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험실에서 문어 통발용 정어리 미끼의 유인 효과
The luring effect of the sardine bait for octopus pot in laboratory 원문보기

수산해양기술연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55 no.3, 2019년, pp.190 - 197  

안영일 (강원도립대학교 해양경찰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uring effect of the sardine bait, which is used to catch octopus with pot, as the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bait for octopus pot. The soaking time for bait was divided into "5 days or less" and "11 days or longer" The number of times octopus 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문어 통발용 대체미끼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문어 통발 어업에 사용 중인 정어리 미끼의 유인 효과를 침지시간 5일 이하와 11일 이상인 경우에 대하여 실험어의 미끼 통발과 빈 통발에 들어간 횟수는 암순응 상태 및 명순응 과정에서, 구간분포는 명순응 과정에서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문어 통발용 대체미끼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문어 통발 어업에 사용 중인 정어리 미끼의 유인 효과를 실험어의 암순응과 명순응 상태에서 미끼 통발과 빈 통발에 들어간 횟수와 명순응 과정에서의 구간분포를 실험실에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발 어업의 장점은 무엇인가? 통발 어업은 어구ㆍ어법적으로 조업이 단순하고 활어를 어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층 끌어구ㆍ저층 연승 등과 같은 조업이 불가능한 해저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고 있기에 다른 업종에 비해 비교적 수익률이 높은 업종으로서 연근해어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Inoue, 1985; An and Park, 2005; Chang et al., 2008).
수조실험은 어디에서 행해졌는가? 수조실험은 2018년 11월 17일~12월 4일까지 강원도 강릉시 소재 강원도 해양수산연구원에서 행하였다. 실험어는 대문어 Paroctopus dofleini이며, 주문진항에서 중매인을 통하여 성장에 따른 섭이 행동 반응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가능한 한 체중이 무거운 비슷한 크기의 문어를 구매해서 보조 수조에 3일 이상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수심 100 m 이상 깊은 곳에 설치하는 문어 통발의 어획이 후각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문어 통발이 상대적으로 타 어종 어구보다 침지일수가 긴 이유로서 미끼를 원형 그대로 사용한다는 점, 문어의 생존 기간이 긴 점, 탈출하기가 어려운 어구인 점, 문어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가 가재, 게, 새우 등을 먼저 유인하여 이들의 먹이연쇄 역할로 인하여 문어가 통발에 들어갈 확률이 높다는 점, 통발 자체가 은신처 역할을 한다는 점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도 비록 실험어의 비싼 가격과 실험 여건상 짧은 기간으로 실험횟수의 미흡한 점이 있지만, 정어리의 침지시간 5일 이하인 경우 보다 11일 이상의 경우가 미끼 통발에 빨리 들어가는 등, 유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Fig. 5, 6). 이와 같은 현상은 미끼의 부패로 인한 냄새작용이 크게 미쳤다고 판단된다. 실험시간 중에 통발에 들어가 경우는 시각이 더 큰 영향을 미친 행동 반응이라 할 수 있지만, 실험 시작 전인 암순응 상태에서 미끼 통발에 들어간 경우는 후각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심 100 m 이상 깊은 곳에 설치하는 문어 통발의 어획은 후각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mbrose RF. 1984. Food preferences, prey availability, and the diet of Octopus bimaculatus Verrill. J Exp Mar Biol Ecol 77, 29-44. (DOI:10.1016/0022-0981(84)90049-2). 

  2. 10.3796/KSFT.2005.41.4.271 An YI and Park JY. 2005. Octopus fisheries in the coastal waters of Gangneung-Ⅰ, pot fishery. J Korean Soc Fish Technol 41, 271-278. (DOI :10.3796/KSFT.2005.41.4.271). 

  3. An YI and Arimoto T. 2007. Development and artificial bait for octopus drift line. J Korean Soc Fish Technol 43(4), 291-300. (DOI:10.3796/KSFT.2007.43.4.291). 

  4. Claybourne A. 2004. The secret world of octopuses. Barker G, Block MS, Mattson J, Osler T, ed. Raintree, Chicago, Illinois, U.S.A., 16-21. 

  5. Chang HY , Koo JG , Lee KW and Cho BK. 2007. Attracting effect of baits used in trap for swimming crab. J Korean Soc Fish Technol 43, 301-309. (DOI:10.3796/KSFT.2007.43.4.301). 

