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 도보관광자의 계절별 시·공간 이동밀도 및 멈춤 특성 - 북촌한옥마을의 봄·여름 관광자들을 대상으로 -
Spatiotemporal Movement Density and Stopping Characteristics of Urban Walking Tourists by Season - Focused on Tourists of Bukchon Hanok Village in the Spring and Summer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4, 2019년, pp.1 - 11  

윤희정 (강원대학교 관광경영학과) ,  강동진 (서울대학교 협동과정조경학) ,  신상현 (신구대학교 환경조경과)

초록

본 연구는 계절에 따라 도심 도보관광자들의 시 공간 이동밀도 및 멈춤 특성 분석을 주요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북촌한옥마을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고, GPS 기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도심 도보관광자들의 시 공간 행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GIS와 통계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봄, 여름 도심 도보관광자들의 시 공간 이동행태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도심 도보관광자들의 이동 및 체류특성은 계절별로 통계적 차이가 검증되었다. ArcGIS를 이용하여 도심 도보관광자의 시 공간적 이동밀도와 멈춤 특성을 분석한 결과, 대상지로의 중심 접근로와 상업공간에 있어 공간적 시간적 집중성이 확인되었다. 도심 도보관광관련 정책입안자나 개발자들은 본 연구결과의 시 공간 밀집도를 활용하여 도보관광지의 수용력 조절이나 관광자들의 공간적 혹은 시간적 분산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urban walking tourists' spatiotemporal movement densities and the stopping characteristics by season. With the Bukchon Hanok Village in Seoul, as the study site, a GPS-based smartphone application collected spatiotemporal data, and GIS and statistical meth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계절에 따라 도심 도보관광자들의 시·공간 이동밀도 및 멈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도심 도보관광 관련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계절에 따른 시·공간 이동밀도 및 멈춤 특성을 분석하기에 앞서 봄과 여름의 도보이동 특성 및 체류특성에 대한 차이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관광과 문화관광의 일환으로 최근 많은 수요와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도심 도보관광에 대하여, 계절에 따른 도심 도보관광자들의 시·공간 이용행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심 도보관광자들의 계절별 시·공간 이동밀도 및 멈춤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ArcGIS를 이용하여 공간적 이용밀도와 시간적 멈춤 특성을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도시관광과 문화관광의 일환으로 최근 많은 수요와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도심 도보관광에 대하여 계절에 따른 도심 도보관광자들의 시·공간 이용행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일반적으로 국내 관광공간의 계획일 집중률은 1계절형부터 4계절형까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자연형 옥외공간의 경우 3계절형이 우세하고, 본 연구주제와 가장 밀접한 도시의 문화자원관람형의 경우, 2계절형이 일반적이다(MCST, 2007).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방문객수가 많은 두 개의 계절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대상지인 북촌의 경우, 관광지식정보시스템의 주요 관광지점 입장객 통계가 존재하지 않아 가장 인접한 관광공간인 경복궁의 관광객 수 추이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도보 관광과는 다른 도심 도보관광자의 동기는 무엇인가? , 2011; Kang and Lee, 2011; Park and Hyun, 2012; Gatrell, 2013). 반면 도심 도보관광의 동기는 문화․역사 체험, 자연경관감상, 사색, 정신적 안정, 학습, 건강, 새로운 지식 습득 등과 같이, 일반적인 도보관광과는 다소 차별화되는 것으로 밝혀졌고, 공연관람, 축제 및 이벤트 참가, 문화 및 역사체험, 쇼핑 등과 같은 동시대 사회문화적 활동에 대해서도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Kim and Shim, 2011; Choi et al., 2015; Song, 2018).
도심 도보관광에 대한 수요증가 요인은 무엇인가? , 2015), 최근에는 도심 도보관광에 대한 수요와 공급 역시 증가되고 있다. 도심 도보관광에 대한 수요증가 요인으로는 도심 도보관광이 일상생활권 내에서 접근성이 양호하고, 다양한 역사문화자원과 동시대의 생활자원을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공급측면으로는 지자체들이 도시 내 관광자원을 다양화하고, 점적(point) 관광자원을 연계하여 관광자들의 체류시간을 늘리며, 자원 활용성과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루트기반 관광공간(route-based tourism spaces)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GPX 파일은 무엇인가? com)에서 조사참여자들의 시·공간 데이터를 GPX(gps exchange format) 형태로 다운로딩한 후, ArcGIS를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GPX 파일은 GPS 데이터 공유를 돕는 XML 형식의 데이터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의 경로(route) 및 궤적(track), 지점(way point), 위치와 고도, 시간 데이터를 제공한다. 조사참여자의 공간 밀도분석은 ArcGIS의 “Kernel density too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는 조사참여자의 각 위치 포인트가 하나의 기준이 되어 사용자가 지정하는 반경 안에 이웃한 포인트의 수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10.1016/j.tra.2006.07.003 Asakura, Y. and T. Iryo (2007) Analysis of tourist behaviour based on the tracking data collecte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instrumen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41 (7): 684-690. 10.1016/j.tra.2006.07.003 

