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의선숲길 조성 전후의 연남동 방문자의 경험 분석 - 블로그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the Visitors' Experiences in Yeonnam-dong before and after the Gyeongui Line Park Project - A Text Mining Approach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4, 2019년, pp.33 - 49  

김세령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조경학) ,  최윤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윤희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형공원은 도시조직과 교류가 활발한 만큼, 인근 지역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공원 관리에 있어 지역 방문자의 경험과 행태를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점에서 착안하여 선형공원의 조성 전후를 포괄하는 기간 동안 인근 지역 방문자의 경험이 변화하는 추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블로그 글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지는 경의선숲길과 연남동으로 하였다. 2013년 6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연남동', '경의선', '연트럴파크'라는 키워드로 검색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팅을 수집한 후 정제 및 무작위 추출을 이용해 분석 대상 자료를 선별하였다. 이를 1년 단위의 4개 시기로 구분한 후, 각 시기별 형태소 분석 및 사전구축, 빈도 분석을 실시했다. 그 후 중심성 분석응집성 분석을 수행해 연남동 방문자들의 주요 경험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기간 동안 연남동 방문자들의 가장 주된 경험은 꾸준히 식문화였지만, 마켓, 구경, 구매 등이 부수적인 활동들이 점점 많이 일어나고 있었다. 또한 경의선숲길 조성 후 공원에서 발생하는 산책, 놀기, 쉬기 등의 활동이 새롭게 등장했다. 뿐만 아니라, 공원 조성 후 연남동에 관해 더욱 다양한 의견이 블로그 상에서 오고 갔으며, 연남동은 여러 가지의 활동을 향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남동 방문자들이 '식문화'에 대해 얘기할 때 함께 등장하는 하위 주제가 '먹다', '사진', '수다' 등의 단순한 주제에서 '마켓', '구경', '걷다' 등으로 그 범위가 넓어졌으며, '공원'과 함께 등장하는 주제 역시 초기에는 쉬기, 걷기 등의 일차적인 활동이었으나, 경의선 책거리의 등장과 함께 다양한 주제로 확대되었다.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이라는 정량적 방법론으로 지역 방문자의 경험 변화를 공원 조성 전후를 포괄하여 비교적 객관적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텍스트 마이닝의 특성상 정제의 과정을 거치며, 부득이하게 주관이 이입된 점은 추후 보완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변화들과 공원 조성과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더욱 세밀하게 밝혀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experiences of visitors of Yeonnam-dong during the period covering the development of a linear park, the Gyeongui Line Park. This study used a text mining technique to analyze Naver Blog postings of those who visited Yeonnam-dong from J...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형공원이 해당 지역 변화의 직접적인 요인이 되는 이유는? 선형공원은 대부분 그 형태적 특성으로 인해 도시공간과 넓은 접면을 공유하기 때문에, 해당 지역 변화의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Yoon, 2017). 예를 들어 선형공원은 지역 주민들의 교류를 촉진시키며, 인접한 가로의 활성화에 기여하기도 한다(Park et al.
경의선숲길 계획 당시 어떤 것들을 고려하여 설계했는가? 경의선숲길은 경의선 폐선 부지를 공원으로 탈바꿈시킨 서울시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계획 당시, 기존 경의선이 지닌 역사성과 정체성을 살리면서도 동시에 친환경, 주변 지역과의 네트워크, 주민 커뮤니티와의 연계 등을 고려하여 계획되었다. 특히 비 완결적인 디자인을 추구함으로써 지역 축제와 문화행사로 채워가는 공원을 목표로 하였다(Nam and Cho, 2016).
선형공원의 잠재력을 평가하는데 핵심적인 기준은 무엇인가? 지금까지의 선형공원에 대한 연구는 경제적, 물리적 효과에 한정되어 왔으며, 선형공원이 공원 및 인근 지역방문자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Kim and Park(2013)에 따르면 선형공원의 잠재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기준은 활동의 다양성 및 일상적 이용의 촉진과 같이 공원 이용자의 경험에 관한 요소이다. 더욱이 선형공원은 여타 공원 유형에 비해 도시 조직과 교류가 활발하기 때문에 공원뿐 아닌 인근 지역 방문자들의 공간 향유 방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hae, I. Y. (2017) A Method for Analysis of Preferences of Places based on Sentimental Analysis using SNS Data: Case Study on Theme Parks in Seoul, South Korea.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 Cho, Y. D. (2017) A Study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 of Linear Park: A Case Study of Gyeongui Line Forest Park, Seoul.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3. Han, S. H. (2016) Perceptions and Changes of Spaces in Commercial Streets through Social Media: Focused on Kyungridan-Roa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4. Hwang, J. K. (2015) A Study on the Change of Sense of Place due to the Culture led Gentrification: Focusing on the Social Media Big Data Analysis about Hongdae, Itaewon, Shinsa area. Master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 

  5. 10.1016/j.habitatint.2016.10.002 Jung, E., Y. Choi and H. Yoon (2016) The impact of the Gyeongui line park project on residential property values in Seoul, Korea. Habitat International 58: 108-117. 10.1016/j.habitatint.2016.10.002 

  6. Kam, M. A. and M. Song (2012) Study on differences of contents and tones of arguments among newspapers using text mining analysi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18 (3): 53-77. 

  7. Kim, J. C. and K. H. Park (2013) Functionality and accessibility of urban linear parks: Comparative case study with conventional neighborhood park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 (6): 89-106. 