  6. Chang HY , Koo JG , Cho BK , Jeong BG and Lee KW. 2008. Development of artificial bait for swimming crab pots. Research report,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4-26. 

  7. Emery DG. 1976. Observations on the olfactory organ of adult and juvenile Octopus joubini. Tissue & cell 8, 33-46. (DOI:10.1016/0040-8166(76)90018-5). 

  8. Fiorito G and Gherardi F. 1999. Prey-handling behaviour of Octopus vulgaris (Mollusca, Cephalopoda) on Bivalve preys. Behavioural Processes 46, 75-88. (DOI:10.1016/S0376-6357(99)00020-0). 

  9. Forsythe JW and Hanlon RT. 1997. Foraging and associated behaviour by Octopus cyanea Gray, 1849 on a coral atoll, French Polynesia. J Exp Mar Bio. Ecol 209, 15-31. (DOI:10.1016/S0022-0981(96)00057-3). 

  10. Groeneveld JC , Maharaj G and Smith CD. 2006. Octopus magnificus predation and bycatch in the trap fishery for spiny lobsters Palinurus gilchristi off South Africa. Fish Res 79, 90-96. (DOI:10.1016/j.fishres.2005.12.016). 

  11. Hamasaki DI 1968. The electroretinogram of the intact anesthetized octopus. Vision Res 8, 247-258. (DOI:10.1016/0042-6989(68)90012-6). 

  12. Inoue M 1985. Fishing gear and fish’s behavior. Kouseishakouseigaku, Tokyo, 157. 

  13. Lee JH 2002. Comparison of fishing efficiency of spring frame pot and ring frame pot for octopus, Parotopus dofleini .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4-25. 

  14. Mather JA. 1988. Daytime activity of juvenile Octopus vulgaris(Mollusca, Cephalopoda) in Bermuda. Malacologia 29, 69-76. 

  15. Mather JA. 1991. Foraging, feeding and prey remains in middens of juvenile Octopus vulgaris (Mollusca, Cephalopoda). J Zoo. lond 224, 27-39. (DOI:10.1111/j.1469-7998.1991.tb04786.x). 

  16. Mather JA. 1993. Recent advances in cephalopod. Fisheries biology, Okutani T, O′Dor RK and Kubodera T ed.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275-282. 

  17. Løkkeborg S. 1990. Rate of release of potential feeding attractants from natural and artificial bait. Fish Res 8, 253-261. (DOI:10.1016/0165-7836(90)90026-R) 

  18. Løkkeborg S. 1991. Fishing experiments with an alternative longline bait using surplus fish products. Fish Res 12, 43-56. (DOI:10.1016/0165-7836(91)90048-K). 

  19. NIFS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1997. Basic survey report of coastal fishery. Side of whole country 36-37, Side of Gyeonggi-do 30. 

  20. Polese G , Bertapelle C and Di Cosmo A. 2015. Role of olfaction in Octopus vulgaris reproduction. General and comparative endocrinology 210, 55-62. (DOI:10.1016/j.ygcen.2014.10.006). 

  21. Polese G , Bertapelle C and Di Cosmo A. 2016. Olfactory organ of Octopus vulgaris: morphology, plasticity, turnover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Biology open 5, 611-619. (DOI:10.1242/bio.017764). 

  22. Sano M , Umeda A , and Sasaki T. 2017. Seasomal chang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North Pacific giant octopus Enteroctopus dofleini in a box-fishery off northern Hokkaido in the Sea of Japan. Nippon Suisan Gakkaishi 83, 361-366. (DOI:10.2331/suisan.16-00058). 

  23. Shin JK , Cha BJ , Park HH , Cho SK , Kim HY , Jeong EC , Kim YH and Kim BY. 2008. Comparison of fishing efficiency on octopus traps to reduce bycatch in the east sea. J Korean Soc Fish Technol 44, 1-9. (DOI:10.3796/KSFT.2008.44.1.001). 

  24. Takeuchi S. 1981. Fishing with pots「Pot fishery」. JSFS, ed. Fisheries series 36, Kouseisha-kouseikaku, Tokyo, 22-36. 

  25. Yatsu A. 2019. Review of population dynamics and management of small pelagic fishes around the Japanese Archipelago. Fish Sci 85, 611-639. (DOI:10.1007/s12562-019-01305-3). 

  26. Youm MG. 1998. The improved artificial trap baits. Bull. Korean Fish Tech Soc 26, 117-1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