  2. 10.1002/(SICI)1522-1970(199909/10)1:5<299::AID-JTR198>3.0.CO;2-L Baum, T. and L. Hagen (1999) Responses to seasonality: The experiences of peripheral destin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Research 1: 299-312. 10.1002/(SICI)1522-1970(199909/10)1:5<299::AID-JTR198>3.0.CO;2-L 

  3. Breejen, L. D. (2007) The experiences of long distance walking. Tourism Management 29 (6): 1417-1427. 10.1016/j.tourman.2006.12.004 

  4. 10.1016/S0261-5177(02)00105-X Bruwer, J. (2003) South African wine routes. Tourism Management 24 (4): 423-435. 10.1016/S0261-5177(02)00105-X 

  5. Butler, R. W. (1994) Seasonality in Tourism: Issues and Implication, A.V. Seaton (Ed.), Tourism: A State of the Art, Wiley, Chichester, UK. 

  6. Byun, J., K. Park and S. Park (2010) The effect of physical pedestrian environment on walking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case of Jinhae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 (6): 57-65. 

  7. Capò Parrilla, J., A. R. Font and J. R. Nadal (2006) Accommodation determinants of seasonal patter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34: 422-436. 10.1016/j.annals.2006.10.002 

  8. 10.1016/S0261-5177(03)00057-8 Chhetri, P., C. Arrowsmith and M. Jackson (2004) Determining hiking experiences in nature-based tourist destinations. Tourism Management 25 (1): 31-43. 10.1016/S0261-5177(03)00057-8 

  9. 10.51979/KSSLS.2015.11.62.457 Choi, J., H. Lee and W. Lee (2015) The cultural value and space identity of Olle road in the cit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62: 457-467. 

  10. 10.1016/j.tourman.2010.05.008 Cuccia, T. and I. Rizzo (2011) Tourism seasonality in cultural destinations: Empirical evidence from Sicily. Tourism Management 32 (3): 589-595. 10.1016/j.tourman.2010.05.008 

  11. Cutler, S. Q., B. Carmichael and S. Doherty (2014) The Inca trail experience. Annals of Tourism Research 45 (1): 152-166. 10.1016/j.annals.2013.12.016 

  12. 10.1080/13683500.2012.718323 Dickinson, J. E., K. Ghali, T. Cherrett, C. Speed, N. Davies and S. Norgate (2014) Tourism and the smartphone app: Capabilities, emerging practice and scope in the travel domain. Current Issues in Tourism 17 (1): 84-101. 10.1080/13683500.2012.718323 

  13. Fernandez-Morales, A. and M. C. Mayorga-Toledano (2008) Seasonal concentration of the hotel demand in costa del sol: A decomposition by nationalities, Tourism Management 29: 940-949. 10.1016/j.tourman.2007.11.003 

  14. 10.1016/j.healthplace.2013.04.002 Gatrell, A. C. (2013) Therapeutic mobilities: Walking and ‘steps’ to wellbeing and health. Health & Place 22: 98-106. 10.1016/j.healthplace.2013.04.002 23666145 

  15. 10.3390/su8111144 González-Ramiro, A., G. Gonçalves, A. Sánchez-Ríos and J. S. Jeong (2016) Using a VGI and GIS-Based multicriteria approach for assessing the potential of rural tourism in Extremadura (Spain), Sustainability 8: 1-15. 

