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이 대학생의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University Student's Atten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9, 2019년, pp.127 - 132  

오명화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은상 (광주 수완병원 스포츠 재활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의 집중력은 워킹메모리에 속하며 경두개직류전기자극은 워킹메모리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경두개직류전기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이 대학생들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 37명의 대학생($23.08{\pm}3.33$세)을 대상으로 tDCS그룹과 대조군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2018년 9월 3일부터 28일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tDCS그룹은($n_1=19$) 2mA로 13분씩 2회 26분간 적용하였으며, 대조군($n_2=18$)은 패드를 붙인 후 작동을 시키지 않았고 13분씩 2회 26분간 적용하였다. 연구는 주 3회 총 4주간 총 12회 진행되었다. 주의 집중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검사를 하였으며, 연구결과 tDCS그룹이 주의집중력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SMR파(Sensory motor rhythm, p<0.01, 95% CI: -1.955, -0.459), 중간 베타파(p<0.05; 95% CI: 0.027, 0.943) 그리고 파워 비율(SMR+중간베타파/ 세타파, p<0.01, 95% CI: -1.764, -0.315)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집중력 하락시 증가하는 세타파는 유의한 감소를 얻지 못했다(p>0.05). 결과값과 같이 tDCS적용시 주의집중력의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본 연구를 기반으로 발전시켜 주의력 결핍환자들에게 적용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the at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after being give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two group (tDCS vs. Control). tDCS was applied to 37 university students ($23.08{\pm}3.33years$). The tDCS g...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두피에 미세전류를 통전시켜 뇌세포들의 흥분에 변화를 유발하는 tDCS가 다양한 뇌 기능을 조율할 수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2, 6, 13, 14, 16]. 그 중 주의 집중영역에 해당하는 작업 기억에 효과적이라는 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tDCS가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설하에 뇌파를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SMR파와 middle beta파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 Theta 파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중재방법을 활용하고 주의 집중력이 작업기억에 속함으로써 tDCS가 주의 집중력에 유의한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을 실시하여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DCS란 무엇인가? tDCS는 두피에 위치한 두 개의 전극사이에서 발생하게 되는 미세 직류전류를 통하여 뇌의 겉질을 활성화 또는 감소시키는 뇌 자극 방법이다[11, 12]. Lippold 와 Redfearn[13]의 연구에서 양극으로 자극시 대상자의 각성, 정신과 신체의 고양을 나타낸 반면, 음극으로 자극시 침착함과 무감정의 태도를 보였다.
현재 시행되는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의 문제점은? 이런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 되어 왔으며, 로봇 교육[7], 명상[8], 음악[9], 뉴로 피드백[10]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방법들은 시간과 비용면에서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시간과 비용의 효율성을 따졌을 때 쉽게 접근하기 힘들뿐 아니라 그 효율성 또한 의문적이다. 그런 반면에 Fregni 등[11]의 연구에 의하면 주의 집중력에 해당하는 작업기억 항상에 경두개직류전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 lation, tDCS)이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주의 집중력이 낮을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주의 집중력이 높은 경우, 학습 시 중요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며, 그 정보에 대해 주의 집중을 기울여 중요한 정 보를 효과적으로 학습 할 수 있게 한다[2]. 반면 주의 집중력이 낮을 경우에 효과적인 대처 능력의 저하와 불필요 정보나 자극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임으로써 비효율적인 학습을 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 Choung,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Legal Countermeasure against Pornography via Cellular Phone and Internet", Korean Journal of Criminology, Vol. 22, No. 1, pp.51-74, 2010. DOI: https://doi.org/0102-2012-320-002399971 

  2. M. Y. Lee, "Effect of Irritating video on Concentration and Learning",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2016, No. 5, pp.157-161, 2016. 

  3. K. Koo, Effect of Du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Working Memory, MSc,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2010. 

  4. R. B. Kim. Effect of Holistic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tress and Attention concentration of Juvenile Delinquents, Ph. 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07. 

  5. M. S. Seo.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veness and Grades, Master of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004. 

  6. R. M. Aronson. Attentional and interpersonal factors as discriminators of elite and non-elite gymnasts , Ph. D, Boston University, 1983. 

  7. H. W. Nam, J. H. Lee, "The effect of the hands on activity through the robot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of ADHD childre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Vol. 27, No. 1, pp.181-199, 2014. DOI: https://doi.org/G704-000635.2014.27.1.010 

  8. Y. M. Kim, J. Y. Kim, "The Effects of Meditation Program on Children's Emotional Stability and Attentiveness",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studies, Vol. 14, No. 1, pp.1-25, 2007. 

