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보간법 적용을 통한 산림 종다양성지수의 공간적 추정 - 제1차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Spatial Estimation of Forest Species Diversity Index by Applying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 Based on 1st Forest Health Management data-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2 no.4, 2019년, pp.1 - 14  

이준희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류지은 (고려대학교 환경GIS) ,  최유영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정혜인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전성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임종환 (국립산림과학원) ,  최형순 (국립산림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1st Forest Health Management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health of the forests in Korea.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health of the forests, which account for 63.7% of the total land area in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spatialize the results of the survey beyo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의 효율적 관리 및 건강성 파악을 위해 표본점 단위로 조사한 정보 이외의 지역을 포함하여 산림의 건강성과 관련된 데이터구축을 위하여 제1차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지표 표본점에 공간보간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제1차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자료 중 종다양성지수의 공간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의 역할은 무엇인가? 산림은 인간에게 휴양, 대기 정화, 수자원 보호기능 등 많은 재화와 서비스, 자원을 인간에게 제공한다(Kim, 2012).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 환경오염 등 산림상태계의 건강성을 위협하는 요인의 증대와 함께 산림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국내 및 주요 임업 선진국에서는 산림 관리와 이를 위한 산림생태계 변화 파악 및 관리를 위해 힘쓰고 있다(Bae & Cho, 2013).
제1차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를 비롯한 국내외 산림생태계 조사 및 건강성 조사방법은 무엇인가? 이렇듯 제1차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를 비롯한 국내외 산림생태계 조사 및 건강성 조사방법은 표본점(Plot) 모니터링 조사방법이다. 산림 조사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환경 분야에서 사용되는 방법은 모니터링 조사방법이 대부분이며 표본점으로 조사하여 사용되는 데이터는 공간상으로 연속적으로 분포하지만, 비용, 시간 등 여러 문제로 표본점이 존재하지 않는 원하는 지역의 실제값을 추출하기가 어렵다(Cho et al, 2006).
산림생태계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진행하는 모니터닝 조사를 통한 연구는 무엇인가? 체계적인 산림생태계의 관리를 위해서는 산림에 대한 현황 및 기초 자료 수집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 산림생태계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한 여러 모니터링 조사를 통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산림청에서 「제 5차 산림기본계획(2008~2017년)」에 근거 4,000 플롯을 고정표본점으로 하여 제 5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06~2010년)을 실시, 그 중 967개의 표본점을 대상으로 제1차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전국 산림 중 약 81.2%의 산림이 건강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5). 국외에서는 영국에서 영국 내에 서식하는 주요 수종 5종(Norway spruce, sitka, spruce, Scots pine, Oak, Beech)을 위주로 매년 6~9월 사이, 영국 전역에 존재하는 350여 곳의 모니터링 플롯에 있는 약 8400개의 수목을 조사하여 산림의 건강성을 평가하였고(Hendry, 2003), 미국 뉴햄프셔 에서 764에이커(ac)의 면적을 10개의 자연 개체군으로 나누어 산림의 건강성을 평가하였다(US Forest Service,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