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무 유기재배와 관행재배 토양의 화학성과 미생물 군집 비교
Soil Chemical Property and Microbial Community under Organic and Conventional Radish Farming System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7 no.4, 2019년, pp.479 - 499  

강호준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양성년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송관철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조영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김유경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지역 무 주산지에서 재배 방법(유기 vs. 관행)과 토양 종류(화산회토 vs. 비화산회토)에 따른 토양의 화학적 특성, 미생물 활성 그리고 미생물 군집 조성을 분석하고 요인간 연관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전반적으로 유기와 관행의 재배 방식에 따른 토양 화학성은 처리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토양 미생물체량, 효소 활성, 종 풍부도와 다양성 그리고 미생물 군집 분포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토양 종류에 따른 화학성과 미생물 군집 분포 등 미생물학적 특성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유기재배 토양에서 관행 대비 토양의 세균, 방선균사상균 그리고 미생물체량이 증가하였으며, Org-NA 토양에서 탈수소효소 활성, 종 풍부도(Chao 1) 그리고 종 다양성(Phyrogenetic diversity) 지수가 가장 높았다. 무 재배 토양에 분포하고 있는 주요 세균 문은 Proteobacteria, Acidobacteria, Chloroflexi, Firmicutes 그리고 Actinobacteria 등 5종이었으며 재배 방법 및 토양 종류에 관계없이 Proteobacteria 문이 화산회토에서 25.9%, 비화산회토에서 21.9~24.9%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그리고 대체로 화산회토와 비화산회토 토양 종류별로 유사한 군집 조성을 보였으며, 화산회토에서는 재배 방법별 주요 문의 군집 조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비화산회토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Firmicutes는 Org-NA 토양에서 21.0%, Acidobacteria는 Con-A에서 21.6%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는데 대체로 화산회토와 관행재배 토양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재배 방법 및 토양 종류별 미생물 군집을 대표하는 바이오마커를 찾기 위하여 LEfSe 분석을 실시한 결과, Firmicutes 문의 분포가 비화산회토와 유기재배 토양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토양 화학성 중에서 총유기탄소 함량, 유효인산 그리고 치환성칼륨 함량은 Firmicutes 등 주요 세균 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s of soil properties and microbial communities to different agricultural management and soil types, including organic management in Andisols (Org-A), organic management in Non-andisols (Org-NA), conventional management in Andisols (Con-A) and conv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 무주산지에서 재배 방법(유기 vs. 관행)과 토양 종류(화산회토 vs. 비화산회토)에 따른 토양의 화학적 특성, 미생물 활성, 그리고 미생물 군집 구성을 분석하고 요인 간 연관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제주지역 무 주산지에서 재배 방법(유기 vs. 관행)과 토양 종류(화산회토 vs. 비화산회토)에 따른 토양의 화학적 특성, 미생물 활성 그리고 미생물 군집 조성을 분석하고 요인간 연관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전반적으로 유기와 관행의 재배 방식에 따른 토양 화학성은 처리 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토양 미생물체량, 효소 활성, 종풍부도와 다양성 그리고 미생물 군집 분포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비료와 합성농약 사용은 농업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화학비료와 합성농약 사용으로 대표되는 현대농업의 발전은 작물의 생산량을 극대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적 수단에 의존하는 농업방식은 토양의 질 악화, 수질 오염, 화학 연료 사용 증가, 그리고 농약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생물종의 증가 등으로 농업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Sugiyama and Vivango, 2010). 토양의 질은 물리성, 화학성 그리고 생물성 등 다차원적으로 평가되고 있는데, 이 가운데 토양 미생물은 토양 용적의 1% 보다 적게 점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양 특성을 좌우하고 자연생태계의 물질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토양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작물 생산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Tilman et al.
토양 내 유익한 미생물이 증가하면 어떤 장점이 있는가? , 2015). 그리고 토양 내 유익한 미생물의 증가는 작물의 생육 촉진, 병 발생 감소 그리고 양분의 이용 증가 등으로 나타나며 토양의 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Wang et al., 2016).
화산회토의 특성은? 또한 제주도는 육지부와 달리 현무암을 모암으로 화산분출물에 의해 형성된 Andisols과 Non-andisols 토양이 분포하고 있으며, 각각 화산회토와 비화산회토로 명명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산회토는 용적밀도가 0.9 이하로 낮고 인산보유능이 85% 이상, 유기물함량이 평균 110~150 mg kg-1으로 매우 높으며 광물 조성이 비화산회토와 아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Ugolini and Dahlgren, 2002). Adams (2011)는 제주도 토양 미생물의 군집패턴 분석결과 모암의 차이로 인한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의 차이가 박테리아 군집 구성에 영향을 주며, 식생의 유형도 박테리아 군집 구조와 다양성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dams, J. 2011. Altitudinal, land use and substrate variation in determining soil prokaryotic community on Jeju Island, Korea. Research repor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 

