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전도 패턴 인식 및 분류 기반 다자유도 전완 의수 개발
Development of Multi-DoFs Prosthetic Forearm based on EMG Pattern Recognition and Classification 원문보기

로봇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 Robotics Society, v.14 no.3, 2019년, pp.228 - 235  

이슬아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최유나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양세동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홍근영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최영진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a multiple DoFs (degrees-of-freedom) prosthetic forearm and sEMG (surface electromyogram) pattern recognition and motion intent classification of forearm amputee. The developed prosthetic forearm has 9 DoFs hand and single-DoF wrist, and the socket is designed considering weara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람의 손목은 전완부 회전을 제외한 굴절(wrist flexion) 및 신전(wrist extension)과 요측편향(radial deviation) 및 척측편향(ulnar deviation)으로 2 자유도를 가진다. 굴절 및 신전의 관절 가동범위가 요측 및 척측 편향 운동보다 크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굴절 및 신전의 광범위한 관절 가동범위를 지닌 1자유도 손목을 의수 개발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다 자유도를 지닌 손과 손목, 절단 부위에 착용할 수 있는 소켓 및 근전도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의도를 파악하여 다양한 구동을 할 수 있는 시스템 설계 및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2장에서 전완 의수 설계 및 제작, 3장에서 실험 방법 및 결과, 그리고 4장 결론으로 구성된다.
  • 본 연구는 일상생활 활동을 위한 전완 절단자용 다자유도 의수 및 근전도 인식/분류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9자유도의 손과 1자유도 손목을 결합하여 로봇의수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절단 부위와 연결해 주는 착용감을 고려한 소켓을 제작하였다.
  • 패턴 인식 및 분류 실험은 근전도 신호를 MLP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자유도 의수를 위한 피험자들의 동작들을 분류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은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팔꿈치 메커니즘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무릎 메커니즘[13], 척추관절 메커니즘[14], 팔꿈치 메커니즘[15] 등에 구름관절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팔꿈치 메커니즘은 구름관절의 회전 중심과 양단 선형 운동 사이의 대칭성을 이용하고, 도르래의 원리를 적용하여 관절 토크를 증폭시킨다.
근전도를 기계학습에 적용하기 위해 근전도 신호를 어떻게 추출하였는가? 전완을 구성하는 근육은 손과 손목의 움직임과 관련되어 있으며 5개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16개의 근전도 신호를 초당 1000개씩 각각 채널 별로 10,000개의 RMS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획득된 근전도 신호는 INTAN RHS200 chip을 사용하여 증폭하였으며, 노이즈제거를 위해 밴드패스필터(bandpass filter of 8~200 Hz)와 노치필터(60 Hz)를 사용하였으며, 300ms 윈도우 크기의 제곱평균제곱근(RMS, root mean square) 연산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얻은 학습 데이터는 앞에서 언급한 알고리즘 방법에 따라 MLP의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Learning rate는 0.
다층 퍼셉트론은 무엇인가? 표면 근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패턴 인식 및 분류를 위해 기계학습 모델 중 하나인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 in short MLP)을 사용하였다. MLP는 입력층(input layer), 은닉층(hidden layer), 출력층(output layer)으로 구성되어있고, 입력층에서 은닉층과 출력층 순서로 모든 노드(nodes)가 연결된 구조인 전방향(feedforward) 신경망이다. 활성 함수를 가지고 있는 노드들은 가중치를 갖고 연결되어 있으며, 가중치를 조절하여 목표값을 추정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10.1016/j.apmr.2007.11.005 K. Ziegler-Graham, E. J. MacKenzie, P. L. Ephraim, T. G. Travison, and R. Brookmeyer, “Estimating the prevalence of limb loss in the United States: 2005 to 2050,” Archives of physicalmedicine and rehabilitation , vol. 89, no. 3, pp. 422-429, 2008. 

  2. 10.1080/03093640600994581 E. A. Biddiss and T. T, Chau, “Upper limb prosthesis use and abandonment: a survey of the last 25 years,” Prosthetics and orthotics international , vol. 31, no. 3, pp. 236-257, 2007. 

