 않는다.
법리적으로 새로운 판결을 발견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2018년 주요 판결 중에는 법리적으로 새로운 판결을 발견하기 어려운데, 이는 어느 정도 법리가 확립되었고, 손해배상이라는 틀 안에서 주로 사실관계에 대한 다툼에 집중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과실판단이 심급끼리 상반된 사례들은 그 사유와 법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갈수록 의료소송에서 다툼이 치열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김민중, "의사에게 치료상의 과오를 설명할 의무가 있는가?", 의료법학 제15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4. 

  2. 김선욱. 정혜승, "의료인의 의료기관 다중운영 금지 조항의 위헌성", 의료법학 제16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5. 

  3. 박태신 외, "2016년 주요 의료판결 분석", 의료법학 제18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7. 

  4. 서울중앙지방법원, 손해배상소송실무(교통. 산재) 초판3쇄, 서울중앙지방법원 교통. 산재손해배상실무연구회, 2005. 

  5. 심다은. 박지용,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책임제한법리 대법원 2016. 6. 23. 선고 2015다55397 판결 및 하급심 판결의 평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6권 1호, 한국의료법학회, 2018. 

  6. 유현정 외, "2015년 주요 의료판결 분석", 의료법학 제17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6. 

  7. 이원복, "의료법 제33조 제8항에 관한 대법원 판결평석", 법률신문, 2018. 12. 2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