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점박이응애와 포식성 천적인 칠레이리응애의 식물추출물 단독 및 혼합 처리에 대한 감수성 비교 Differential Susceptibility of Tetranychus urticae and its Predator, Phytoseiulus persimilis (Acari: Tetranychidae, Phytoseiidae) against Individual and Combined Treatments of Plant Extracts원문보기
점박이응애와 포식성 천적인 칠레이리응애의 주엽, 차나무, 계피, 란타나 등의 추출물과 이들의 혼합액들에 대한 감수성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실험 식물추출물들은 모두 점박이응애보다 칠레이리응애에 대해 저독성을 나타냈으며, 칠레이리응애 암컷 성충의 산란수와 산란된 난들의 부화에 큰 영향이 없었다. 실험 식물추출물들의 처리에서 칠레이리응애 난들은 84~100%의 높은 부화율을 보였다. 반면에 점박이응애에 대한 혼합액 3, 1 등의 처리는 7일 후에 각각 76.0%와 72.7%의 살성충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혼합액 2의 처리에서는 63.3%의 살성충 효과를 보였으나 단독 처리에서는 혼합 처리보다 낮은 살성충 효과를 보였다. 혼합액 3, 1 등의 처리에서 점박이응애 암컷 성충의 산란수는 무처리 대비 29.5~31.3%에 그쳤다. 실험 식물추출물들은 점박이응애 난에 대한 주목할 만한 살란 효과가 없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들로 보아 혼합액 3, 1 등은 점박이응애의 방제제로 사용 가능성이 있으며, 점박이응애의 종합관리체계에서 칠레이리응애와 함께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점박이응애와 포식성 천적인 칠레이리응애의 주엽, 차나무, 계피, 란타나 등의 추출물과 이들의 혼합액들에 대한 감수성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실험 식물추출물들은 모두 점박이응애보다 칠레이리응애에 대해 저독성을 나타냈으며, 칠레이리응애 암컷 성충의 산란수와 산란된 난들의 부화에 큰 영향이 없었다. 실험 식물추출물들의 처리에서 칠레이리응애 난들은 84~100%의 높은 부화율을 보였다. 반면에 점박이응애에 대한 혼합액 3, 1 등의 처리는 7일 후에 각각 76.0%와 72.7%의 살성충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혼합액 2의 처리에서는 63.3%의 살성충 효과를 보였으나 단독 처리에서는 혼합 처리보다 낮은 살성충 효과를 보였다. 혼합액 3, 1 등의 처리에서 점박이응애 암컷 성충의 산란수는 무처리 대비 29.5~31.3%에 그쳤다. 실험 식물추출물들은 점박이응애 난에 대한 주목할 만한 살란 효과가 없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들로 보아 혼합액 3, 1 등은 점박이응애의 방제제로 사용 가능성이 있으며, 점박이응애의 종합관리체계에서 칠레이리응애와 함께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of the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its predator, Phytoseiulus persimilis against extracts of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Camellia sinensis, Cinnamomum cassia, Lantana camara and their mixtures was evaluated. The plant extracts tested were ...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of the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its predator, Phytoseiulus persimilis against extracts of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Camellia sinensis, Cinnamomum cassia, Lantana camara and their mixtures was evaluated. The plant extracts tested were much less toxic to P. persimilis than to T. urticae. The plant extracts tested had little effect on the survival of P. persimilis adult females. Moreover, reproduction of P. persimilis adult females and eclosion of eggs deposited by treated predators were not seriously affected. The treatments of the plant extracts tested showed no serious toxic effect on P. persimilis eggs and exhibited 84~100% hatchability. The treatments with mixtures 3 and 1 were effective against the adult females of T. urticae and yielded 76.0% and 72.7% adulticidal activity at 7 day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The treatment of mixture 2 revealed 63.3% adulticidal activity. Generally, the acaricidal activity of the individual treatment of each plant extract was lower than the mixtures. The adult females of T. urticae treated with mixtures 3 and 1 produced only 29.5~31.3% as many eggs as the control females did. All the plant extracts tested exhibited no noticeable toxic effect to the eggs of T. urtica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xtures 3 and 1 might be used for the control of T. urticae, and expected to be promising candidates for use in integrated mite management program with P. persimilis.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of the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its predator, Phytoseiulus persimilis against extracts of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Camellia sinensis, Cinnamomum cassia, Lantana camara and their mixtures was evaluated. The plant extracts tested were much less toxic to P. persimilis than to T. urticae. The plant extracts tested had little effect on the survival of P. persimilis adult females. Moreover, reproduction of P. persimilis adult females and eclosion of eggs deposited by treated predators were not seriously affected. The treatments of the plant extracts tested showed no serious toxic effect on P. persimilis eggs and exhibited 84~100% hatchability. The treatments with mixtures 3 and 1 were effective against the adult females of T. urticae and yielded 76.0% and 72.7% adulticidal activity at 7 day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The treatment of mixture 2 revealed 63.3% adulticidal activity. Generally, the acaricidal activity of the individual treatment of each plant extract was lower than the mixtures. The adult females of T. urticae treated with mixtures 3 and 1 produced only 29.5~31.3% as many eggs as the control females did. All the plant extracts tested exhibited no noticeable toxic effect to the eggs of T. urtica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xtures 3 and 1 might be used for the control of T. urticae, and expected to be promising candidates for use in integrated mite management program with P. persimilis.
