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코넛 오일로부터 유래된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계면 특성 연구
Synthesis of Amino Acid-based Anionic Surfactants from Coconut Oil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facial Propertie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9 no.5, 2018년, pp.524 - 532  

예다난 (동국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  조선희 (동국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  임종주 (동국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천연 유래의 코코넛 오일을 원료로 사용하여 2종류의 아미노산계 음이온 생체계면활성제 포타슘 코코일 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 CTK)와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sodium cocoyl glutamate, CTN)를 합성하였으며, 합성한 계면활성제의 구조를 FT-IR, $^1H-NMR$$^{13}C-NMR$ 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정적 및 동적 표면장력과 유화력 등의 계면 물성을 측정한 결과, CTK와 CTN 모두 계면 활성이 우수하고 계면 에너지를 낮추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CTK 계면활성제가 CTN 계면활성제와 비교하여 계면 에너지를 낮추는데 보다 효과적이었는데 이는 CTK가 소수성이 더 크고 계면활성제 단분자가 벌크 용액으로부터 공기와 수용액의 계면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빨라서 공기와 수용액의 계면이 계면활성제 단분자에 의하여 더 짧은 시간에 포화되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생활용품이나 화장품 제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wo types of amino acids-based anionic biosurfactants such as potassium cocoyl glutamate (CTK) and sodium cocoyl glutamate (CTN) were synthesized from coconut oils and the structure elucidation of CTK and CTN was carried out by using FT-IR, $^1H-NMR$ and $^{13}C-NMR$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석유계 계면활성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천연 유래의 코코넛 오일을 원료로 한 환경 친화적 아미노산계 생체계면활성제 2종 CTK와 CTN을 합성한 후 구조적 특성 분석 및 CMC, 표면장력, 접촉각, 기포 안정성, 유화력 등의 계면 물성 측정을 수행하였다.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CTK와 CTN 모두 우수한 계면 물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특히 CTK의 CMC 값과 CMC에서의 표면장력 값이 CTN과 비교하여 약간 작은 값을 나타내 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체계면활성제란 무엇인가? 생체계면활성제는 광범위한 적용 범위를 갖는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표면 활성 생체 분자로 정의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재생 가능한 천연 식물성 원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모든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4,5]. 생체계면활성제는 특이성(uniqueness), 다양성(variety), 선택성(selectivity), 비자극성(nonirritating), 극한 온도 및 pH 조건에서의 높은 효율, 대량 생산 제조 용이성(convenience of large scale production), 비독성(nontoxicity) 혹은 매우 낮은 저독성 및 우수한 생분해성(biodegradability)과 같은 환경 친화적인 장점 등을 갖고 있다.
생체계면활성제의 다양한 장점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무엇인가? 생체계면활성제는 특이성(uniqueness), 다양성(variety), 선택성(selectivity), 비자극성(nonirritating), 극한 온도 및 pH 조건에서의 높은 효율, 대량 생산 제조 용이성(convenience of large scale production), 비독성(nontoxicity) 혹은 매우 낮은 저독성 및 우수한 생분해성(biodegradability)과 같은 환경 친화적인 장점 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세제, 생활용품, 화장품, 의약품, 식품, 섬유 처리제, 윤활유, 농업제품 등의 많은 산업에서 가용화제(solubilizer), 유화제 (emulsifier), 습윤제(wetting agent), 기포제(foaming agent), 분산제 (dispersant), 안정화제(stabilizer), 탈유화제(demulsifier)등의 용도로 사용이 점차 증대하고 있으며, 향후 기존 석유계 계면활성제를 대체 할 수 있는 잠재적 응용성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2-8].
석유계 계면활성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계면활성제(surface active agent, surfactant)는 세제(detergent), 생활 용품(household product), 화장품(cosmetic product), 세정제(cleaner), 펄프, 제지, 식품, 잉크, 안료, 접착제, 도료, 섬유 처리제(textile processing), 윤활유(lubricant), 콘크리트, 플라스틱, 감광 필름, 의약품(pharmaceuticals), 전자 제품, 농업 제품(agricultural product) 등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계면활성제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1].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들은 원유를 채취하여 수차례의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석유계 계면활성제가 대부분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석유계 계면활성제는 환경오염 문제 및 인체 안정성의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석유계 계면활성제를 대체하기 위한 환경 친화적(eco-friendly) 생체계면활성제(biosurfactant)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D. S. Keler and P. Luner, Surface energetics of calcium carbonates using inverse gas chromatography, Colloids Surf., 161, 401-415 (2000). 

