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코넛 오일로부터 유래된 당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합성 및 계면 특성 연구
Synthesis of Saccharide Nonionic Biosurfactants from Coconut Oil and Characterization of Their Interfacial Propertie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0 no.4, 2019년, pp.435 - 444  

조선희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  이예진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  박기호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  임종주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코코넛 오일을 원료로 사용하여 2종의 비이온 당계 생체계면활성제 GP-6 및 GP-7을 합성하였으며, FT-IR, $^1H-NMR$$^{13}C-NMR$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구조를 규명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임계 마이셀 농도, 정적 및 동적 표면장력, 계면장력, 유화 작용, 습윤성 및 거품 안정성 등과 같은 계면 물성을 측정한 결과, GP-6 및 GP-7 모두 우수한 계면 특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Terg-o-tometer를 사용하여 평가한 세척력 측정 결과에 의하면 GP-6 및 GP-7 모두 세제 제품에서 사용되는 기존 계면활성제들과 비교하여 양호한 세척력을 나타내었다. 생분해성, 급성 경구 독성, 급성 피부 자극 및 급성 안자극 검사 결과, GP-6 및 GP-7 모두 저 독성, 저자극성 및 우수한 환경친화성을 가지고 있어서 세제 제품에 적용 가능함을 나타냈으며, 특히 GP-6가 GP-7보다 계면활성이 우수하고 저자극성이고 쉽게 생분해 될 수 있기 때문에 세제 제조에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wo types of nonionic saccharide biosurfactants, GP-6 and GP-7, were prepared from coconut oil and the structure of resulting products was investigated by FT-IR, $^1H-NMR$ and $^{13}C-NMR$ spectrophotometer. The interfacial properties of GP-6 and GP-7 were found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0 bar 압력을 견디도록 설계된 압력반응기, 기계적 교반기, 가열 및 냉각 시스템, 온도계 등을 설치한 반응기에 얻어진 1몰의 2-에틸-1-헥산올(2-ethyl-1-hexanol, C8H18O) 및 1몰의 ethylene oxide를 150 ℃에서 6 h 반응하여 2-(3-ethylhexyloxy)ethanol 을 얻었다. 1몰의 덱스트로스 및 4몰의 2-(3-ethylhexyloxy)ethanol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 가열 및 환류 냉각 시스템, 온도계 및 유수분리기가 장착된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반응 용기를 115~120 ℃로 가열하고, 총량 기준으로 촉매(p-톨루엔 술폰산) 0.
  • 0M in THF, 99%)을 투입하고 60 ℃에서 2 h 동안 반응시키고 물로 수세를 진행한 후 생성되는 지방알코올을 분별 증류하여 도데실 알코올(dodecyl alcohol, C12H26O)을 얻었다. 1몰의 덱스트로스 및 4몰의 도데실 알코올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 가열 및 환류 냉각 시스템, 온도계 및 유수분리기가 장착된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반응 용기를 115~120 ℃로 가열하고, 총량 기준으로 촉매(p-톨루엔 술폰산) 0.
  •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표면장력 측정은 Du Nuoy ring 장력계(Kruss K100, 독일)를 사용하여 25 ℃에서 수행하였다. CMC는 계면활성제 농도 변화에 따른 표면장력 측정으로부터 측정하였고, 계면활성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표면장력이 더 이상 변하지 않을 때를 CMC로 간주하였다. 동일한 시료에 대하여 표면장력을 3회 측정하여 재현성을 확인한 후 평균값을 구하여 나타내었으며, 모든 측정값은 ± 1 mN/m 이하의 오차 범위 내에 있었다.
  • Terg-o-tometer를 사용하여 GP-6 및 GP-7 계면활성제에 대한 세척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Table 2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새로 합성된 GP-6 및 GP-7 계면활성제는 각각 88.
  • 계면활성제 농도 3 wt% 수용액을 내경 13 mm 시험관에 넣고 25 ℃ 온도 조건에서 5일 동안 보관한 후 시료의 윗부분과 아래 부분의 전기전도도를 각각 측정하여 두 전기전도도 값의 차이로부터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1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Table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GP-6과 GP-7 모두 시료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전기전도도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으며, 이는 GP-6과 GP-7 계면활성제 수용액 모두 안정한 상태를 유지함을 알 수 있다.