이 실험은 주엽, 차나무, 계피, 란타나 등의 추출물과 이들의 혼합 비율을 다르게 한 혼합액을 이용하는 친환경 해충 방제제를 개발하기 위해, 이들 식물추출물의 점박이응애에 대한 살비 효과와 포식성 천적인 칠레이리응애에 대한 감수성을 검정하여, 점박이응애에 대한 방제제로서의 이용 가능성과 점박이응애의 종합관리체계에서 이들 식물추출물과 칠레이리응애를 같이 이용할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제안 방법
암컷 성충에 대한 실험결과는 국제 생물적 방제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Biological Control)에서 설정한 약제의 유용생물에 대한 부작용 등급의 기준(Hassan, 1994)에 따라 치사율이 < 30%는 영향이 없음, 30∼79%는 약간 영향이 있음, 80∼99%는 상당한 영향이 있음, > 99%는 악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험 식물추출물들의 처리가 칠레이리응애의 난의 부화에 주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하여 강낭콩 잎 절편(직경 3 ㎝)에 칠레이리응애 암컷 성충 10개체를 접종하여 1일 동안 산란시켰다. 1일 후 암컷 성충을 제거하고 필요한 난수로 조정하여 각 식물추출물들의 희석액을 처리한 다음 음건하였으며, 난의 부화 여부와 부화 후 24시간 이내의 유충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칠레이리응애의 암컷 성충과 난에 대한 실험은 각 식물 추출물별 50개체(반복당 10개체)로 실시하였다. 점박이응애의 암컷 성충과 난에 대한 실험식물추출물들의 살비 효과 검정은 칠레이리응애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난에 대해서는 부화 여부만 매일 조사하였으며, 각 식물추출물별 5반복(반복당 30개체)으로 실시하였다.
칠레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의 살비율, 부화율과 산란수에 대한 결과는 분산분석(ANOVA)과 Tukey test (SAS Institute, 1996)로 비교했으며, 살비율과 부화율은 arcsine 값으로 바꾼 후 분석에 이용했다.
이론/모형
식물추출물들의 처리는 전술한 페트리디쉬의 칠레이리응애 또는 점박이응애가 접종된 잎 절편을 hand sprayer (Komax co., Korea)로 잎이 충분히 적시게 분무하는 엽면살포 방법 (Hoy et al., 1988)으로 실시하였다. 처리한 잎 절편들은 25±1℃ (16L:8D, RH 50∼60%)의 조건에 보관하면서 실험하였다.
성능/효과
처리 7일 후의 칠레이리응애 생존율은 실험 식물추출물들의 단독 처리에서 86∼90%, 혼합 처리에서는 72∼84%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는데, 이와 같은 실험결과들은 국제 생물적 방제기구(IOBC)에서 설정한 기준(Hassan, 1994)에 따르면 30% 이내의 치사율로 포식성 천적에 영향이 없음(1등급)에 해당되었다. 칠레이리응애의 산란수는 실험 식물추출물의 단독 처리와 혼합 처리에서 모두 무처리와 통계적 유의차는 있으나, 무처리와 비교하여 단독 처리에서 80.9∼89.5%, 혼합 처리에서는 70.1∼76.9%의 산란수를 나타내었으며, 암컷 성충이 산란한 난들은 모든 처리에서 100%의 부화율을 보였다(Table 2).
