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10년 한반도 산림의 이해: 조선임야분포도의 수치화를 중심으로
Understanding Forest Status of the Korean Peninsula in 1910: A Focus on Digitization of Joseonimyabunpodo (The Korean Peninsula Forest Distribution Map)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8 no.3, 2019년, pp.418 - 428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생태연구과)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1910년에 제작된 조선임야분포도의 산림정보를 해석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조선임야분포도 제작의 바탕이 되는 임적조사의 배경, 추진과정, 결과와 그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종이 도면으로 남아 있는 조선임야분포도의 정보를 수치화하여 산림상태, 임상 면적 정보를 생산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10년 한반도를 현재의 남한과 북한 지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할 경우, 북한지역이 성림지의 73%가 분포할 정도로 남한지역보다 좋은 산림을 보유하고 있었다. 당시 남한지역은 치수발생지와 무립목지가 전체 산림의 8할을 차지할 정도로 황폐화된 산림이 많았다. 현재 백두산과 혜산이 포함된 양강도 산림의 8할이 성림지로 구성되어 있을 정도로 우량한 산림을 보유하고 있었다. 소나무는 남한지역이 북한지역보다 약 2.7배 많이 분포하였다. 소나무 이외의 침엽수는 대부분 북한지역에 분포하였다. 특히 남한지역 임야의 53%, 입목지 면적의 72%가 소나무로 구성되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larify the forest information shown in the Korean Peninsula Forest Distribution Map (KPFDM) printed in 1910. First, the background, process, results, and reliability of the Forest Survey Project (1910), which is the basis of the KPFDM, were evaluated. Ne...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1910년 임적조사(林積調査)의 결과로 제작된 조선임야분포도(朝鮮林野分布圖)의 산림정보를 해석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1910년은 조선왕조의 마지막이자 조선총독부의 통치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임야분포도에 담긴 속성 정보의 수치화와 임상 면적의 분할로 얻은 결과는 무엇인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도상에 표시된 소나무와 기타 침엽수, 활엽수의 면적을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즉, 조선임야분포도에 담긴 속성 정보의 수치화와 임상 면적의 분할로 얻은 결과는 지금까지 파악하지 못하였던 1910년 한반도의 임상 정보를 정량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산림정보를 해석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런 이유로 조선임야분포도에 담긴 산림정보는 조선후기 사회․경제 상황과 산림정책의 결과물이자 조선총 독부가 산림정책을 수립하는 데 출발점을 제공한 기초자료였다. 조선임야분포도는 한반도의 산림 상태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자료로써 큰 가치가 있다. 단순하게 산림이 좋다거나 황폐되었다는 정성적 평가를 넘어 어느 지역이 얼마만큼의 산림(성림지와 치수 발생지)과 황폐지(무립목지)가 존재하였다는 정량적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이 자료는 1910년 이후 현재까지 남북한의 산림자원 변화 추이를 공간적으로 비교·분석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조선임야분포도란 무엇인가? 조선임야분포도는 50만분의 1 지도로, 도별 산림상태, 임상 면적과 소유별 임야 면적을 담고 있는 종이 지도이다. 이미 임적조사의 결과는 이 사업을 수행한 사이토 오토사쿠(齋藤音作)의 회고록(Saito, 1933)과 조선총독부통 계연보의 임야통계에 1910년 기준 한반도의 도별 산림상 태와 소유별 임야면적이 제시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ae, J.S. 2000. A Study on the Forest Survey Project (1910). Journal of Korean Forest Science 89(2): 260-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Joseon Forest Association. 1936. Eternal Sleep of Consultant Saito. Monthly Joseon Forest Association Report 137: 58-60. (In Japanese) 

  3. Joseon Government-General. 1910. Joseonimyabunpodo (The Korean Peninsula Forest Distribution Map). Seoul, Korea. (In Japanese) 

  4. Joseon Government-General. 1911. Statistical Yearbook of Joseon. Seoul, Korea. (In Japanese) 

  5. Kim, K.M., Kim. C.M., Jun, E.J. and Kong, J.S. 2008. Standards for 1:25,000 scale digital forest type map production. NIFoS Report 318.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pp. 259. 

  6. Saito, O. 1933. Forest Survey Project in the rule of Korean Government. Forestry Review of Joseon, Seoul, Korea. (In Japanese) 

  7. Saito, O. 1935a. Memory of the beginning of forest policy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 (1). Monthly Joseon Forest Association Report 127: 16-22. (In Japanese) 

  8. Saito, O. 1936b. Memory of the beginning of forest policy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 (4). Monthly Joseon Forest Association Report 131: 40-47. (In Japanese) 

  9. Saito, O. 1935c. Memory of the beginning of forest policy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 (5). Monthly Joseon Forest Association Report 132: 35-44. (In Japanese) 

  10. Saito, O. 1936b. Memory of the beginning of forest policy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 (2). Monthly Joseon Forest Association Report of Joseon 128: 13-19. (In Japanese) 

  11. Saito, O. 1936a. Memory of the beginning of forest policy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 (3). Monthly Joseon Forest Association Report 130: 26-33.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