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예 활동가와 이용자의 도시 커뮤니티가든 이용행태와 인식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age Behavior and Perception of Horticulturalists and Simple Users for Urban Community Garden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7 no.4, 2019년, pp.409 - 424  

이성빈 (단국대학교 환경자원경제학과) ,  양성범 (단국대학교 환경자원경제학과) ,  최정민 (건국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과) ,  이춘수 (순천대학교 농업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age behavior and the perception of horticulturalists (horticultural activists) and simple users for urban community gardens. To this end, we surveyed 100 horticulturalists and 213 simple users. Questions in the survey a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1) usage behavi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시 커뮤니티가든 사례지의 원예 활동가와 단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용횟수, 이동수단 및 거리, 이용용도 등의 이용행태와 커뮤니티가든이 제공하는 편익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원예 활동가를 대상으로 커뮤니티가든을 대상으로 한 원예 활동 시 지출비용을 조사하고, 원예 활동가 및 단순 이용자 모두를 대상으로 커뮤니티가든이 제공하는 편익에 대한 지불의사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뮤니티가든 조성이 가장 활발한 지역은? 도시 커뮤니티가든은 2012년경 마을조성사업과 도시텃밭 등에 도입되었고(Kim and Choi, 2017), 행정안전부는 2015년 이후 마을경관 향상 및 공동체 의식 함양을 목적으로 ‘마을공 동체 정원 조성사업’을 진행 중이다. 지방자치단체 중 커뮤니티가든 조성이 가장 활발한 지역은 경기도로 ‘마을 르네상스 사업’, ‘경기 시민 참여형 마을정원 사업’ 등의 정책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정된 예산으로 커뮤니티가든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이용실태 조사와 경제적 가치평가를 위한 지불의사 조사가 중요하다.
커뮤니티가든이란? 최근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도시 커뮤니티가든(urban community garden)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커뮤니티가든은 공동체를 뜻하는 ‘커뮤니티(community)’와 정원을 뜻하는 ‘가든(garden)’의 합성어로 “공공텃밭, 공동체정원, 동네정원” 등으로 불린다(Kim et al., 2012).
원예 활동가에서 커뮤니티 가든의 원예 활동 비용 지불의사와 편익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원예 활동을 위한 지출을 포함한 지불의사를 보면 원예 활동가가 단순 이용자보다 월등히높고, 원예 활동가의 경우 커뮤니티가든에서의 원예 활동이 신체 및 정신건강, 그리고 사회성 증진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고 평가하였다. 이는 조성이나 관리에 참여할 경우 커뮤니티 가든을 더욱 가치 있게 평가한다는 의미이다. 관련 기관과 공동체는 지역 주민이 커뮤니티가든 공동체에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 활성화와 사업 다양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oi, J. M., Y. N. Kim, and D. C. Park. 2018. A Study on the Desirable Direction for Korean Community Gardens: Using Case Studies in Japan and Questionnaire Survey of Korean Experts. Residental Environment. 16(1): 83-104. 

  2. Kim, H. J. and J. M. Choi. 2017. Case Study of the Community Gardens in Korea.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llection of Academic Presentation: 48-50. 

  3. Kang, J. Y. 2014.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ADL of Demented Elder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8(1): 33-39. 

  4. Kim, S. H., S. Y. Yoon, M. J. Cha, H. J. Yoo, J. Y. Cho, and Y. S. Kim. 2012. A Study on Experimental Construction of Community Garden: A Case Study on Rooftop of SAHA Disabled Welfare House. J. KILA. 40(2): 24-37. 

  5. Kwak, S. J., M. H. Ryu, S. S. Shin, S. H. Yoo, J. S. Lee, C. K. Lee, J. I. Chang, and S. G. Jo. 2007. Applying to Economics to the Environment, Korean Version, Sanmun Publisher. The Original Book: Russell, C. S. 2001. Applying to Economics to the Environment. 

  6. Lee, C. S. and S. Y. Yang. 2013. Willingness-to-Pay for Food Security under Climate Changes in Korea: The Indirect Tax Approach.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40(4): 1037-1061. 

  7. Min, B. W. 1990, Urbanization and Urban Social Problems in Korea, GOHIGYE, Monthly Law Journal. 35(10): 330-332. 

  8. Park, K. S. and D. U. Hwang. 2010.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Leisure Program on Mental Health and Life-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5(5): 333-348. 

  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Urban Agriculture. Standard Agricultural Textbook. 179. 

  10. Shin, M. J. and J. M. Choi. 2018. Case Study of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Gardens in Four North American Cities. J. KILA. 46(6): 26-40. 

  11. 越川秀治. 2002. コミュニティガ?デン-市民が進める?のまちづくり. ?芸出版社.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