7%의 살성충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주엽, 차, 계피, 란타나 등의 단독 처리보다는 혼합액들의 처리에서 살성충 효과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실험 식물추출물들 처리는 전반적으로 칠레이리응애보다 점박이응애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 칠레이리응애 암컷 성충은 실험 식물추출물들의 처리에서 모두 7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식물추출물들을 처리한 암컷 성충이 산란한 난의 부화율과 난에 대한 직접처리에서도 부화에 큰 영향이 없어, 이들 식물추출물들은 사용 후 재배 작물에 존재하는 칠레이리응애 개체군의 밀도 유지에 별 지장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후속연구
한편 점박이응애에 대한 실험 식물추출물들 처리는 난에 대한 살란 효과는 미미하였으나, 암컷 성충에 대해 단독 처리보다 혼합 처리에서 살성충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합액 3, 1 등은 70% 이상의 살성충 효과를 나타내어 점박이응애에 대한 방제제로 사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실험에서 사용한 식물추출물들이 일반 유기합성 약제들보다 점박이응애에 대한 살성충 효과가 다소 낮고 난에 대한 살란 효과가 미미했는데, 이러한 점은 점박이응애의 난을 포함한 모든 발육태를 포식하는 칠레이리응애와 이 포식성 천적에 안전성을 나타낸 실험 식물추출물을 같이 활용하면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혼합액 3, 1 등은 점박이응애의 종합관리체계에 칠레이리응애와 동시에 투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들 혼합액의 처리 또는 칠레이리응애와 같이 사용하는 포장실험을 통해 칠레이리응애의 개체군 밀도변동과 점박이응애에 대한 방제 효과를 보다 자세히 검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실험에서 사용한 식물추출물들이 일반 유기합성 약제들보다 점박이응애에 대한 살성충 효과가 다소 낮고 난에 대한 살란 효과가 미미했는데, 이러한 점은 점박이응애의 난을 포함한 모든 발육태를 포식하는 칠레이리응애와 이 포식성 천적에 안전성을 나타낸 실험 식물추출물을 같이 활용하면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혼합액 3, 1 등은 점박이응애의 종합관리체계에 칠레이리응애와 동시에 투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들 혼합액의 처리 또는 칠레이리응애와 같이 사용하는 포장실험을 통해 칠레이리응애의 개체군 밀도변동과 점박이응애에 대한 방제 효과를 보다 자세히 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 생물적 방제기구(IOBC)에서 설정한 포식성 천적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치사율은?
칠레이리응애의 생존율은 처리 후 1일에 조사했을 때 모든 처리에서 80∼96%의 생존율을 보였으나, 처리 3일과 5일 후에는 식물추출물들의 단독 처리와 혼합 처리에서 모두 생존율이 다소 감소하였다. 처리 7일 후의 칠레이리응애 생존율은 실험 식물추출물들의 단독 처리에서 86∼90%, 혼합 처리에서는 72∼84%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는데, 이와 같은 실험결과들은 국제 생물적 방제기구(IOBC)에서 설정한 기준(Hassan, 1994)에 따르면 30% 이내의 치사율로 포식성 천적에 영향이 없음(1등급)에 해당되었다. 칠레이리응애의 산란수는 실험 식물추출물의 단독 처리와 혼합 처리에서 모두 무처리와 통계적 유의차는 있으나, 무처리와 비교하여 단독 처리에서 80.
점박이응애란?
거미강(arachnida)에 속하는 식식성 응애류(phytophagous mites)인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는 생태적 특성인 짧은 발육 기간으로 인해 연간 발생 세대수가 아주 많을 뿐만 아니라 번식력이 강해 예찰과 방제를 소홀히 하면 개체군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종이다 (Ahn et al., 2004; Lee et al.
점박이응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천적류로 보고된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점박이응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천적류 이용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점박이응애와 같은 Tetranychus 속의 식식성 응애류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천적으로 보고된 포식성 이리응애류(phytoseiid mites)에 속하는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의 국내 도입과 여러 작물에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대량생산되어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다(Kim et al., 2003; Seo et al.
참고문헌 (23)
Ahn, K. S., S. Y. Lee, K. Y. Lee, Y. S. Lee, and G. H. Kim. 2004. Selective toxicity of pesticides to the predatory mite, Phytoseiulus persimilis and control effects of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by predatory mite and pesticide mixture. Korean J. Appl. Entomol. 43: 71-79.
Cho, Y. S., J. H. Song, J. H. Choi, J. J. Choi, and M. S. Kim. 2016. Eco-friendly materials selection and control timing to Eurytoma maslovskii in Japanese apricot. Korean J. Org. Agric. 24: 123-130.
Choi, D. S., K. C. Ma, H. J. Kim, J. H. Lee, S. A. Oh, and S. G. Kim. 2018. Survey the occurrences and establishment of environment-friendly control system of Ricania shanthungensis in Jeonnam province. Korean J. Org. Agric. 26: 439-452.
Hassan, S. A. 1994. Activities of the IOBC/WPRS working group "Pesticides and Beneficial Organisms". In: Pesticides and Beneficial Organisms. (ed., Vogt H.). IOBC/WPRS Bulletin 17: 1-5.
Hoy, M. A., J. Conley, and W. Robinson. 1988. Cyhexatin and fenbutatin-oxide resistance in pacific spider mite (Acari: Tetranychidae): stability and mode of inheritance. J. Econ. Entomol. 81: 57-64.
