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안여객선 안전관리 개선을 위한 실증 분석 - 안전관리 실무 종사자 중심으로 -
Empirical Analysis for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of Coastal Passenger Ship - Focusing on Safety Practitioners -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5 no.5, 2019년, pp.511 - 518  

강민구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  김화영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연안여객선 안전관리 향상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요인을 도출하고, 안전관리 주체 간 인식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안전관리 개선 요인 발굴을 위해 전문가 그룹을 구성 후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요인을 3개의 대분류와 10개의 중분류로 계층화 하였다. 이후 요인 간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해 점검자 그룹(해사안전감독관, 선박운항관리자)과 수검자 그룹(안전 관리책임자, 연안여객선사 관계자)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점검자 그룹에서는 대중교통수단 지정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고, 수검자 그룹에서는 선원복지 지원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중요도 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t-검정을 이용하여 두 그룹 간 안전관리 개선 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 중요도 평가결과와 대부분 일치하였으나 점검 인력 증원, 점검 인력 자격기준 강화, 운항관리 출장소 추가에 있어서는 인식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연안여객선 안전관리 제고를 위한 정책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tract the priority safety improvement factors for coastal passenger ships and analyze the perception gap between groups. To extract the improvement factors, we formed an expert group with maritime safety supervisors, passenger-ship safety inspectors (PSIs), and captains of pa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안여객선 안전관리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안전관리 개선 요인을 파악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연안여객선 안전관리에서 개선되어야할 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개선 요인을 선정하고자 한다. 또한 선정된 안전관리 개선 요인에있어서 연안여객선 안전관리 주체인 점검자와 수검자 간 인식의 차이와 그 원인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연안여객선 안전관리 제고를 위한 개선 요인을 선정하고 요인 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연안여객선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중인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와 기존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3개의 대분류와 10개의중분류로 계층화된 평가요인을 선정하였다.
  • 따라서 연안여객선의 안전관리 수준의 향상을 위해 그동안 시행되어 온 제도들을 보완하고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여객선 안전관리에서 개선되어야할 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개선 요인을 선정하고자 한다. 또한 선정된 안전관리 개선 요인에있어서 연안여객선 안전관리 주체인 점검자와 수검자 간 인식의 차이와 그 원인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여객선이란?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교통수단인 연안여객선은 한 번의 사고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정부는 세월호 사고 이후 관련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연안여객선에 대한 안전관리체계, 선박 안전관련 검사, 연안여객선 선원의 자질 검증을 강화하고 관련 법령에 선박 안전관리 조항들을 강화하거나 신설하였다(Lee et al.
연안여객선에 대한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계기는?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교통수단인 연안여객선은 한 번의 사고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정부는 세월호 사고 이후 관련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연안여객선에 대한 안전관리체계, 선박 안전관련 검사, 연안여객선 선원의 자질 검증을 강화하고 관련 법령에 선박 안전관리 조항들을 강화하거나 신설하였다(Lee et al., 2017).
점검자 그룹이 연안여객선 안전관리 제고에 필요하다고 지적한 내용은? 즉 점검자 그룹에서는 연안여객선 안전관리 개선을 위해 법률적 기반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점검 인력증원을 통해 충분한 안전점검 시간 확보, 도서지역 안전점검체계 구축과 연안여객선 운항관리 출장소를 추가하는 것이 연안여객선 안전관리 제고에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에 수검자 그룹은 점검 인력의 자격기준을 강화하여 안전점검 질적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S. H. (2017), A study on Proposal of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Coastal Ferry,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Mokpo Maritime University. 

  2. Heo, K. J. , J. C. Lee and J. W. Lee (2017), Improving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Passenger Ship: A Policy Implementation Perspective,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Vol. 19, No. 4, pp. 103-132. 

  3. Ju, J. K. and M. K. Lee (2016),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Policy of Seafarers for Enhancing the Safety Environment of Domestic Passenger ships,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Vol. 6, No. 1, pp. 217-239. 

  4. Kim, D. B. , J. Y. Jeong, J. S. Park and Y. S. Park (2015), Development of the Speed Limit Model for Harbour and Waterway(Ⅰ) - Considerations Discrimination for Speed Limit Decis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1, No. 2, pp. 171-178. 

  5. Kim, J. H.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ptions of the Maritime Safety Supervisor System, Law&Policy Review, Vol. 21, No. 2, pp. 167-191. 

  6. Kim, J. H. , J. J. Choi and H. Y. Kim (2017), Analysis of Safety Management Efficiency by Coastal Passenger Ship Companies: Development of Safety Management Evaluation Standa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3, No. 6, pp. 646-651. 

  7. Kim, M. S. (2019), An Alternative way to manage Manpower of Passenger-ship Safety Inspector on the Basis of Use of Coastal Passenger ships,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8. Kim, T. I. , S. H. Park and Y. J. Lee (2018),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for Coastal Passenger Maritime Transportation, Korea Maritime Institute research Issue Research Report, pp. 1-105. 

  9. Ko, M. S. (2018), A Study on the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Ferry after Sewol Ferry Incident: Focused on Archipelago Route in Jeollanamdo, Journal of Korean Maritime Police Science, Vol. 8, No. 3, pp. 27-51. 

  10. Korea coast guard (2017), Statistical yearbook of maritime distress in 2017, p. 113. 

  11. Korea Seafarer`s Welfare Employment Center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Korean seafarer in 2018, p. 235. 

  12.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 pp. 563-575. 

  13. Lee, H. C. and H. Y. Ryu (2018), Establishment of the Passenger Safety Authority to Support Coastal Passenger Safety, Korea Maritime Institute Weekly Report, Vol. 83, pp. 1-21. 

  14. Lee, H. H. , S. C. Kim and D. B. Kim (2017), A Study on the Scope of Passenger Vessels and Dangerous Goods Carriers Subject to Maritime Traffic Safety Audi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3, No. 7, pp. 767-774. 

  15. Lee, M. H. and J. H. Lee (2015), A Study on Physical Security factors of National Major Facilities -Focussed on Port Security-,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ol. 15, No. 6, pp. 45-53. 

  16. Lee, S. M.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aritime Safety Supervisor System for the Reinforcement of Coastal Ship Safety Contr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4, No. 1, pp. 43-55. 

  17. Song, Y. Y. (2018),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oduction of Leadership & Teamwork Education System and the Reduction of Marine Accidents for Coastal Ferry Workers,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Mokpo Maritime University. 

  18. Statistics Korea (2019), Passenger numbers in domestic passenger ship, Retrieved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64 (accessed 7th May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