  • 따라서 1 wt% 계면활성제 용액의 기포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FoamScan (IFAC, Germany) 장치를 사용하여 25 ℃에서 1,500 s 동안 기포 부피 감소율을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안정성은 25 ℃ 에서 DualConTMIII (ITEC, Germany)를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전기전도도 변화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3 wt% 계면활성제 수용액 시료가 담긴 시험관의 윗부분과 아래 부분의 초기와 100 h 후의 시료의 전기전도도를 각각 측정함으로써 분산(dispersion), 합체(coalescence), 응집(aggregation) 또는 크리밍(creaming) 현상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11].
  • 계면활성제의 접촉각은 독일 Kruss사의 pendant drop tensiometer (DSA 100)를 사용하여 25 ℃에서 측정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액체 부피 3.0 mL를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떨어뜨린 후 실험 시작 직후부터 10 s 동안 측정한 값들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안정한 기포는 주방세제, 비누, 샴푸, 면도 크림, 맥주, 거품 욕조 및 소화용제(fire fighting agents)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18,19].
  • 급성 안자극 검사는 Biotoxtech사에서 OECD/OCDE405, “급성 안자 극성/부식성 시험(acute eye irritation/corrosion)”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maximum mean total score (MMTS)로 나타내었다.
  • 안정한 기포는 주방세제, 비누, 샴푸, 면도 크림, 맥주, 거품 욕조 및 소화용제(fire fighting agents)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18,19]. 따라서 1 wt% 계면활성제 용액의 기포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FoamScan (IFAC, Germany) 장치를 사용하여 25 ℃에서 1,500 s 동안 기포 부피 감소율을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안정성은 25 ℃ 에서 DualConTMIII (ITEC, Germany)를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전기전도도 변화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 생성물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해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을 Bruker DPX 300 (300 MHz) 에 기록하고 실온에서 δ 단위로 나타내었다. 또한 Digilab의 FT-IR FTS-165 FT-IR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생성물의 IR 스펙트럼을 얻었다.
  • 아울러 생분해성, 급성 경구 독성(acute oral toxicity), 급성 피부 자극(acute dermal irritation) 및 급성 안자극(acute eye irritation)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 환경 적합성(environmental compatibility)과 인체 안전성(safety)을 평 가하였다. 또한 합성한 비이온 당계 생체계면활성제의 세제 제품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Terg-o-tometer를 사용하여 세척력을 평가하였다.
  • 따라서 동적 계면장력 측정은 에멀젼 입자 사이의 응집과 합일을 방지할 수 있는 에멀젼 입자 안정화 에 필요한 시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아울러 오일-용액 계면에서의 유화제 분자의 흡착 속도론(kinetics)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n-데칸을 비극성 모델 기름으로 선정하여 1 wt% 계면활성제 수용액과 n-데칸 사이의 계면장력을 25 ℃에서 spinning drop tensi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7의 (a)와 (b) 에 각각 나타낸 것처럼, GP-6와 GP-7 시스템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면장력이 감소하다가 일정 시간 이후 평형 값에 도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계면활성제 농도에 따른 표면장력을 측정하여 수용액의 표면장력이 더 이상 변하지 않는 농도를 계면활성제의 CMC를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Figure 5 및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GP-6 및 GP-7 계면활성제의 CMC는 각각 2.
  • 본 연구에서는 코코넛 오일(coconut oil)을 이용하여 환경 친화적 비 이온 당계 생체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으며, 1H-NMR, 13C-NMR 및 FT-IR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합성물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임계 마이셀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정적(static) 및 동적 (dynamic) 표면장력(surface tension), 동적 계면장력(dynamic interfacial tension), 유화력(emulsification power), 접촉각(contact angle) 및 기포 안정성(foam stability)과 같은 계면 특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코코넛 오일을 사용하여 2종의 비이온 당계 생체계 면활성제 GP-6 및 GP-7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합성물의 구조를 FT-IR, 1H-NMR 및 13C-NMR 분광법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합성한 GP-6 및 GP-7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CMC, 정적 및 동적 표면장력, 계면 장력, 접촉각, 유화력 및 거품 특성과 같은 계면 특성을 측정한 결과, GP-6 및 GP-7 계면활성제 모두 우수한 계면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GP-6가 GP-7에 비하여 CMC 및 CMC 조건에서의 표면장력 값이 모두 작으며, 계면활성이 보다 우수하였다.