  2. I. M. Banat, R. S. Makkar, and S. S. Cameotra, Potential commercial applications of microbial surfactants, Appl. Microbiol. Biotechnol., 53, 495-508 (2000). 

  3. Z. N. Patel and N. Saraswathy, Biosurfactant: an environment friendly substitute to surfactant, World J. Pharm. Res., 3, 1968-1977 (2014). 

  4. S. Vijayakumar and V. Saravanan, Biosurfactants-types, sources and applications. research, Res. J. Microbiol., 10, 181-192 (2015). 

  5. K. Holmberg, Natural surfactants, Curr. Opin. Colloid Interface Sci., 6, 148-159 (2001). 

  6. Q. Q. Zhang, B. X. Cai, W. J. Xu, H. Z. Gang, J. F. Liu, S. Z. Yang, and B. Z. Mu, Novel zwitterionic surfactant derived from castor oil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 for oil recovery, Colloids Surf. A, 483, 87-95 (2015). 

  7. Y. K. Yoon and K. S. Choi, Studies on physical behavior of alkyl polyglucosides (I) - Interfacial activities and detergency, J. Korean Ind. Eng. Chem., 5, 451-456 (1994). 

  8. E. Haba, M. J. Espuny, M. Busquets, and A. Manresa, Screening and production of rhamnolipids by Pseudomonas aeruginosa 47T2 NCIB 40044 from waste frying oils, J. Appl Microbiol., 88, 379-387 (2000). 

  9. L. Perez, A. Pinazo, R. Pons, and M. Infante, Gemini surfactants from natural amino acids, Adv. Colloid Interface Sci., 205, 134-155 (2014). 

  10. A. Kundu, S. Dasmandal, T. Majumdar, and A. Mahapatra, Effect of anionic biocompatible amino acid surfactant and sodium dodecyl sulfate on the rate of alkaline hydrolysis of tris(2,2-bipyridine) iron(II) complex: A comparative study, Colloids Surf. A, 419, 216-222 (2013). 

  11. H. Yokota, K. Sagawa, C. Eguchi, and M. Takehara, New amphoteric surfactants derived from lysine. I.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N-acyl lysine, J. Am. Oil Chem. Soc., 62, 1716-1719 (1985). 

  12. G. Baschang, A. Hartmann, and O. Wacker, Lipopeptides having antitumor activity. US Patent 4,666,886 A (1987). 

  13. D. B. Barun, Developments with lipoaminoacids and their salts, Cosmet. Toiletries, 104, 92-94 (1989). 

  14. C. M. C. Faustino, A. R. T. Calado, and L. Garcia-Rio, Interactions between $\beta$ -cyclodextrin and an amino acid based anionic gemini surfactant derived from cysteine, J. Colloids Interface. Sci., 367, 286-292 (2012). 

  15. M. R. Infante, A. Pinazo, and J. Seguer, Non-conventional surfactants from amino acids and glycolipids: structure, preparation and properties, Colloids Surf. A, 123-4, 49-70 (1997). 

  16. M. C. Moran, A. Pinazo, L. Perez, P. Clapes, M. Angelet, M. T. Garcia, M. P. Vinardell, and M. R. Infante, "Green" amino acid-based surfactants, Green Chem., 114, 233-240 (2004). 

  17. T. Suyama, T. Toyoda, and S. Kanao, Aliphatische acylaminosauren. n-acyl-aminosauren. II, J. Pharm. Soc. Jpn., 86, 967-972 (1966). 

  18. T. Y. Kim, S. C. Kim, S. J. Lee, J. H. Lee, and K. D. Nam, Studies on the surfactants of the n-acyl amino acid (part 8) (cmc and emulsion stability of n-acyl amino acid type anionic surfactant), J. Korean Ind. Eng. Chem., 6, 785-794 (1995). 