Huh, Y. S., Y. I. Kuk, K. H. Hyun, and S. S. Kim. 2018. Susceptibility of Neoseiulus womersleyi, a natural enemy of Tetranychus kanzawai (Acari: Phytoseiidae, Tetranychidae) to plant extracts. J. Kor. Tea Soc. 24: 66-71.
Hwang, I. C., J. Kim, H. J. Kim, D. I. Kim, S. G. Kim, S. S. Kim, and C. Jang. 2009. Evaluation of toxicity of plant extract made by neem and matrine against main pests and natural enemies. Korean J. Appl. Entomol. 48: 87-94.
Kim, D. I., S. G. Kim, B. Y. Kang, S. J. Ko, J. S. Kim, and S. S. Kim. 2009. Management of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on organic strawberry field in Jeonnam area and toxicity of natural enemies against crude extract of Chrysanthimum cinerariefolium and Melia azedarach. Korean J. Org. Agric. 17: 211-226.
Kim, D. I., S. G. Kim, S. J. Ko, B. Y. Kang, D. S. Choi, S. S. Kim, and I. C. Hwang. 2010. Toxicology study of plant extract made by 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and Melia azedarach against natural enemies and Plutella xylostella on chinese cabbage. Korean J. Org. Agric. 18: 559-571.
Kim, D. I., S. G. Kim, G. H. Shin, J. B. Seo, K. J. Choi, K. H. Lim, and S. S. Kim. 2006. Biological control of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by the predatory mite (Phytoseiulus persimilis) in sustainable strawberry fields. Korean J. Org. Agric. 14: 315-323.
Kim, D. I., K. C. Ma, D. S. Choi, K. H. Hyun, Y. I. Kuk, and S. S. Kim. 2015. Evaluation of susceptibility of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Acari: Tetranychidae) to plant extracts. J. Kor. Tea Soc. 21: 41-45
Kim, D. S., C. Jung, S. Y. Kim, H. Y. Jeon, and J. H. Lee. 2003. Regulation of spider mite populations by predacious mite complex in an unsprayed apple orchard. Korean J. Appl. Entomol. 42(3): 257-262.
Kim, S. S., and S. S. Yoo. 2002. Comparative toxicity of some acaricides to the predatory mite, Phytoseiulus persimilis and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BioControl 47: 563-573.
Lee, D. H., E. J. Kang, M. K. Kang, H. J. Lee, H. B. Seok, M. J. Seo, Y. M. Yu, and Y. N. Yoon. 2008. Effect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o insect natural enemies at small green houses. Korean J. Appl. Entomol. 47: 75-86.
Lee, S. Y., K. S. Ahn, C. S. Kim, S. C. Shin, and G. H. Kim. 2004. Inheritance and stability of etoxazole resistance in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its cross resistance. Korean J. Appl. Entomol. 43: 43-48.
Moon, H. C., J. R. Lim, J. Kim, J. Ryu, B. R. Ko, D. H. Kim, and C. Y. Hwang. 2006. Biological control of Tetranychus urticae by Phytoseiulus persimilis in egg plant greengouse. Korean J. Appl. Entomo. 45: 173-177.
Park, S. H., D. I. Kim, and S. S. Kim. 2012. Susceptibility of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to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J. Kor. Tea Soc. 18: 37-43.
SAS Institute. 1996. SAS/STAT user's guide, release 6.12 ed. SAS Institute, Cary, NC, USA.
Seo, S. G., S. S. Kim, J. D. Park, S. G. Kim, and D. I. Kim. 2004. Selective toxicity of spirodiclofen and fluacrypyrim+tetradifon to the predatory mite, Phytoseiulus persimilis (Acarina: Phytoseiidae) and the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Acarina: Tetranychidae). Korean J. Pestic. Sci. 8: 54-62.
Song, J. S., C. M. Lee, S. M. Lee, D. S. Lee, Y. H. Choi, and D. W. Lee. 2013. Insecticidal activity of 7 herbal extracts against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Korean J. Pestic. Sci. 17: 411-418.
Yoo, S. S. and S. S. Kim. 2000. Comparative toxicity of some pesticides to the predatory mite, Phytoseiulus persimilis (Acarina: Phytoseiidae) and the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carina: Tetranychidae). Korean J. Entomol. 30: 235-241.
You, Y. M., E. J. Kang, M. J. Seo, M. G. Kang, H. J. Lee, D. A. Kim, M. L. Gil, and Y. N. Youn. 2006. Effect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o insect parasitoids on the laboratory. Korean J. Appl. Entomol. 45: 227-234.
Yu, J. S., D. K. Seo, E. H. Kim, J. B. Han, K. S. Ahn, and G. H. Kim. 2005. Inheritance and cross resistance of bifenazate resistance in Tetranychus urticae. Korean J. Appl. Entomol. 44: 151-156.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