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환경복원관련 사업에 따른 해역이용협의·영향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The Problems and its Improvement of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and Impact Assessment for Projects Related to Marine Environment Restoration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5 no.1, 2019년, pp.34 - 44  

이용민 (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전은주 (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이대인 (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김귀영 (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에서의 이용행위가 최근 사회발전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양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생태계가 가지는 환경용량을 넘어서 해양생태계의 복원력 및 저항성, 항성상 등이 훼손 또는 저하되고 있다. 이로 인해서 생태계가 가지는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생태계의 서비스와 가치 하락으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훼손된 생태계를 다시 건강한 생태계로 회복하고자 하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수단으로써 복원이 관심을 받고 있다. 복원사업이 점차 확대되는 시점에서, 복원사업의 해역이용협의 및 영향평가를 시행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점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원과 관련된 용어를 연구논문 및 보고서를 통해서 복원의 개념을 정리하였고 복원사업과 관련된 해역이용협의 검토 상황 및 복원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복원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해역이용협의서 상의 문제점을 사례조사를 통해서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복원사업의 해역이용협의 및 영향평가에 있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정책 및 계획 수립 등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rine activities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extensive due to recent social developments, exceeding the environmental capacity of the marine ecosystem. The resilience, resistance, and constancy of marine ecosystems are being damaged or degraded. This prevents the ecosystem from functioning pro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업기간은 2015년~ 2016년으로 계획하였으며 사업예산은 약 100억 원으로 추산하였다. D 사업은 항만의 수질 및 저질개선을 위하여 해저에 퇴적된 오염퇴적물을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제거, 처리 및 처분하여 항내 해역의 정화 및 복원을 시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오염해역의 준설면적은 367,415 m2에 해당하며그 양은 255,038 m3에 이른다.
  • E 사업은 국내 유일 내만 갯벌 생태계인 시흥갯벌습지를 보전·보존하고 현명한 이용방안 제시를 통한 보전의식을 제하고, 생태복지를 실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0 m로 계획하였다. 갯벌과 갯골 원형의 최대한 보전을 통한 조류서식처 복원지로서 생태공원을 조성하고 조류의 생태적 특성(접근거리)을 감안하여 경계부에 녹지를 배치하고 설치 시설물을 최소화하여 인공적인 간섭을 최대한 배제하고자 하였다. 대체서식지와 충분히 이격된 해안탐방데크 설치로 도시민에게 조류 및 갯벌 관찰,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갯벌과 갯골 원형의 최대한 보전을 통한 조류서식처 복원지로서 생태공원을 조성하고 조류의 생태적 특성(접근거리)을 감안하여 경계부에 녹지를 배치하고 설치 시설물을 최소화하여 인공적인 간섭을 최대한 배제하고자 하였다. 대체서식지와 충분히 이격된 해안탐방데크 설치로 도시민에게 조류 및 갯벌 관찰,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사업기간은 2015년~ 2016년으로 계획하였으며 사업예산은 약 100억 원으로 추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복원과 관련된 용어를 연구논문 및 보고서를 통해서 복원의 개념을 정리하였고 복원사업과 관련된 해역이용협의 검토 상황 및 복원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복원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해역이용협의서 상의 문제점을 사례조사를 통해서 고찰하였다.
  • 즉, 전략환경영향평가, 해역이용협의·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가 대표적인 제도이다(MOF, 2015). 따라서 해양에서 일어나는 복원사업의 현황을파악하기 위해서 해역이용영향검토기관에서 평가한 2010년~ 2017년 사이의 해역이용협의서를 대상으로 복원관련사업의 검토현황을 연도별, 해역별, 유형별로 파악하였다. 또한, 해양에서 진행되고 있는 복원사업의 현황을 문헌자료를 통해 파악하였다.
  • 또한, 복원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해역이용협의서 상의 문제점을 사례조사를 통해서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복원사업의 해역이용협의 및 영향평가에 있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복원사업의 경우에는 자연적인요인과 다양한 인위적인 요인으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의 변화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생태계가 가지는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훼손되기 이전, 즉 생태계가 가지는 본연의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모습으로 되돌리는데 복원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생태계의 훼손을 가져오는 요인을 해소하거나 이에 대한 방지대책을 세움으로서 생태계 건강성의 회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관련연구 및 지침, 사례조사 등의 검토를 통해서 해역이용협의·영향평가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훼손된 생태계에 대한 원인파악 규명을 위한 조사가 충분하지 못하는 것이다. 복원사업의 경우에는 자연적인요인과 다양한 인위적인 요인으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의 변화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생태계가 가지는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에서 이루어지는 전통 사회경제활동은? 해양에서는 전통적으로 어업, 양식, 해운, 관광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경제활동이 이루어져왔으며 최근에는 재생가능한 에너지생산, 해저광물 추출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활동이 개발되거나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공간과 경쟁하여 많은 공간적 충돌과 해양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영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Ban and Alder, 2008; Halpern et al.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고 그 과정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을 두어야 하는 이유는? 복원의 성공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모니터링 기간은 중요하다. 복원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과정으로 제한된 시간은 복원사업을 평가하는데 있어 방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고 그 과정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을 두어야 한다.
해양에서의 이용행위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이러한 해양에서의 이용행위는 최근 사회발전에 따라 점차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 되고 있으며 이는 해양생태계가 가지는 환경용량을 넘어 해양생태계가 가지는 복원력(resilience) 및 저항성(resistance), 항상성(constancy) 등이 훼손또는 저하됨으로써 생태계가 가지는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생태계의 서비스와 연결되며 생태계의 가치 하락으로 이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10.1093/biosci/biv171 Abelson, A., B. S. Halpern, D. C. Reed, R. J. Orth, G. A. Kendrick, M. W. Beck and P. A. Nelson(2016), Upgrading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Using Ecological-Social Concepts, BioScience, Vol. 66, No. 2, pp. 156-163. 

