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일 정책 분석을 통한 서식지 생태특성 기반 비오톱 유형 분류 및 조사표 제안
The suggestion for Biotope Types and Field Datasheet based on Habitat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German Policy Analysis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3 no.5, 2020년, pp.99 - 112  

김남신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정성희 (국립수목원 광릉숲보전센터) ,  임치홍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최철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차진열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opose biotope field datasheet and biotope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habitat-based by analyzing the German biotope system. The German system began in 1976 and has established a habitat-based national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Korea institutionalized in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의 비오톱 유형화와 조사표를 제시하기 위해 첫째, 비오톱 개념을 정리하고, 독일의 비오톱 유형화 기준을 분석하여 한국에 적용 가능한 분류체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한국의 비오톱 유형분류체계 개선을 위해 독일의 비오톱 유형 분류체계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세부 목표로 한다.
  • 무생물기반 공간단위 지오톱은 기상, 수문, 토양이 풍화, 침식, 운반에 기여하여 지형경관을 만들기 때문에 지형이 지오톱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생물 서식지로써 지형기반 지오톱과 생물권 비오톱 공간을 포함하고 있는 생태지역 분류에 기초한 비오톱 유형분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생태지역 기반 서식지 생태특성을 반영한 한국의 비오톱 유형분류와 조사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비오톱 분류는 생태계 구성의 기반이 되는 생물군집과 서식지, 그리고 이들이 생태지역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오톱과 비오톱 기반의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 한국의 비오톱 유형분류체계 개선을 위해 독일의 비오톱 유형 분류체계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세부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비오톱 개념을 정리하였고, 독일 비오톱 유형화의 기준을 분석하여 한국의 생태와 환경 특성을 고려한 비오톱 유형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의 비오톱 유형화와 조사표를 제시하기 위해 첫째, 비오톱 개념을 정리하고, 독일의 비오톱 유형화 기준을 분석하여 한국에 적용 가능한 분류체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한국의 비오톱 유형분류체계 개선을 위해 독일의 비오톱 유형 분류체계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세부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비오톱 개념을 정리하였고, 독일 비오톱 유형화의 기준을 분석하여 한국의 생태와 환경 특성을 고려한 비오톱 유형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오톱은 어떠한 공간인가? 생물 군집의 서식공간으로서 비오톱은 생태계 보전관리의 기본 단위이다. 비오톱은 생물과 환경요인이 결합된 안정상태의 생태적 등질 공간이다. 비오톱 유형은 비오톱 구성인자의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생태환경 관리와 보존의 기초단위로 이용된다.
국가 수준의 비오톱 자연생태계 보존과 관리는 어디서 처음 시작되었는가? 비오톱 유형은 비오톱 구성인자의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생태환경 관리와 보존의 기초단위로 이용된다. 국가 수준의 비오톱 자연생태계 보존과 관리는 1976년 독일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독일은 비오톱 유형간 생물지리 설정에 있어, 비오톱 영역들 간 구분과 영역 내 생태적 균질성을 유지하기 위해 비오톱 유형을 분류해 왔고(Stoddart, 1992), 비오톱 유형분류, 조사 및 평가 체계 정립과 유럽연합 분류체계에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표준화 작업을 동시에 추진하여 왔다(Drachenfels 2012)
독일 연방정부는 비오톱 유형별 서식지 결과를 어디에 제시하는가? , 2017). 또한 비오톱 유형 변화에 따른 서식지 관리를 위해 주요 유형별 서식지 요인 분석 결과를 BfN(2017)에서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NatschG.2019. https://www.gesetze-im-internet.de/bnatschg_2009/ 

  2. ChepKemoi J. 2017.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Biotope And A Habitat? https://www.worldatlas.com/articles/what-is-the-difference-between-a-biotope-and-a-habitat.html. 

  3. Choi IK and Lee EH. 2007.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in German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35(5): 73-81. 

  4. Choi IK.Ahn GY and Lee EH. 2007. A comparative study of biotope mapping between Korea and German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21(6): 565-575. 

  5. Choi IK.Oh CH and Lee EH. 2008. The suggestion for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for nationwide applic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22(6): 666-679. 

  6. Choi JW. 2010. Comparisons of classification system of biotope type in major Korean citi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1): 78-86. 

  7. Choi JW.2009.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process of biotope type by suitabl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Procceding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 138-141. 

  8. Choi SH. 2008. Biotope mapping and evaluation in Gangseo-Gu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3); 92-106. 

  9. Drachenfels O.2012.Biotoptypen als erfassungs-und bewertungseinheiten von naturschutz und landschaftsplanung. Vorschlage fur eine notwendige Standardisierung. Natur und Landschaft, 44, 357-363. 

  10. EU Habitats Directive.2019. https://ec.europa.eu/environment/nature/legislation/habitatsdirective/index_en.htm 

  11. Federal government BMU.2017.https://www.bfn.de/Land 

  12. Finck P.Heinze S.Raths U.Riecken U . Ssymank. A. 2017. Rote liste der gefahrdeten biotoptypen Deutschlands: dritte fortgeschriebene fassung. Bundesamt fur Naturschutz. 

  13. Illies J and Botosaneanu L.1963. Problemes et methodes de la classification et de la zonation ecologique des eaux courantes, considerees surtout du point de vue faunistique: Avec 18 figures dans le texte et en supplement. Internationale Vereinigung fur Theoretische und Angewandte Limnologie: Mitteilungen. 12(1): 1-57. 

  14. Lee MC. 1996. A conceptual study of biotope mapping in the city.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1(6): 197-211. 

  15. Leser H. 1991. Landscape ecologie. UTB 521, Eugen UlmerGmbh & Co., Stuttgart. 

  16. LNatSchG NRW. 2019.https://recht.nrw.de/lmi/ owa/br_text_anzeigen?v_id1120050120105539311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9a.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19b. Guidelines for preparing urban ecological status maps. 

  19.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e of Ecology. 2019. A Case Study on the System and Oper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Survey in Germany. 

  20. Nordrhein-Westfalen. 2019. http://methoden.naturschutzinformationen.nrw.de/methoden/de/einleitung 

  21. Oh CH. 2001. Application of biotope map for management of Seoul urban ecosystem, Master's degree, University of Seoul. 

  22. Ra JH. 1999. A study on the urban biotop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2): 129-142. 

  23. Riecken, U., Finck, P., Raths, U., Schroder, E., and Ssymank, A. 2003. Standard-Biotoptypenliste fur Deutschland. Bundesamt fur Naturschutz. 

  24. Stoddart, D.R., 1992. Biogeography of the Tropical Pacific. Pacific Science, 46(2): 276-293. 

  25. Sukopp H and Weiler S. 1988. Biotop mapping and nature conservation strategies in urban areas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Landscape Urban Plann. 15: 39-58. 

  26. Tricart J and KiewietdeJonge C. 1992. Ecogeography and rural management - a contribution to the international geosphere-biosphere programme; John Wiley & Sons,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