  8. 10.13089/JKIISC.2014.24.2.335 Kim, M. J. and S. J. Lee (2014) Measures of abnormal user activities in online comments based on cosine similar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24 (2): 335-343. 10.13089/JKIISC.2014.24.2.335 

  9. Kim, S. B. (2014) The impact of ‘Zaha Hadid’ and her design on the public discourse about Dongdaemun Design Plaz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0 (10): 35-44. 10.5659/JAIK_PD.2014.30.10.35 

  10. Kim, S. Y. (2019) Analysis of Tourism Destination Image in Namdaemun Market before and after Seoullo7017 using Text Mining.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11. Kim, Y. H. and Y. J. Kim (2016)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Pakyoungsa. 

  12. Kullmann, K. (2012) Thin parks / thick edges: Towards a linear park typology for (post) infrastructural sites.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6 (2): 70-81. 10.1080/18626033.2011.9723456 

  13. Lee, H. J. and L. U. Suh (2014) A study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urban regeneration of the line park in New York. Journal of Sustainability Research 5 (3): 1-21. 

  14. Lee, J. E. and W. H. Yang (2016) The investigation of residential area changes by the provision of urban linear parks: Case studies of the regenerated street parks and the uncovered stream park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7 (6): 45-55. 10.6107/JKHA.2016.27.6.045 10.6107/JKHA.2016.27.5.045 

  15. Lee, J. I. (2013) A Study on the Micro-Discourse about Seoul Forest in Personal Media: Focused on Sense of Place.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6. Lee, S. S. (2012) Network Analysis Methods. Seoul: Nonhyoung. 

  17. Lee, S. S. (2014) A content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 (4): 49-68. 10.3743/KOSIM.2014.31.4.049 

  18. Lee, Y. S., T. B. Cho and Y. G. Ryu (2017) Study on urban spatial changes in adjacent area of linear urban park regenerated from abandoned railroad: Focused on changes of streets, estates, buildings, and use of area adjacent to Gwangju Greenway Park.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8 (5): 93-108. 

  19. 10.1177/1075547005278346 Leydesdorff, L. and I. Hellsten (2005) Metaphors and diaphors in science communication: Mapping the case of stem cell research. Science Communication 27 (1): 64-99. 10.1177/1075547005278346 

  20. 10.1016/j.eswa.2013.01.019 Mostafa, M. M. (2013) More than words: Social networks’ text mining for consumer brand sentiments.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40 (10): 4241-4251. 10.1016/j.eswa.2013.01.019 

  21. Nam, I. Y. and H. W. Park (2007) Network analysis of headlines in the newspaper articles on the prospective presidential candidates and their PR strategy in Korea. Korean Party Studies Review 6 (1): 79-107. 

  22. Nam, J. H. and H. E. Cho (2016) Method of conservation and local utilization for modern architectural assets located near railroads in Gyeonggi and Inche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1-386. 

  23. Pae, J. H. (2007) 조경의 시대 조경을 넘어. Paju: 도서출판 조경. 

  24. Park, C. S. and J. W. Jeong (2013)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19 (2): 73-108. 

  25. 10.4040/jkan.2017.47.5.600 Park, E. J., Y. J. Kim and C. S. Park (2017) A comparison of hospice care research topic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using text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7 (5): 600-612. 10.4040/jkan.2017.47.5.600 29151558 

  26. Park, H. K. and T. B. Cho (2010) 선형 공원에 있어서 산책활동과 구간 특성의 관계: 광주 푸른길 공원을 중심으로.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37-41. 

  27. Park, K. H., J. C. Kim and T. W. Lee (2014) Implementing people- centered cities through creating a linear park.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1-8. 

  28. 10.46416/JKCIA.2018.04.20.1.109 Park, S. H., K. A. Lee, C. H. Yu and B. H. Lee (2018) The effect of linear park on the abandoned railway area focusing on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20 (1): 109-120. 

  29. Sim, J. Y. (2017) Urban discourse analysis on the process of park planning and designing of the Yongsan U.S. military base: Focused on newspaper analysis using text mining.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8 (5): 37-52. 

  30. 10.1109/5254.784086 Weiss, S. M., C. Apte, F. J. Damerau, D. E. Johnson, F. J. Oles, T. Goetz and T. Hampp (1999) Maximizing text-mining performance. IEEE Intelligent 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14 (4): 63-69. 10.1109/5254.784086 

  31. Won, H.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Market Area by Gyeongui Line Forest Park Project. Master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32. Yang, S. Y. and S. Y. Yoo (2016) Behavior patterns in an urban linear park, reusing the abandoned railroad: Focused on Gyeongui-Line forest park in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7 (1): 101-115. 

  33. Yoon H. Y. (2013b) Is a High-quality park worth the cost?: Hedonic analysis of housing market near the high line, New York City.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 (7): 135-152. 

  34. Yoon, D. W. (2017) Study on the Change of Adjoining Building and Its Outdoor Space at Gyeongui Line Forest.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35. 10.1177/0042098014536785 Yoon, H. and E. Currid-Halkett (2015) Industrial gentrification in West Chelsea, New York: Who survived and who did not? Empirical evidence from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Urban Studies 52 (1): 20-49. 10.1177/0042098014536785 

  36. Yoon, H. K. (2013a) Research on the application methods of big data within the cultural industry. The Journal of Global Cultural Contents 157-179. 

  37. Yoon, H. Y. (2010) Landscape urbanism in special West Chelsea district rezoning and high line open space re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 (1): 84-97. 

  38. 10.1007/978-3-642-20161-5_34 Zhao, W., X. J. Jiang, J. Weng, J. He, E. Lim, H. Yan and X. Li (2011) Comparing twitter and traditional media using topic Models. Advancesin Information Retrieval Lecture. 10.1007/978-3-642-20161-5_34 

  39. http://news.mk.co.kr/newsread.php?sc=40200003&year=2018&no=203219 

  40.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8&aid=0002407328 

  41. luris.molit.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