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중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한 페놀의 분해 특성
Characteristics of phenol degradation by using underwater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3 no.4, 2019년, pp.243 - 250  

신관우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승규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진수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주천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원경자 (충청북도보건환경연구원 환경조사과) ,  이상일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phenol, a refractory substance, by using a submerge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plasma reactor. To indirectly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active species produced in the DBD plasma, the dissolved ozone was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1절에서 방전전력에 따른 용존오존발생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절에서는 페놀 제거시 방전전력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전전력에 따른 페놀 및 COD 제거율 결과를 Fig.
  •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의 전력에 대한 용존오존농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전력을 달리하였을 때 페놀 제거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페놀 원수 2 L에 1N-NaOH를 주입하여 pH 10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수중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용존오존의 발생특성과 난분해성 물질인 페놀 제거에 대해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DBD 방식의 반응기의 난분해성물질처리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모든 실험은 batch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페놀을 대상물질로 선정하여 제거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 2013). 본 연구에서는 난분해성 물질과 반응이 일어나는 용존오존을 측정하였다. 반응조에 증류수 2 L를 채운 후 0~ 30분간 시간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용존오존 측정기로 분석하였다.
  • 수중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의 페놀 제거시 pH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페놀원수 2 L에 1N-NaOH와 1N-H2SO4를 사용하여 pH 4, 7, 10으로 조절한 후 최적의 전력으로 판단되는 40 W로 반응시켰다.
  • 본 연구에서는 DBD 방식의 반응기의 난분해성물질처리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모든 실험은 batch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페놀을 대상물질로 선정하여 제거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주입 공기 유량과 전력을 달리하여 활성종인 용존오존을 측정함으로써 반응기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페놀 제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pH와 전력을 변수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 , 2008).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순수한 산소가 아닌 공기(O2 21%) 유량에 대한 용존오존 농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플라즈마에서 발생되는 용존오존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증류수에 반응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산화제와 달리 고급산화공정이 갖는 이점은?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 고급산화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AOPs)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고급산화공정은기존의 산화제보다 산화력이 강한 ·O 또는 ·OH를 중간물질로 생성하여 제거하는 공법을 말하며, 대표적인 공정으로는 전자빔, 오존, 자외선, H2O2, 초임계산화(Supercritical water oxidation), 초음파, 광촉매 및 플라즈마 공정 등이 있다 (Choquette-Labbėe et al., 2014;Gu et al.
생물학적 처리가 아닌 물리·화학적 방법이 대두되고 있는 이유는? 페놀류 화합물의 처리법으로 크게 생물학적 처리와 물리·화학적 처리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처리의 경우 페놀류 화합물과 같은 난분해성 물질은 장기간의 반응시간이 필요로 하며, 고농도의 경우 분해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Kim et al., 2007; Park, 2012).
페놀 이란? 페놀은 소화, 호흡, 피부 접촉 등을 통해 인체에 흡수될 경우 심각한 장애나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맹독성 물질로써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지정되어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페놀 기준은 먹는물, 농업용수, 생활용수는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10.1016/S1383-5866(03)00169-2 Chen, Y.S. , Zhang, X.S. , Dai, Y.C. and Yuan, W.K. (2004). Pulse high-voltage discharge plasma for degradation of phenol in aqueous solution, Sep. Purif. Technol., 34, 5-12. 

  2. 10.3390/w6061785 Choquette-Labb, M. , Shewa, W.A. , Lalman, J.A. and Shanmugam, S.R. (2014).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phenol and phenol derivatives using a nano-TiO2 catalyst: Integr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actor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ter, 6, 1785-1806. 

  3. 10.1109/TPS.2011.2180028 Foster, J. , Sommers, B.S. , Gucker, S.N. , Blankson I.M. and Adamovsky, G. (2012). Perspectives on the interaction of plasma with liquid water for water purification, IEEE T. Plasma Sci., 40, 1311-1323. 

  4. Gu, J.E. , Son, G.T. , Lee, H.S. , Park, J.H. , Kwon, Y.N. and Lee, S.H. (2017). Improved water quality and phenol degradation via a combination of electron-beam irradiation(EBI) and activated carbon fiber(ACF), Desalination Water Treat., 64, 118-126. 

  5. Guan, Q. , Wei, C. and Chai, X.S. (2011). Pathways and kinetics of partial oxidation of phenol in supercritical water, Chem. Eng. J., 175, 201-206. 