  3. C. W. Moran, “Revolutionizing prosthetics 2009 modular prosthetic limb-body interface: Overview of the prosthetic socket development,” Johns Hopkins APL Technical Digest , vol. 30, no. 3, pp. 250-255, 2011. 

  4. 10.1080/03772063.2017.1381047 N. V. Iqbal and K. Subramaniam, “A review on upper-limb myoelectric prosthetic control,” IETE Journal of Research , vol. 64, no. 6, pp. 740-752, 2018. 

  5. 10.1016/j.bspc.2007.07.009 M. A. Oskoei and H. Hu, “Myoelectric control systems-A survey,” Biomedical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 vol. 2, no. 4, pp. 275-294, 2007. 

  6. 10.1109/TNSRE.2015.2483375 F. Lunardini, C. Casellato, A. d’Avella, T. D. Sanger, and A. Pedrocchi, “Robustness and reliability of synergy-based myocontrol of a multiple degree of freedom robotic arm,”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 vol. 24, no. 9, pp. 940-950, 2016. 

  7. 10.1109/JSEN.2018.2865623 S. Lee, M.-O. Kim, T. Kang, J. Park, and Y. Choi, “Knit Band Sensor for Myoelectric Control of Surface EMG-based Prosthetic Hand,” IEEE Sensors Journal , vol. 18, no. 20, Oct., 2018. 

  8. 10.1109/LSENS.2019.2898257 S. Pancholi and A. M. Joshi, “Electromyography-Based Hand Gesture Recognition System for Upper Limb Amputees,” IEEE Sensors Letters , vol. 3, no. 3, pp. 1-4, 2019. 

  9. J. U. Chu, L. Moon, and M. S. Mun, “A real-time EMG pattern recognition system based on linear-nonlinear feature projection for a multifunction myoelectric hand,”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 vol. 53, no. 11, pp. 2232-2239, 2006. 

  10. 10.1109/IJCNN.2018.8489150 A. A. M. Lima, R. M. Araujo, F. A. G. dos Santos, V. H. Yoshizumi, F. K. de Barros, D. H. Spatti, D. H., and M. E. Dajer, “Classification of Hand Movements from EMG Signals using Optimized MLP,” In IEEE 2018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Neural Networks (IJCNN) , Rio de Janeiro, Brazil, pp. 1-7, 2018. 

  11. 10.1109/TNSRE.2019.2896269 U. Cote-Allard, C. L. Fall, A. Drouin, A. Campeau-Lecours, C. Gosselin, K. Glette, F. Laviolette, and B. Gosselin, “Deep learning for electromyographic hand gesture signal classification using transfer learning,”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 vol. 27, no. 4, pp. 760-771. 2019. 

  12. D. A. Neumann,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 , 3rd ed. Elsevier Health Science, 2017, ch. 8 Hand, p. 256. 

  13. 10.15406/iratj.2018.04.00137 Y. Lianfa, C. Jiating, and Z. Zhifang, “Design of a novel knee prosthesis mechanism with good stability,” Int. Rob. Auto. J. , vol. 4, no. 4, pp. 278-284, 2018. 

  14. 10.1016/j.ijsp.2012.02.002 P. A. Halverson, A. E. Bowden, and L. L. Howell, “A compliantmechanism approach to achieving specific quality of motion in a lumbar total disc replacement,” Int. J. spine surgery , vol. 6, pp. 78-86, 2012. 

  15. Y.-J. Kim, “Anthropomorphic low-inertia high-stiffness manipulator for high-speed safe interaction,” IEEE Trans. on Robotics , vol. 33, no. 6, pp. 1358-1374, 2017. 

  16. 10.1016/B978-0-12-741252-8.50010-8 R. Hecht-Nielsen, “Theory of the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Neural networks for perception. Academic Press , pp. 65-93, 1992. 

  17. A. Phinyomark, P. Phukpattaranont, and C. Limsakul. “Feature reduction and selection for EMG signal classification,”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 vol. 39, no. 8, pp. 7420-7431,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