  • 생성물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해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을 Bruker DPX 300 (300 MHz) 에 기록하고 실온에서 δ 단위로 나타내었다.
  • 시험 동물로 쥐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 방법으로 반수치사량(lethal dose 50, LD50) 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시험 동물의 체중 kg당 투여된 화학 물질의 양(예: 밀리그램)으로 표현하여 나타내었다[21].
  • 임계 마이셀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정적(static) 및 동적 (dynamic) 표면장력(surface tension), 동적 계면장력(dynamic interfacial tension), 유화력(emulsification power), 접촉각(contact angle) 및 기포 안정성(foam stability)과 같은 계면 특성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생분해성, 급성 경구 독성(acute oral toxicity), 급성 피부 자극(acute dermal irritation) 및 급성 안자극(acute eye irritation)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 환경 적합성(environmental compatibility)과 인체 안전성(safety)을 평 가하였다. 또한 합성한 비이온 당계 생체계면활성제의 세제 제품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Terg-o-tometer를 사용하여 세척력을 평가하였다.
  •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는 계면활성제 유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5 wt% 계면활성제 수용액 7.5 mL와 n-헥사데칸 오일 7.5 mL를 시 험관에 각각 첨가한 혼합물을 5 min 동안 와류 믹서(vortex mixer)를 사용하여 교반한 후, 상온에서 24 h 방치한 후에 분리된 오일 층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계면활성제 유화 능력은 유화 지수(emulsification index, EI)로 나타내었으며, 유화 지수는 다음 식 (1)과 같이 24 h 후 유화된 오일 층의 높이를 시료의 초기 높이로 나눈 값으로 정의하여 나타내었다.
  •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안정성은 25 ℃ 에서 DualConTMIII (ITEC, Germany)를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전기전도도 변화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3 wt% 계면활성제 수용액 시료가 담긴 시험관의 윗부분과 아래 부분의 초기와 100 h 후의 시료의 전기전도도를 각각 측정함으로써 분산(dispersion), 합체(coalescence), 응집(aggregation) 또는 크리밍(creaming) 현상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11].
  • C-NMR 및 FT-IR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합성물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임계 마이셀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정적(static) 및 동적 (dynamic) 표면장력(surface tension), 동적 계면장력(dynamic interfacial tension), 유화력(emulsification power), 접촉각(contact angle) 및 기포 안정성(foam stability)과 같은 계면 특성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생분해성, 급성 경구 독성(acute oral toxicity), 급성 피부 자극(acute dermal irritation) 및 급성 안자극(acute eye irritation)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 환경 적합성(environmental compatibility)과 인체 안전성(safety)을 평 가하였다.
  • 코코넛 오일 1몰과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solution, 45 wt% in H2O) 3.0몰을 약 80 ℃에서 3 h 동안 반응시킨 다음, 하부에 발생되는 글리세롤과 물을 제거한 후 생성된 지방산에 수소화알루미늄리튬(lithium aluminium hydride solution, LiAlH4 1.0 M in THF, 99%)을 투입하고 60 ℃에서 2 h 동안 반응시키고 물로 수세를 진행한 후 생성되는 지방알코올을 분별 증류하여 2-에틸-1-헥산올(2-ethyl-1-hexanol, C8H18O)을 얻었다. 20 bar 압력을 견디도록 설계된 압력반응기, 기계적 교반기, 가열 및 냉각 시스템, 온도계 등을 설치한 반응기에 얻어진 1몰의 2-에틸-1-헥산올(2-ethyl-1-hexanol, C8H18O) 및 1몰의 ethylene oxide를 150 ℃에서 6 h 반응하여 2-(3-ethylhexyloxy)ethanol 을 얻었다.