  19. M. R. Infante, A. Pinazo, and J. Seguer, Non-conventional surfactants from amino acids and glycolipids: Structure, preparation and properties, Colloids Surf. A, 123-124, 49-70 (1997). 

  20. M. Gerova, F. Rodrigues, J.-F. Lamere, A. Dobrev, and S. Fery-Forgues, Self-assembly properties of some chiral N-palmitoyl amino acid surfactants in aqueous solution, J. Colloids Interface Sci., 319, 526-533 (2008). 

  21. I. Anastasios, T. Mitsionis, and C. Vaimakis, Estimation of AOT and SDS CMC in a methanol using conductometry, viscometry and pyrene fluorescence spectroscopy methods, Chem. Phys. Lett., 547, 110-113 (2012). 

  22. J. Oshitani, S. Takashina, M. Yoshida, and K. Gotoh, Difference in screening effect of alkali metal counterions on H-AOT-based W/O microemulsion formation, Langmuir, 26, 2274-2278 (2010). 

  23. M. Camp and K. Durham, The foaming of sodium laurate solutions-Factors influencing foam stability, J. Phys. Chem., 59, 993-997 (1955). 

  24. S. O. Oh and D. O. Shah, Effect of counterions on the interfacial tension and emulsion droplet size in the oil/water/dodecyl sulfate, J. Phys. Chem., 97, 284-286 (1993). 

  25. S. Pandey, R. P. Bagwe, and D. O. Shah, Effect of counterions on surface and foaming properties of dodecyl sulfate, J. Colloid Interface Sci., 267, 160-166 (2003). 

  26. P. Mukerjee, The nature of the association equilibria and hydrophobic bonding in aqueous solutions of association colloids, Adv. Colloid Interface Sci., 1, 241-275 (1967). 

  27. M. J. Rosen, Surfactants and Interfacial Phenomena, Wiley, New York, USA (1978). 

  28. J. N. Israelachvilli, Intermolecular and Surface Force, Academic Press, Ch.4, New York, USA (1992). 

  29. J. C. Lim, E. K. Kang, J. M. Park, H. C. Kang, and B. M. Lee, Syntheses and surface active properties of cationic surfactants having multi ammonium and hydroxyl groups, J. Ind. Eng. Chem., 18, 1406-1411 (2012). 

  30. J. C. Lim, J. M. Park, C. J. Park, and B. M. Lee, Synthesis and surface active properties of a gemini-type surfactant linked by a quaternary ammonium group, Colloid Polym. Sci., 291, 855-866 (2013). 

  31. S. M. Lee, J. Y. Lee, H. P. Yu, and J. C. Lim, Synthesis of environment friendly nonionic surfactants from sugar base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facial properties for detergent application, J. Ind. Eng. Chem., 38, 157-166 (2016). 

  32. S. M. Lee, J. Y. Lee, H. P. Yu, and J. C. Lim, Synthesis of environment friendly biosurfactants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facial properties for cosmetic and household products formulations, Colloid Surf. A, 536, 224-233 (2018). 

  33. X. Liu, Y. Zhao, Q. Li, T. Jiao, and J. Niu, Surface and interfacial tension of nonylphenol polyethylene oxides sulfonate, J. Mol. Liq., 216, 185-191 (2016). 

  34. L. Zhi, Q. Li, Y. Li, and Y. Song, Adsorption and aggregation properties of novel star-shaped gluconamide-type cationic surfactants in aqueous solution, Colloid Polym. Sci., 292, 1041-1050 (2014). 

  35. H. Changa, Y. Wanga, Y. Cuia, G. Lib, B. Zhanga, X. Zhaoc, and W. Weia, Equilibrium and dynamic surface tension properties of Gemini quaternary ammonium salt surfactants with hydroxyl, Colloids Surf. A, 500, 230-238 (2016). 

  36. J. C. Lim, S. Lee, B. J. Kim, J. G. Lee, and K. Y. Choi,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facial properties of glycerol surfactant, Appl. Chem. Eng., 22, 376-38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