  2. Armalyte, J., J. Skerniskyte, E. Bakiene, R. Krasauskas, R. Siugzdinient, V. Kareiviene, S. Kerziene, I. Klimiene, and E. Suziedeliene. 2019. Microbial diversity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rofile in microbiota from soils of conventional and organic farming systems. Frontiers in Microbiol. 10(892). 

  3. Bacon, C. W., E. R. Palencia, and D. M. Hinton. 2015. Abiotic and biotic plant stress tolerant and beneficial secondary metabolites produced by endophytic Bacillus species. Plant Micro. Sym.: 163-177. 

  4. Beilen, N. V. 2016. Effects of conventional and organic agricultural techniques on soil ecology. The center for development and strategy. 2016(1). 

  5. Bolger, A. M., M. Lohse, and B. Usadel. 2014. Trimmomatic: a flexible trimmer for Illumina sequence data. Bioinformatics 30: 2114-2120. 

  6. Buckley, D. H., and T. M. Schmidt. 2003. Diversity and dynamics of microbial communities in soils from agro-ecosystems. Environ. Microbiol. 5: 441-452. doi: 10.1046/j.1462-2920.2003.00404.x. 

  7. Casida, L. E., D. A. Klein, and T. Santoro. 1964. Soil dehydrogenase activity. Soil Sci. 98: 371-376. 

  8. Chao, A. and T. J. Shen. 2003. Nonparametric estimation of Shannon's index of diversity when there are unseen species in sampl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tatistics, 10(4): 429-443. doi: 10.1126/science.aac4255. Epub 2015 Nov 5. 

  9. Chaudhry, V., A. Rehman, A. Mishra, P. S. Chauhan, and C. S. Nautiyal. 2012. Change in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of agricultural land due to long-term organic and chemical amendments. Microb. Ecol. 64: 450-460. doi: 10.1007/s00248-012-0025-y. 

  10. Deenik, J. 2006. Nitrogen mineralization potential in important agricultural soils of Hawai. Soil Crop Manage. 15: 1-5. 

  11. Gomiero, T., D. Pimentel, and M. G. Paoletti. 2011. Environmental impact of different agricultural management practices: Conventional vs. Organic agriculture. Crit. Rev. Plant. Sci. 30: 95-124. 

  12. Joa, J. H., S. G. Han, H. Y. Won, H. C. Lim, H. N. Hyun, and J. S. Suh. 2009. Effect of different fertilization management practices on soil microbial activities and community structure in volcanic ash citrus orchard soil. Kor. J. of Soil Sci. Fer. 42(3): 222-229. 

  13. Joa, J. H., K. H. Moon, K. S. Choi, S. C. Kim, and S. W. Koh. 2013. Soil dehydrogenase activity and microbial biomass C in croplands of Jeju Province. Kor. J. of Soil Sci. Fer. 46(2): 122-128. 

  14. Hartmann, M., B. Frey, J. Mayer, P. Mader, and F. Widmer. 2015. Distinct soil microbial diversity under long-term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ing. ISME J. 9: 1177-1194. doi: 10.1038/ismej.2014.210. 

  15. Li, P., L. Chen, J. Zhang, J. Yin, and S. Huang. 2017.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fter long-tem organic and inorganic fertilization reveals important associations between soil nutrients and specific Taxa involved in nutrient transformations. Front Microbiol. 8: 187. doi: 10.3389/fmicb.2017.00187. 

  16. Liao, J. L., Y. Liang, and D. Huang. 2018. Organic farming improves soil microbial abundance and diversity under greenhouse condition: A case study in Shanghai (Eastern China). Sustainability 10: 3825. doi: 10.3390/su10103825. 

  17. Lori, M., S. Symnaczik, P. Mader, G. D. Deyn, and A. Gattinger. 2017. Organic farming enhances soil microbial abundance and activity-A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PLoS ONE 12(7): e0180442. 

  18. Lupatini, M., G. W. Korthals, M. de Hollander, T. K. S. Janssens, and E. Kuramae. 2017. Soil Microbiome is more heterogeneous in organic than in conventional farming system. Front. Microbiol. 7: 2064. doi: 10.3389fmicb.2016.02064. 