  6. Hosseini, S.H. and Borghei, S.M. (2005). The treatment of phenolic wastewater using a moving bed bioreactor, Process Biochem., 40, 1027-1031. 

  7. Jo, J.O. , Lee, S.B. and Mok, Y.S. (2013). Decolorization of azo dyeing wastewater using underwater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Appl. Chem. Eng., 24, 544-550. 

  8. Joshi, R.P. and Thagard, S.M. (2013). Streamer-like electrical discharges in water: PartⅡ. Environmental applications, Plasma Chem. Plasma P., 33, 17-49. 

  9. 10.1016/j.molliq.2017.10.038 Karimaei, M. , Nabizadeh, R. , Shokri, B. , Khani, M.R. , Yaghmaeian, K. , Mesdaghinia, A. , Mahvi, A. and Nazmara, S. (2017).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as excellent method for perchloroethylene removal from aqueous environments: Degradation kinetic and parameters modeling, J. Mol. Liq., 248, 177-183. 

  10. Kim, M.H. , Oh, S.M. , Bae, Y.S. and Park, C.H. (2007). Characteristics of phenolic wastewater treatment using moving bed biofilm reactor in the MLE process, J. Korean Soc. Water Wastewater, 21, 521-529. 

  11. 10.5322/JES.2011.20.5.623 Kim, D.S. and Park, Y.S. (2011). A basic study of plasma reactor of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for the water treatment, J. Environ. Sci. Int., 20, 623-630. 

  12. 10.1021/ie050981u Locke, B.R. , Sato, M. , Sunka, P. , Hoffmann, M.R. and Chang, J.S. (2006). Electrohydraulic discharge and nonthermal plasma for water treatment, Ind. Eng. Chem. Res., 45, 882-905. 

  13. 10.1016/j.seppur.2010.01.016 Lucas, M.S. , Peres, J.A. and Puma, G.L. (2010). Treatment of winery wastewater by ozone-based advance oxidation processes (O3, O3/UV and O3/UV/H2O2) in a pilot-scale bubble column reactor and process economics, Sep. Purif. Technol., 72, 235-241. 

  14. Maleki, A. , Mahvi, A.H. , Vaezi, F. and Nabizadeh, R. (2005). Ultrasonic degradation of phenol and determination of the oxidation by-products toxicity, J. Environ. Health. Sci., 2, 201-206. 

  15. Manoj Kumar Reddy, P. , Mahammadunnisa, Sk. and Subrahmanyam, Ch. (2014). Catalytic non-thermal plasma reactor for mineralization of endosulfan in aqueous medium: A green approach for the treatment, Chem. Eng. J., 238, 157-163. 

  16. Mok, Y.S. , Jo, J.O. and Whitehead, J.C. (2008). Degradation of an azo dye Orange II using a gas phas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reactor submerged in water, Chem. Eng. J., 142, 56-64. 

  17. 10.5322/JES.2012.21.4.479 Park, Y.S. (2012). Phenol treatment plasma reactor of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J. Environ. Sci. Int., 21, 479-488. 

  18. 10.5322/JESI.2013.22.7.915 Park, Y.S. (2013). Phenol removal using oxygen-plasma discharge in the water, J. Environ. Sci. Int., 22, 915-923. 

  19. Poznyak, T. , Tapia, R. , Vivero, J. and Chairez, I. (2006). Effect of pH to the decomposition of aqueous phenols mixture by ozone, J. Mex. Chem. Soc., 50, 28-35. 

  20. 10.1109/TIA.2008.2002210 Sato, M. , Tokotake, T. , Ohshima, T. and Sugiarto, A. (2008). Aqueous phenol decomposition by pulsed discharge on the water surface, IEEE T. Ind. Appl., 44, 1397-1402. 

  21. 10.1016/j.cej.2015.03.059 Stratton, G.R. , Bellona, C.L. , Dai, F. , Holsen, T.M. and Thagard, S.M. (2015). Plasma-based water treatment: Conception and application of a new general principle for reactor design, Chem. Eng. J., 273, 543-550. 

  22. 10.1016/j.desal.2007.09.012 Turhan, K. and Uzman, S. (2008). Removal of phenol from water using ozone, Desalination, 229, 257-263. 

  23. Yoon, S.H. (2009). A study o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hybrid-plasma torch in water,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si, Republic of Korea, 22-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