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호랑이, 늑대, 표범의 서식분포
Habitat Distribution of Tiger, Wolf, and Leopard in Joseonwangjosilok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2 no.4, 2019년, pp.35 - 45  

김남신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차진열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이승은 (국립생태원 복원전략실) ,  임치홍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abitat distribution on tiger, wolf, and leopard in Joseonwangjosilok. Nowaday, we only come to meet these kind of animals at the historical records because of haman-induced habitat encroachment. Historically, extinct animal became an object of game by peopl...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동여지도”는 근대적 측량이 이루어지기 전 제작된 한반도 지도 가운데 가장 정확한 지도이며, “해동지도”는 전국 군현(郡縣)을 총망라하여 지역사회의 변화상을 파악하기 위해 제작된 국가적 차원의 관찬지도이고, “조선총독부지도”는 20세기 초의 사회전반을 상세히 기록한 지도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취지에 가장 적합한 지도로 볼 수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참고하였다.
  • 사료의 정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하였다. 먼저 역사적 기록에 나타난 멸종동물 기록을 수집하고, 이후 관련 연구논문 및 저서, 전시회자료, 정책보고서 등 현대에 구축된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해당 자료의 근거 및 정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후 특정 역사 시기를 사례로 각 시기의 동물 생태·환경적 특성과 변화 추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축기준을 선정하여 DB화 하였다.
  • 본 연구는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멸종동물 관련 호랑이, 표범, 늑대의 출몰 지역에 대한 지도화와 분포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멸종동물 지도화에 활용한 정보는 동물의 출현연대, 출현지역, 개체수, 피해 등 20여 가지 항목으로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기준에 의하여 ‘조선왕조실록’을 선정하고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한 약 400여건 가량의 멸종동물 출현정보를 공간 데이터화하여 DB로 구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조실록 분석을 통해 호랑이, 표범, 늑대에 대한 발견당시의 기록에 근거하여 위치, 개체수, 피해정보, 활동범위 등에 대한 정보를 DB로 구축하여 멸종동물의 지리적 분포와 인간생활과 관련된 공간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동여지도는 무엇인가? “대동여지도”는 근대적 측량이 이루어지기 전 제작된 한반도 지도 가운데 가장 정확한 지 도이며, “해동지도”는 전국 군현(郡縣)을 총망라 하여 지역사회의 변화상을 파악하기 위해 제작 된 국가적 차원의 관찬지도이고, “조선총독부지 도”는 20세기 초의 사회전반을 상세히 기록한 지도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취지에 가장 적합 한 지도로 볼 수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참고하 였다.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을 보완ㆍ수정하기 위한 조치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 覽) 및 기타 사료를 일부 참고하였다.
조선시대 때, 인간 영역의 확대와 동물의 영역 감소가 미친 영향은? 조선시대 말 ∼일제강점기에 외세의 영향이 커지면서 호랑 이, 표범, 늑대 등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동물들에 대한 마구잡이식 사 냥은 호랑이, 표범, 늑대 등 포식자들을 사라지 게 만드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인간 영역의 확대와 동물의 영역 감소로 야생동물과 가축, 야생동물과 인간의 충돌 문제가 일상적으 로 발생하여 동물들 멸종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조선시대에 우리 국토에 어떤 생태 환경이 형성되었나? 조선시대에 우리 국토는 다양한 생태환경이 형성되어 다양한 동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조건 을 갖추고 있었다. 지금은 민화나 사진에서만 볼 수 있는 호랑이, 표범, 여우 등의 동물들도 다수 서식하여, 우리 민족은 현재 멸종된 동물과의 관 계에서 사냥을 하거나 마을이나 민가의 침입으로 인한 피해를 받기도 하였다(Joseonwangjosilok).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