  •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pH는 pH meter (S220-K, Mettler Toledo, USA)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표면장력 측정은 Du Nuoy ring 장력계(Kruss K100, 독일)를 사용하여 25 ℃에서 수행하였다.
  • 합성물 GP-6 및 GP-7의 구조는 1H-NMR, 13C-NMR 및 FT-IR 분광 광도계를 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GP-6 및 GP-7의 1H-NMR, 13C-NMR 및 FT-IR 스펙트럼의 결과를 Figures 3과 4에 각각 나타내었다
  • 합성한 GP-6 및 GP-7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생분해성, 급성 경구 독성, 급성 피부 자극 및 급성 안자극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 환경 적합성과 인체 안전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2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Table 2에서 볼 수 있듯이 KS M 2714에 기초한 활성 슬러지 시험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GP-6 및 GP-7 계면활성제의 1차 생분 해도는 각각 94.
  • 합성한 GP-6 및 GP-7 계면활성제의 구조를 1H-NMR, 13C-NMR 및 FT-IR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생성물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해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을 Bruker DPX 300 (300 MHz) 에 기록하고 실온에서 δ 단위로 나타내었다.
  • 합성한 계면활성제에 대한 세정력 실험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반/혼합식 세제 시험기(Terg-o-tometer, United States Testing Co., Inc.) 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세정력 측정을 위하여 실험에 사용한 인공 오염물은 전체 질량 기준으로 카본 블랙(carbon black) 0.

대상 데이터

  • 합성에 사용한 덱스트로스(dextrose, C6H12O6, 99% purity), p-톨루엔 설폰산(p-toluenesulfonic acid, C7H8O3S, 99% purity),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MgO, 99% purity), 수산 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 98% purity), 수산화칼륨(potassiumhydroxide, KOH, 99% purity), 수소화알루미늄리튬(lithium aluminium hydride, LiAlH4, 98% purity) 등은 Sigma-Aldrich Co에서 구입하여 별 다른 정제과정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n-데 칸(n-decane, C10H22) 및 n-헥사데칸(n-hexadecane, C16H34) 탄화수소들 도 Sigma-Aldrich Co에서 구입하여 별다른 정제과정 없이 그대로 사 용하였다. 시료 준비에 사용된 물은 Nanopure (Sybron-Brinkman Inc.
  • 합성에 사용한 덱스트로스(dextrose, C6H12O6, 99% purity), p-톨루엔 설폰산(p-toluenesulfonic acid, C7H8O3S, 99% purity),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MgO, 99% purity), 수산 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 98% purity), 수산화칼륨(potassiumhydroxide, KOH, 99% purity), 수소화알루미늄리튬(lithium aluminium hydride, LiAlH4, 98% purity) 등은 Sigma-Aldrich Co에서 구입하여 별 다른 정제과정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n-데 칸(n-decane, C10H22) 및 n-헥사데칸(n-hexadecane, C16H34) 탄화수소들 도 Sigma-Aldrich Co에서 구입하여 별다른 정제과정 없이 그대로 사 용하였다. 시료 준비에 사용된 물은 Nanopure (Sybron-Brinkman Inc.
  • hydroxide, KOH, 99% purity), 수소화알루미늄리튬(lithium aluminium hydride, LiAlH4, 98% purity) 등은 Sigma-Aldrich Co에서 구입하여 별다른 정제과정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n-데칸(n-decane, C10H22) 및 n-헥사데칸(n-hexadecane, C16H34) 탄화수소들도 Sigma-Aldrich Co에서 구입하여 별다른 정제과정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비이온 당계 생체계면활성제 합성에 사용한 코코넛 오일은 LG생활건강(주)에서 구입하여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Figures 1및 2에 나타낸 코코넛 오일의 알킬 사슬(alkyl chain) R은 질량 기준으로 2.