  16. Jeong, C., R. Jung and H. Lee (2011) Forecasting demand and estimating the economic impact of walk tourists: Focused on Jeju Olle. Journal of Tourism Science 35 (8): 389-408. 

  17. Jung, Y. H., J. H. Shin and S. B. Im (2002) Viewers’ visual preferences of seasonal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 (4): 19-27. 

  18. Kang, S. and K. Lee (2011) Jeju Olle tourists’ travel motivation, environmental attitude and sense of wellbeing. Tourism Research 25 (6): 23-40. 

  19. 10.1016/j.tourman.2015.05.028 Kelley, H., T. M. van Rensburg and N. Jeserich (2016) Determinants of demand for recreational walking trails in Ireland. Tourism Management 52: 173-186. 10.1016/j.tourman.2015.05.028 

  20. 10.1016/S0160-7383(97)00038-8 Keul, A. and A. Kühberger (1997) Tracking the Salzburg tourist. Annals of Tourism Research 24 (4): 1008-1012. 10.1016/S0160-7383(97)00038-8 

  21. 10.3390/su9050680 Kim, H. and S. Yang (2017) Neighborhood walking and social capital: The correlation between walking experience and individual perception of social capital. Sustainability 9 (5): 680. 10.3390/su9050680 

  22. 10.1080/10548408.2014.997958 Kim, H., S. Lee, M. Uysal, J. Kim and K. Ahn (2015) Nature-based tourism: Motiv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Travel & Tourism Marketing 32 (sub1): 76-96. 10.1080/10548408.2014.997958 

  23. Kim, J., Y. Han and S. Oh (2011) A case study on the space of walking tour: Focused on Jongno 20 cours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6 (4); 49-56. 10.35216/kisd.2011.6.4.49 

  24. Kim, S. and Y. Shim (2011) Activation of seoul walking tourism.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3 (7): 43-60. 

  25. Kim, S. (2015) An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residents’ perception of tourism impact, environmental attitude and participation: Focused on Keumkang Pine Tree forest trail. Journal of Korean Geographic Society 50 (3): 339-354. 

  26. Lau, G. and B. McKercher (2007) Understanding tourist movement patterns in a destination.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7: 39-49. 10.1057/palgrave.thr.6050027 

  27. Lee, D. and K. Park (2003) A case study on the tourists' behaviors of Islands: Focused on Geomundo.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7 (4): 17-24. 

  28. Lee, S. (2012) A study on the demand models for seasonal marine tourism.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6 (1): 73-92. 

  29. Lim, H. and Y. Kang (2008) Study on preference of tourism resources by tourist behavior types: Focused on tourist to Jeju.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0 (2): 229-248. 

  30. McKercher, B., N. Shoval, E. Ng and A. Birenboim (2012) First and repeat visitor behaviour. Tourism Geographies 14 (1): 147-161. 10.1080/14616688.2011.598542 

  31. MCS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07) Guideline for Tourism Supply Scale. MCST. 

  32. 10.1016/S0261-5177(97)00075-7 Murray, M. and B. Graham (1997) Exploring the dialectics of route- based tourism: The Camino de Santiago. Tourism Management 18 (8): 513-524. 10.1016/S0261-5177(97)00075-7 

  33. Ohmori, N., M. Nakazato and N. Harata (2005) GPS mobile phone- based activity diary survey. Proceedings of the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5: 1104-1115. 

  34. Park, M. H. and H. J. Yun (2014a) Analyzing behavior tracking and movement patterns of walking tourists in urban village streets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 Journal of Tourism Science 38 (5): 37-58. 

