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M-NHMM 기반 토양함수 모의결과를 이용한 합성가뭄지수 개발
A development of multivariate drought index using the simulated soil moisture from a GM-NHMM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8, 2019년, pp.545 - 554  

박종현 (인천국제공항공사 운항시설처 비행장시설팀) ,  이주헌 (중부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김태웅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권현한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뭄평가 시 단일 수문인자를 활용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고 가뭄의 출현, 심도 및 지속기간 등을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가뭄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인 연관성을 가지며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단일인자로 가뭄을 평가하는 경우 불확실성 및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수문기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가뭄지수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량 및 토양수분을 이용하여 가뭄을 평가하고자 은닉 마코프 모형(Hidden Markov chain Model)기반의 토양수분 모의기법을 통해 과거(1973-2014년) 토양의 수분함량을 모의하였으며, Copula 함수를 활용하여 강우량과 토양수분을 동시에 고려한 합성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토양수분산정 모델은 다중 회귀 모형의 모의결과와 비교를 통해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였으며, 가뭄의 지속기간과 심도를 고려하여 이변량 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변량 빈도해석결과 2015년 전라북도 지역에 발생하였던 가뭄은 약 20년의 재현기간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st drought assessments are based on a drought index, which depends on univariate variables such as precipitation and soil moisture.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representing the drought conditions with single variables due to their complexity. It has been acknowledged that a multivariate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강우량과 토양수분함량을 이용하여 하나의 합성가뭄지수를 산정하고자 각각 표준지수의 형태로 나타내었으며, 기존에 국내외에서 수행된 다수의 연구에서 가뭄평가를 위해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및 표준토양수분지수(Standardized Soil moisture Index, SSI)가 활용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였다. SPI는 Mckee et al.
  • 예측인자를 사용함으로써 동적 모형의 형태를 가지게 되며 모형의 매개변수에 대하여 시간적 변동성을 고려하므로 자료의 특성변화를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함량 모의를 위해 강우, 기온 등 예측인자의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이러한 경우 예측인자와의 충분한 상관성이 확보되어야만 모의결과가 실측치와 유사한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 비동질성 은닉 마코프 모형은 각 시간단계에서 전이확률 및 출력확률밀도함수(emission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추정이 요구되며, 이때 출력확률밀도함수가 가우시안 혼합 분포(Gaussian mixture distribution)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농업적 가뭄에 대한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농업적 가뭄평가 시 저수지의 저수위 또는 저수율과 토양수분함량 자료가 기초자료로 활용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토양수분자료에 대한 관측지점수와 관측자료의 보유기간이 짧아 가뭄현황파악 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수문 분석에 관측자료를 이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형을 통해 모의된 토양수분을 이용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고 이를 SPI와 합성한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변량 빈도해석을 통해 가뭄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비동질성 은닉 마코프 모형에 대한 평가를 위해 다중 회귀 분석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다중 회귀 분석 수행 시 토양수분을 종속변수로 강수량과 기온을 독립변수로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로 고려한 토양수분의 오차에 대해 단순 회귀 분석과 동일하게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함량 모의를 위해 강우, 기온 등 예측인자의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이러한 경우 예측인자와의 충분한 상관성이 확보되어야만 모의결과가 실측치와 유사한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 비동질성 은닉 마코프 모형은 각 시간단계에서 전이확률 및 출력확률밀도함수(emission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추정이 요구되며, 이때 출력확률밀도함수가 가우시안 혼합 분포(Gaussian mixture distribution)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예측인자 X1:T에 대한 상태 S1:T의 출력열 R1:T이 발생할 확률은 Eq.
  • 미래의 상태가 과거의 상태와는 독립(independence)이고 단지 가장 근접한 k개의 이전 상태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을 때, k차 마코프 연쇄 모형(Markov Chain Model)이라 한다. 즉, 1차 마코프 연쇄모형은 미래시점의 상태가 과거에 대해서는 독립(independence)이며 가장 근접한 현재시점의 특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한다. 은닉 마코프 모형은 시계열 자료의 통계적 특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모형으로 알려져 있으며, 확률론적 과정을 통해 얻어진 은닉상태열의 특성을 활용하여 관측시계열을 예측할 수 있는 이중의 확률론적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수분의 활용이 제한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가뭄을 평가하기 위한 여러 가뭄인자 중에서 토양수분은 일정 부피의 토양 내에 함유된 수분의 부피를 나타내며, 이는 가뭄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수문기상분야에서 물의 순환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져 유역단위의 수문 모델링 수행 시 물수지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로 고려된다. 토양수분이 물 순환 과정에서 차지하는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강우, 수위 등 다른 기상 및 수문인자와 비교하여 매우 적은 관측 지점과 짧은 관측기간으로 인해 수문 분석 및 실무에 활용 시 관측 자료의 활용은 매우 제한적이다. 최근 현장측정 지점수를 늘리는 노력과 더불어, 레이더, 인공위성 등 원격탐사 기술을 활용한 토양수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연구와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원격탐사기반의 토양수분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 특히, 원격탐사기반의 토양수분 자료는 기존 관측 자료의 시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전 지구적으로 비교적 양질의 데이터를 제공 한다는 장점으로 인해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유럽우주항공국 ESA (European Space Agency)은 지난 2009년 SMOS (Soil Moisture and Ocean Salinity) 위성을 발사하여 전 지구 스케일의 토양수분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 2015년 미항공우주국(NASA)에서는 지구의 토양수분을 측정하고 토양의 결빙과 해빙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SMAP (Soil Moisture Active Passive) 위성을 발사하여 세계 토양수분 분포도 등 다양한 형태로 토양수분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토양수분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역시 급격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장마기간의 뚜렷한 특징이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특히 최근 4년간(14년 - 17년) 총 강수량과 여름철 강수량이 평년치에 비해 현저하게 작아 극심한 가뭄을 겪은 바 있다. 가뭄을 평가하기 위한 여러 가뭄인자 중에서 토양수분은 일정 부피의 토양 내에 함유된 수분의 부피를 나타내며, 이는 가뭄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수문기상분야에서 물의 순환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져 유역단위의 수문 모델링 수행 시 물수지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로 고려된다. 토양수분이 물 순환 과정에서 차지하는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강우, 수위 등 다른 기상 및 수문인자와 비교하여 매우 적은 관측 지점과 짧은 관측기간으로 인해 수문 분석 및 실무에 활용 시 관측 자료의 활용은 매우 제한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