  19. Mader, P. A. Fliessbach, D. Dubois, L. Gunst, P. Fried, and U. Niggli. 2002. Soil fertility and biodiversity in organic farming. Science. 296: 1694-1697. doi: 10.1126/science.1071148. 

  20. Lamberti, P. W., A. P. Mahtey, A. Borras, M. Casas, and A. Plastino. 2008. On the metric character of the quantum Jensen-Shannon divergence. Phys. Res. A, 77(5): 052311. 

  21. RDA. 2012. Standard analysis method of agricultural scientific technique (5th edition). Suwon-si, Korea. 

  22. Schlesner, H. 1994. The development of media suitable for the microorganisms morphologically resembling Planctomyces spp., Pirellula spp., and other planctomycetales from various aquatic habitats using dilute media. Syst. Appl. Microbiol. 17: 135-145. 

  23. Segata, N., J. Izard, L. Waldron, D. Gevers, L. Miropolsky, W. S. Garrett, and C. Huttenhower. 2011. Metagenomic biomarker discovery and explanation. enome Biology 12:R60. http://genomebiology.com/2011/11/6/R60. 

  24. Sivan, A., L. Corrales, N. Hubert, J. B. Williams, K. Aquino-Michaels, Z. M. Earley, F. W. Benyamin, Y. M. lei, B. Jabri, M. L. Alegre, E. B. Chang, and T. F. Gajewski. 2015. Commensal Bifidobacterium promotes antitumor immunity and facilitates anti-PD-L1 efficacy. Science. Nov. 27; 350(6264): 1084-9. 

  25. Song, K. C., S. B. Lee, D. B. Lee, B. K. Huyn, and Y. K. Sonn. 2014.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Suwon-si, Korea. 

  26. Sugiyama, A. and J. M. Vivanco. 2010. Pyrosequencing Assesment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otato farms. Plant Dis. 94: 1329-1335. 

  27. Tilman, D., K. G. Cassman, P. A. Matson, R. Naylor, and S. Polasky. 2002. Agricultural sustainability and intensive production practices. Nature. 418: 671-677. 

  28. Ugolini, F. C. and R. A. Dahlgren. 2002. Soil development in volcanic ash. Glob. Environ. Res. 6(2): 69-81. 

  29. Vance, E. D., P. C. Brookes, and D. S. Jenkinson. 1987. An extraction method for measuring soil micobial biomass C. Soil Biol. Biochem. 19: 703-707. 

  30. Wang, S. Z. Li, and G. Fan. 2012. Soil quality and microb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ing systems. African J. of Micro. Research. 6(24): 5077-5085. 

  31. Wang, W., H. Wang, Y. Feng, L. Wang, X. Xiao, Y. Xi, X. Luo, R. Sun, X. Ye, Y. Huang, Z. Zhang, and Z. Cui. 2016. Consistent responses of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to organic farming along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angtzw River. Sci. Rep. 6: 35046. 

  32. Wang, X., C. E. Sharp, G. M. Jones, S. E. Grasby, A. L. Brady, and P. F. Dunfield. 2015. Stable-Isotope probing identifies uncultured planctomycetes as primary degraders of a complex heteropolysaccharide in soil. Appl. Environ. Microb. 81: 4607-4615. 

  33. Wepking, C., B. Avera, B. Badgley, J. E. Barrett, J. Franklin, K. F. Knowlton, P. P. Ray, C. Smitherman, and M. S. Strickland. 2017. Exposure to dairy manure leads to greater antibiotic resistance and increased mass-respiration in soil microbial communities. Proc. Biol. Sci. 284, 20162233. doi: 10.1098/rspb.2016.2233. 

  34. Whalen, J. K., C. Chang, G. W. Clayton, and P. Carefoot. 2000. Cattle manure amendments can increase the pH of acid soils. Soil Sci. Am. J. 64: 962-966. 

  35. Wieczorek, A., S. Hetz, and S. Kolb. 2014. Microbial responses to chitin and chitosan in oxic and anoxic agricultural soil slurries. Biogeosciences. 11: 3339-3352. 

  36. Xiong, W., Z. Li, H. Liu, C. Xue, R. Zhang, H. Wu, R. Li, and Q. Shen. 2015. The effect of long-term continuous cropping of Black Pepper on soil bacterial communities as determined by 454 pyrosequencing. PLoS ONE. 10. e0136946.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