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카시아 잎 추출물의 생리 활성 및 고분자 미셀과 세포투과 펩티드를 적용한 피부흡수증진 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of Robinia pseudo acacia Leaf Extracts and Enhancement of Skin Permeation Using Polymer Micelles and Cell Penetrating Peptid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5 no.3, 2019년, pp.271 - 282  

허수현 (을지대학교 대학원 시니어헬스케어학과 화장품약리학전공) ,  박수인 (을지대학교 대학원 시니어헬스케어학과 화장품약리학전공) ,  안규민 (을지대학교 대학원 시니어헬스케어학과 화장품약리학전공) ,  신문삼 (을지대학교 대학원 시니어헬스케어학과 화장품약리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아카시아 잎의 생리활성을 평가하고 고분자 미셀과 세포투과 펩티드를 이용한 피부흡수 증진에 관한 것이다. 아카시아 잎을 열수 및 에탄올 추출한 후에, 항노화, 미백, 항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열수 추출에서 56.88 mg/g, 에탄올 추출에서 47.42 mg/g이고,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1,000{\mu}g/mL$에서,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44.24% 저해율을 나타냈고 이는 열수 추출물의 값(41.50%)보다 더 좋은 효능을 나타냈다. Elastase 저해능 실험결과에서 농도 의존성을 보였으며,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물 $500{\mu}g/mL$에서 가장 높은 54.09% 저해능, 열수 추출물은 36.95% 저해능을 보였다. SOD 유사 활성능 결과에서 농도 의존적인 결과를 보였고, 모든 농도에서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의 값보다 높았다. $500{\mu}g/mL$에서 76.41%, 같은 농도에서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에서 86.31%로 더욱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Tyrosinase 저해능 실험에서는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물 농도 20 mg/mL에서 56.47% 저해율, 아카시아 잎 열수 추출물은 23.05% 저해율이 나타났다. 항균실험 결과에서는 아카시아 열수 추출물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못했지만, 아카시아 에탄올 추출물은 P ropionbacterium acnes 균주에서 11.00 mm의 최대 clear zone을, Bacillus subtilis 균주에선 10.50 mm로 최대 clear zone을 제시하였다. 난용성 문제와 피부 흡수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아카시아 에탄올 추출물과 1.0% 세포투과 펩티드(6개 알르기닌, R6)을 함유한 108.23, 126.47 nm로 약 1/10배 미세한 나노입자 크기를 갖는 PCL-PEG 고분자 미셀이 성공적으로 제조되었고, 우수한 경피흡수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physiological activity of Robinia pseudo-acacia leaf and its skin penetration using polymer micelles and skin penetrating peptide. After extraction with Robinia pseudo-acacia using the ethanol and distilled water,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were examined. T...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높은 생리 활성을 갖는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물을 가용화했지만 표피 각질층의 피부 장벽 기능으로 경피 투과도는 여전히 낮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이에 세포투과 펩티드인 R6를 이용하여 경피 투과도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세포막 투과 펩티드(Cell Penetrating Peptide, CPP)는 양이온성 아미노산인 arginine이 높은비율로 구성되어 있어 이는 세포 내 투과 성능을 높임을 알 수 있다.
  • 이는 PCL과 PEG의 배합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난용성 물질을 가용화시킬 수 있고, 생체적합성 고분자라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AEE(Acacia Ethanol Extract) 1.0% 함유 PCL-PEG고분자 미셀, 세포투과 펩티드(R6) 0.1%를 혼합한 AEE1.0% 함유 PCL-PEG 고분자 미셀을 제조하여 난용성인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물을 가용화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이를 AEE 1.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카시아 잎을 대상으로 열수(hot water)와 에탄올(EtOH)로 추출하고, 생리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총 polyphenol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 활성능), 주름 개선(elastase 활성 저해능), 미백(tyrosinase 활성 저해능) 활성을 측정하고자 하였고, (2) 난용성인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물을 가용화시키기 위해 PCL-PEG 고분자 미셀을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3)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해 세포투과 펩티드인 R6 (hexa-Darginine)를 함께 적용하여 경피 투과도 증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천연 신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카시아 잎을 대상으로 열수(hot water)와 에탄올(EtOH)로 추출하고, 생리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총 polyphenol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 활성능), 주름 개선(elastase 활성 저해능), 미백(tyrosinase 활성 저해능) 활성을 측정하고자 하였고, (2) 난용성인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물을 가용화시키기 위해 PCL-PEG 고분자 미셀을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3)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해 세포투과 펩티드인 R6 (hexa-Darginine)를 함께 적용하여 경피 투과도 증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아카시아 잎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천연 신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카시아란 무엇인가? 아카시아(Robinia pseudoacacia)는 아까시 나무에서 기원된 것으로 콩아과(Faboid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아카시아의 화장품 약리효과에 대한 연구로는 아카시아 꽃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일부 되어 있지만[4], 아카시아 잎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하며 이에 대한 화장품 약리효과를 측정하며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신소재로써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할 것이다.
화장품의 확대된 기능은 무엇인가? 또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화에 대처하기 위한 화장품의 역할은 점점 커지고 있다. 화장품을 단순히 인체를 아름답게 하며 청결을 위한 제품에서, 이제는 피부 또는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시키며 미백효과로 인한 기미제거와 피부 노화를 개선하고 지연시키기 위한 주름제거, 보습, 보호 및 피부 활성의 부분으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항산화 효과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활성 성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반면 의약품이나 화장품 분야 등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활성 성분은 주로 합성 물질이다.
생리활성물질이 난용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천연 신소재에 존재하는 많은 생리활성물질이 난용성으로 수용액에 용해되지 않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용해시켜야 한다. 이는 피부에 자극이 될 수 있어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피부와의 접촉면적이 적어 피부로의 흡수, 전달이 잘 되지 않는다. 이를 생분해성을 갖는양친매성(amphiphilic) 자기 회합형 나노구조체(selfassembled nano structure)인 PCL(polycaprolactone)-PEG(polyethyleneglycol) 고분자 미셀을 이용하여 난용성 물질을 수용액에 가용화를 할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