  35. Park, M. H. and H. J. Yun (2014b) Spatiotemporal movement density and staying characteristics of walking tourists in Bukchon using GPS-based smart phone application and QGIS. Journal of Tourism Science 38 (9): 57-77. 

  36. Park, Y. (2019) Estimation and Analysis of the Floating Population of Seoul Walking Tour Courses Using Telecommunications Data. Master's Thesis in Ihwa Women's University. Korea. 

  37. Park, Y. and Y. Hyun (2012) A study o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walking-tour motivation scale: A case of Jeju Ollegil. Journal of Tourism Science 36 (9): 27-50. 

  38. 10.1080/14616688.2010.529932 Pettersson, R. and M. Zillinger (2011) Time and space in event behaviour: Tracking visitors by GPS. Tourism Geographies 13 (1): 1-20. 10.1080/14616688.2010.529932 

  39. Seo, H. and S. Park (2007) Characteristics of walking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in an old residential neighborhood: A case study of Bukchon, Seoul, Korea. Architectural Research 23 (8): 191-199. 

  40. Shin, J. Y., S. G. Jung, K. T. Kim and W. S. Lee (2011) Evaluation of seasonal landscape images and preference of streetscapes: Focusing on street of Prunus Spec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 (3): 51-63. 10.9715/KILA.2011.39.3.051 

  41. Shoval, N. and M. Isaacson (2006) Tracking tourists in the digital age. Annals of Tourism Research 34 (1): 141-159. 10.1016/j.annals.2006.07.007 

  42. 10.1016/j.tourman.2014.04.010 Smith, W. W., X. R. Li, B. Pan, M. Witte and S. T. Doherty (2015) Tracking destination image across the trip experience with smartphone technology. Tourism Management 48: 113-122. 10.1016/j.tourman.2014.04.010 

  43. Song, K. (201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uide-Participatory Walking Tourism in Changsin-dong and Ikseon-dong Areas. Ph.D. Dissertati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44. Song, W. and H. Yang (2017) Analysis on differences in a seasonal tourism network: Case of Gangwon-do tourism.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1 (2): 31-45. 10.21298/IJTHR.2017.02.31.2.31 

  45. 10.1080/14616689908721294 Van der Knaap, W. G. M. (1999) Research report: GIS-oriented analysis of tourist time-space patterns to support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Tourism Geographies 1 (1): 56-69. 10.1080/14616689908721294 

  46. 10.1177/0047287513506295 Vargas-Sánchez, A., N. Porras-Bueno and M. de los Ángeles Plaza- Mejía (2014) Residents’ attitude to tourism and seasonality. Journal of Travel Research 53 (5): 581-596. 10.1177/0047287513506295 

  47. 10.1016/j.matcom.2008.06.007 Xia, J., P. Zeephongsekul and C. Arrowsmith (2009) Modelling spatio- temporal movement of tourists using finite Markov chains. Mathematics and Computers in Simulation 79 (5): 1544-1553. 10.1016/j.matcom.2008.06.007 

  48. 10.1080/10941665.2014.976581 Yun, H. J. and M. H. Park (2015) Time-space movement of festival visitors in rural areas using a smart phone application. Asian Pacific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0 (11): 1246-1265. 10.1080/10941665.2014.976581 

  49. 10.1016/j.tourman.2016.08.009 Zheng, W., X. Huang and Y. Li (2017) Understanding the tourist mobility using GPS: Where is the next place?. Tourism Management 59: 267-280. 10.1016/j.tourman.2016.08.009 

  50. 10.1145/2168752.2168770 Zheng, Y., Z. Zha and T. Chua (2012) Mining travel patterns from geotagged photos. ACM Transactions on Intelligent Systems and Technology 56: 1-18. 10.1145/2168752.2168770 

  51. 10.1016/j.trc.2016.12.009 Zimmermann, M., T. Mai and E. Frejinger (2017) Bike route choice modeling using GPS data without choice sets of path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Emerging Technologies 75: 183-196. 10.1016/j.trc.2016.12.009 

  52. http://hanok.seoul.go.kr 

  53. http://www.tranggle.com 

  54. https://www.tour.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