  • ) 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세정력 측정을 위하여 실험에 사용한 인공 오염물은 전체 질량 기준으로 카본 블랙(carbon black) 0.5%, 올레산 (oleic acid) 28.3%, 트라이올레인(triolein) 15.6%, 파라핀(paraffin) 2.5%, 스쿠알렌(squalene) 2.5%, 콜레스테롤(cholesterol) 1.6%, 콜레스테롤레이트(cholesterolate) 12.2%, 케라틴(ceratin) 7.0%, 진흙(mud) 29.8%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정력은 오염포의 세탁 전과 후의 백색도 측정값을 이용하여 다음 식 (2)로부터 결정하였다.
  •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n-데 칸(n-decane, C10H22) 및 n-헥사데칸(n-hexadecane, C16H34) 탄화수소들 도 Sigma-Aldrich Co에서 구입하여 별다른 정제과정 없이 그대로 사 용하였다. 시료 준비에 사용된 물은 Nanopure (Sybron-Brinkman Inc.) 이온 교환 시스템을 거친 3차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 0% 올레익산 (oleic acid)으로 이루어져 있다. 합성에 사용한 덱스트로스(dextrose, C6H12O6, 99% purity), p-톨루엔 설폰산(p-toluenesulfonic acid, C7H8O3S, 99% purity),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MgO, 99% purity), 수산 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 98% purity), 수산화칼륨(potassiumhydroxide, KOH, 99% purity), 수소화알루미늄리튬(lithium aluminium hydride, LiAlH4, 98% purity) 등은 Sigma-Aldrich Co에서 구입하여 별 다른 정제과정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n-데 칸(n-decane, C10H22) 및 n-헥사데칸(n-hexadecane, C16H34) 탄화수소들 도 Sigma-Aldrich Co에서 구입하여 별다른 정제과정 없이 그대로 사 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동일한 시료에 대하여 표면장력을 3회 측정하여 재현성을 확인한 후 평균값을 구하여 나타내었으며, 모든 측정값은 ± 1 mN/m 이하의 오차 범위 내에 있었다.

이론/모형

  •  급성 피부 자극 시험은 OECD Test Guideline 404, “급성 피부 자극성/부식성 시험(acute dermal irritation/corrosion)”에 따라 국제 공인 시험 기관인 Korea Testing & Research (KTR) Institute에서 평가하였으며[21,23,24], 급성 안자극성 시험은 국제 공인 시험 기관인 Biotoxtech 사에서 OECD/OCDE405, “급성 안자극성/부식성 시험(acute eye irritation/corrosion)”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maximum mean total score (MMTS)으로 표시하여 나타내었다[21,25].
  • 98%로 측정되었다[21]. 3 wt%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접촉각을 pendant drop tensi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1에서 볼 수 있듯이 GP-6 및 GP-7의 접촉각은 각각 23.
  • 급성 안자극 검사는 Biotoxtech사에서 OECD/OCDE405, “급성 안자 극성/부식성 시험(acute eye irritation/corrosion)”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maximum mean total score (MMTS)로 나타내었다. MMTS는 Kay and Calandra[31]의 방법에 따라 안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 지표로서 그 값에 따라 자극성 정도는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 0.
  • 계면활성제의 1차 생분해도는 KS M 2714 (Testing method for biodegradability of synthetic deterge) “합성세제의 생분해도 실험에 기초한 활성 슬러지 시험법”을 사용하여 국제 공인 시험 기관인 한국융합 시험연구원(Korea Testing & Research Institute, KTR)에서 생분해도 시험(biodegradability test)을 실시하였다[20,21].
  • 공기-물 계면에서 계면활성제 분자의 패킹(packing)을 나타내는 지표인 표면 과잉 농도(surface excess concentration) Γ와 공기-물 계면에서 계면활성제 단 분자 한 개가 차지하는 면적 σ는 Gibbs adsorption식으로부 터 구하였다[11].
  • 급성 피부 자극 시험은 OECD test guideline 404, “급성 피부 자극 성/부식성 시험(acute dermal irritation/corrosion)”에 따라 국제 공인 시험 기관인 KTR에서 평가하였다[23,24].
  • 시간에 따른 동적 표면장력은 maximum bubble pressure tensiometer (Kruss BP2,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동적 조건 하에서 표면장력을 낮출 수 있는 능력은 기포 및 에멀젼(emulsion) 제조와 안정화, 코팅 공정 등과 같은 실제 응용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12,13].
