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농복합시 거주민의 거주의향 결정요인과 그 시사점 : 지역정체성과 거주의향 간의 내생성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Residence Intention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Urban-Rural Complex Area : Focusing on the Endogeneity Between Regional Identity and Residence Inten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8, 2019년, pp.610 - 617  

이향미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농복합시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이 병존하는 독특한 공간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도농복합시의 농촌과소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 주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2017년 춘천시 사회조사'를 이용해 도농복합시 농촌지역 과소화 대응 방안으로 기존 거주민의 지속적인 거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지역정체성은 내생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역정체성과 거주의향과의 내생적 관계를 고려하여 연립 이변량 순위 프로빗 모델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도농복합시에 대해 지역정체성이 강할수록 지역내 거주의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구주의 연령과 거주기간이 길수록, 일 여가생활 거주에 대해 만족할수록 지역정체성이 높다. 그리고 의료서비스에 대해 만족할수록, 종사하는 일에 만족할수록 거주의향이 높다. 따라서 도농복합시 농촌지역 거주민들의 생활서비스 수요를 파악 후 적재 적시 적절한 생활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도농복합시의 경우 의료서비스는 지역정체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거주의향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의료시설에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rban-rural complex area in Korea has a distinctive spatial structure where the urban area and rural area coexist.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the over-depopulation in the rural region of the urban-rural complex area,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policies that can prevent the existing...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측치(1,000가구)가 많고 특정구간에 데이터 값이 집중될 수 있어 분포를 보다 쉽게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해바라기 산포도(sunflower plot)를 통해 지역정체성과 거주의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정체성이 높을수록 거주의향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도농간 교육인프라격차는 결국 중학교 교육의 지역차로 이어지고 있고, 고등학교는 학생이 거주하는 시군구와 학교가 위치하고 있는 시군구가 다른 경우가 많아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의 학부모의 학력, 직업 등과 그 지역에 위치한 고등학교의 교육결과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는 어렵다[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3세 미만의 자녀수가 농촌지역 거주의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nderson·Newman[8]의 행동모델에서 제안하고 있는 선행요인, 가능요인, 욕구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이 향후에도 계속적으로 농촌지역에 거주할 의향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 이것은 농촌지역 유지를 위해서는 새로운 인력의 유입도 중요하지만, 기존 거주민들의 지역내 거주의향을 제고하여 이들의 유출을 선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는 도농복합시 거주민들의 지역거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지역정체성과 지역거주의 향간의 내생성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여 향후 관련 연구들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즉 현재 춘천시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의 경우 지역정체성과 거주의향간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정체성과 거주의향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고려할 수 있고, 내생적으로 결정 되는 지역정체성 강도를 포함할 수 있는 연립 이변량 순위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여, 거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 현재 2018년까지 지역별 사회조사가 되었지만, 공공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최근의 원자료는 2017년 자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춘천시의 2017년 사회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정체성과 이 지역정체성이 농촌지역 거주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명변수는 기존 지역정체성 또는 거주의향 선행연구에서 설정한 변수들과 같이 설정하였다.
  • 둘째, 도농복합시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특성을 동시에 갖고 있는 있기 때문에, 농촌지역 주민의 유출은 결국 도농복합시의 규모 축소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이러한 도농복합시의 도시지역과 농촌지역간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비록 통계적 유의성은 없지만, 도농복합시에서 행정구역상 도시로 구분되는 읍·동 거주민은 면 소재지 거주민보다 지역정체성은 높고, 향후 거주의향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과소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타 지역으로부터의 인구유입도 중요하지만, 원주민들의 거주의향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도농복합시 거주민의 지역정체성 강도에 초점을 맞추면서, 농촌지역에 계속적으로 거주할 의향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지역민의 지역정체성이 거주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되, 이 요인들의 다양한 영향도 동시에 분석하기 위해 연립 이변량 순위 프로빗 모형(simultaneous bivariate ordered pr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 분석결과, 지역사회의 문화자본이 거주의향과 지역정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SOC 등 하드웨어 사업 중심에서 지역주민들이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서비스 보급·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향후 도농복합시 농촌지역의 과소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규 인력의 유입도 중요하지만, 기존 주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도농복합시 농촌지역 과소화 대응 방안으로 기존 거주민의 계속적인 거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특히 거주의향은 지역정체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지역정체 성은 내생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역정체성과 지역거주의향과의 내생적 관계를 고려하여 연립 이변량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였다.
  • 춘천시는 15개 동, 1개 읍, 9개 면(동면, 동산면, 신동면, 동내면, 남면, 남산면, 서면, 사북면, 북산면)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도농복합시로 춘천시를 연구표집 지역으로 선정하여, 춘천시 지역주민간 지역정체성의 차이와 이 정체성이 거주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