  2. 10.1890/15-1077 Bayraktarov, E., M. I. Saunders, S. Abdullah, M. Mills, J. Beher, H. P. Possingham, P. J. Mumby and C. E. Lovelock(2016), The Cost and Feasibility of Marine Coastal Restoration. Ecological Applications, Vol. 26, No. 4, pp. 1055-1074. 

  3. Chae, D. R.(2009). A Study o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Marine Spatial Planning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Vol. 15, No. 3, pp. 237-242. 

  4. 10.1007/s12237-013-9750-9 Duarte, C. M., A. Borja, J. Carstensen, M. Elliott, D. Krause-Jensen and N. Marbà(2015), Paradigms in the Recovery of Esturarine and Coastal Ecosystems, Estuaries and Coasts, Vol. 38, No. 4, pp. 1202-1212. 

  5. 10.1016/j.ecss.2007.05.034 Elliott, M., D. Burdon, K. L. Hemingway and S. E. Apitz(2007), Estuarine, Coastal and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Confusing Management and Science - A Revision of Concept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74, No. 3, pp. 349-366. 

  6. 10.1126/science.1149345 Halpern, B. S., S. Walbridge, K. A. Selkoe, C. V. Kappel, F. Micheli, C. D’Agrosa, J. F. Bruno, K. S. Casey, C. Ebert, H. E. Fox, R. Fujita, D. Heinemann, H. S. Lenihan, E. M. P. Madin, M. T. Perry, E. R. Selig, M. Spalding, R. Steneck and R. Watson(2008), A Global Map of Human Impact on Marine Ecosystems, Science, Vol. 319, pp. 948-952. 

  7. 10.1016/j.ecoleng.2017.09.007 Jacob, C., A. Buffard, S. Pioch and S. Thorin(2018),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and Biodiversity Offset, Ecological Engineering, Vol. 120, pp. 585-594. 

  8. 10.13087/kosert.2012.15.5.085 Koo, M. H., D. K. Lee and T. Y. Jung(2012), A Study on the Contexts of Ecosystem Services in the Policymaking Proces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nology, Vol. 15, No. 5, pp. 85-102. 

  9. Lee, B. K. and T. H. Noh(2006), System Improvement Plan and Strategy for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 pp. 1-134. 

  10. 10.7846/JKOSMEE.2011.14.4.239 Lee, D., G. Kim, K. Jeon, K. Eom, J. Yu, Y. T. Kim, J. H. Moon and M. J. Kam(2011), An Application Status and Consideration of System Improvement on the Sea Area Utilization Conference and Impact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4, No. 4, pp. 239-248. 

  11. 10.7846/JKOSMEE.2017.20.1.12 Lee, S., D. Lee and J. Seo(2017), Setting Ecological Goals and Success Criteria Items for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Focusing on the Coastal Restoration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Vol. 20, No. 1, pp. 12-17. 

  12. 10.1111/j.1526-100X.2008.00468.x Marchetti, M. P., M. Garr and A. N. H. Smith(2010), Evaluating Wetland Restoration Success Using Aquatic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in the Sacramento Valley, California, Restoration Ecology, Vol. 18, No. 4, pp. 457-466. 

  13. 10.1111/rec.12554 Martin, D. M.(2017), Ecological Restoration Should be Redefined for the Twenty-first Century, Restoration Ecology, Vol. 25, No. 5, pp. 668-673. 

  14. MLTMA(200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Mid and Long Term Promotion Plan for Restoration of Tidal Flat, pp. 1-878. 

  15. MOF(201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 Manual Book for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6. MOE(2017), Ministry of Environment,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 Guideline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pp. 1-86. 

  17. MOF(2018), Marine Fishery Business Implementation Guide II , pp. 1-1484. 

  18. 10.4217/OPR.2015.37.3.211 Nam, J., K. H. Son and J. S. Khim(2015), Multiple Implications of the Restoration of Coastal Wetland Eco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a Strategic Restoration Framework,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37, No. 3, pp. 211-223. 

  19. NRC(1992), National Research Council,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s: Science, Technology, and Public Policy, National Academic Press, Washington DC, USA. 

  20. 10.1146/annurev-ecolsys-102710-145115 Suding, K. N.(2011), Toward an Era of Restoration in Ecology: Successes, Failures, and Opportunities Ahead.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Vol. 42, No. 1, pp. 465-487. 

  21. 10.1111/rec.12028 Wortley, L., J. M. Hero and M. Howes(2013), Evaluating Ecological Restoration Succ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storation Ecology, Vol. 21, No. 5, pp. 537-5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