  • 계면활성제의 1차 생분해도는 KS M 2714 (Testing method for biodegradability of synthetic deterge) “합성세제의 생분해도 실험에 기초한 활성 슬러지 시험법”을 사용하여 국제 공인 시험 기관인 한국융합 시험연구원(Korea Testing & Research Institute, KTR)에서 생분해도 시험(biodegradability test)을 실시하였다[20,21]. 합성한 계면활성제에 대한 급성 독성 시험(acute toxicity test)은 국제 공인 시험 기관인 Biotoxtech사에서 OECD/OCDE 423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동물로 쥐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 방법으로 반수치사량(lethal dose 50, LD50) 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시험 동물의 체중 kg당 투여된 화학 물질의 양(예: 밀리그램)으로 표현하여 나타내었다[21].
  • 합성한 계면활성제에 대한 급성 독성 시험은 국제 공인 시험 기관인 Biotoxtech사에서 OECD/OCDE 423에 근거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 과를 LD50으로 나타내었다. Table 2에 나타낸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GP-6 및 GP-7의 LD50 값은 각각 2,000 및 2,500 mg/kg보다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장점은 무엇인가? 특히 많은 에너지의 절약이 가능한 낮은 온도에서의 세탁(low temper-ature detergency)이 중요하게 대두됨에 따라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세척력(detergency)이 우수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중요성이 더해 가고 있다. 또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제 산업에서 많이 쓰여 왔던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낮은 임계 마이셀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우수한 세정력, 특정 온도에서 마이셀 용액이 계면활성제 농도가 매우 높은 surfactant-rich phase (L1)와 계면활성제 농도가 매우 낮은 surfactant-lean phase (W)로 분리되는 운점 현상(cloud point phenomena), 우수한 생분해성(biodegradability), 낮은 독성(toxi- city), 저기포성(low foaming), 피부에 대한 저자극성(low irritation) 및 비교적 경도(hardness) 및 pH 변화에 대한 영향이 작은 장점들을 갖고 있다[1-3].
생체계면활성제의 우수한 장점으로 인한 활용분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생체계면활성제는 석유계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다양성(diversity), 특이성(uniqueness), 선택성(selectivity), 우수한 생분해성(biodegradability), 비독성(nontoxicity), 비자극성(nonirritating), 대규모 생산 가능성(large-scale production) 및 극한 온도 및 pH 조건에서의 우수한 성능 등의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세제, 생활용품, 화장품, 의약품, 식품, 섬유 처리제, 윤활유, 농업제품 등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가용화제(solubilizer), 유화제(emulsifier), 습윤제(wetting agent), 기포제(foaming agent), 분산제(dis- persant), 안정화제(stabilizer), 탈유화제(demulsifier) 등의 용도로 사용이 점차 증대하고 있으며, 향후 기존 석유계 계면활성제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적 응용성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2-8].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중요성이 중요해 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계면활성제는 섬유, 제지, 사진, 도료, 접착제, 세탁 세제, 비누, 샴푸, 화장품, 의약품, 농약, 금속, 토목⋅건축, 윤활유, 식품, 전자 산업, 석유 생산 등 많은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계면활성제의 다양한 응용분야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가 전체 생산량의 50% 이상이 소요되고 있는 세제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많은 에너지의 절약이 가능한 낮은 온도에서의 세탁(low temper-ature detergency)이 중요하게 대두됨에 따라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세척력(detergency)이 우수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중요성이 더해 가고 있다. 또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제 산업에서 많이 쓰여 왔던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낮은 임계 마이셀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우수한 세정력, 특정 온도에서 마이셀 용액이 계면활성제 농도가 매우 높은 surfactant-rich phase (L1)와 계면활성제 농도가 매우 낮은 surfactant-lean phase (W)로 분리되는 운점 현상(cloud point phenomena), 우수한 생분해성(biodegradability), 낮은 독성(toxi- city), 저기포성(low foaming), 피부에 대한 저자극성(low irritation) 및 비교적 경도(hardness) 및 pH 변화에 대한 영향이 작은 장점들을 갖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