  9. H. J. Chong, "The effect of Music Cognitive Program on Attention Spa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e Behavior",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16, No. 3, pp.55-71, 2008. DOI: https://https://doi.org/G704-001282.2008.16.3.001 

  10. A. Bussalb, M. Congedo, Q. Barthelemy, O. David, A. Eric et al., "Clinical and Experi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Efficacy of Neurofeedback in ADHD: A Meta-Analysis", Frontiers in psychiatry, Vol. 10, No. pp.35, 2019. DOI: https://doi.org/10.3389/fpsyt.2019.00035 

  11. M. A. Nitsche, D. Liebetanz, A. Antal, N. Lang, F. Tergau, W. Paulus, "Modulation of cortical excitability by weak direct current stimulation--technical, safety and functional aspects", Supplements to Clinical neurophysiology, Vol. 56, No. pp.255-276, 2003. DOI: https://doi.org/10.1016/S1567-424X(09)70230-2 

  12. M. A. Nitsche, W. Paulus, "Excitability changes induced in the human motor cortex by weak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he Journal of physiology, Vol. 527 Pt 3, No. pp.633-639, 2000. DOI:https://doi.org/10.1111/j.1469-7793.2000.t01-1-00633.x 

  13. O. Lippold, J. Redfearn, "Mental changes resulting from the passage of small direct currents through the human brain",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110, No. 469, pp.768-772, 1964. DOI: https://doi.org/1 0.1192/bjp.110.469.768 

  14. F. Fregni, P. S. Boggio, M. Nitsche, F. Bermpohl, A. Antal et al.,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f prefrontal cortex enhances working memory", Experimental brain research, Vol. 166, No. 1, pp.23-30, 2005. DOI: https://doi.org/10.1007/s00221-005-2334-6 

  15. D. Mannarelli, C. Pauletti, A. Curra, L. Marinelli, A. Corrado et al., "The Cerebellum Modulates Attention Network Functioning: Evidence from a Cerebellar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Attention Network Test Study", Cerebellum (London, England), Vol., No. 2019. DOI:https://doi.org/10.1007/s12311-019-01014-8 

  16. D. Liebetanz, M. A. Nitsche, F. Tergau, W. Paulus, "Pharmacological approach to the mechanisms of transcranial DC-stimulation-induced after-effects of human motor cortex excitability", Brain : a journal of neurology, Vol. 125, No. Pt 10, pp.2238-2247, 2002. DOI: https://doi.org/10.1093/brain/awf238 

  17. J. H. Lee, S. S. Kim, S. Y. Yuh, J. H. Lee, J. H. Choi,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Concentration of Attention", PNF and Movement, Vol. 11, No. 2, pp.9-19, 2013. 

  18. M. Fukai, T. Bunai, T. Hirosawa, M. Kikuchi, S. Ito et al., "Endogenous dopamine release under transcranial direct-current stimulation governs enhanced attention: a study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Translational psychiatry, Vol. 9, No. 1, pp.115, 2019. DOI: https://doi.org/10.1038/s41398-019-0443-4 

  19. K. Lugger, D. Flotzinger, A. Schlogl, M. Pregenzer, G. Pfurtscheller. "Feature extraction for on-line EEG classification using principal components and linear discriminants".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and Computing. Vol.36, No.3, pp. 309-14, 1998. DOI: https://doi.org/10.1007/bf02522476 

  20. E. S. Lee. EFFICACY OF CERVICAL SENSORY FEEDBACK FOR FORWARD HEAD POSTURE ON HEADACHE SEVERITY AND PHYSIOLOGICAL FACTORS IN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Ph. D, Shamyook university, 2018. 

  21. Lubar JF, "Discourse on the development of EEG diagnostics and biofeedback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s", Biofeedback and self-regulation, Vol. 16, No. 3, pp.201-225, 1991. DOI: https://doi.org/10.1007/BF01000016 

  22. B. A. Coffman, M. C. Trumbo, V. P. Clark, "Enhancement of object detection with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attention", BMC neuroscience, Vol. 13, No. pp.108, 2012. DOI: https://doi.org/10.1186/1471-2202-13-108 

  23. A. Antal, E. T. Varga, T. Z. Kincses, M. A. Nitsche, W. Paulus, "Oscillatory brain activity an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humans", Neuroreport, Vol. 15, No. 8, pp.1307-1310, 2004. DOI: https://doi.org/10.1097/01.wnr.0000127460.08361.84 

  24. J. D. Green, A. A. Arduini, "Hippocampal electrical activity in arousal", Journal of neurophysiology, Vol. 17, No. 6, pp.533-557, 1954. DOI: https://doi.org/10.1152/jn.1954.17.6.533 

  25. E. Boran, T. Fedele, "Persistent hippocampal neural firing and hippocampal-cortical coupling predict verbal working memory load", Science advances, Vol. 5, No. 3, pp.eaav3687, 2019. DOI: https://doi.org/10.1126/sciadv.aav3687 

  26. E. J. Kim , W. R. Kim, Y. K. Lee, E. H. Park, S K. Park et al., " Effects of rTMS on the hippocampal plasticity in the chronic mild stress model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Vol. 18, No. 4, pp.339-353, 2006. DOI: https://doi.org/G704-SER000000667.2006.18.4.002 

  27. C. Coussement, P. Maurage, J. Billieux, A. Heeren, "Does Change in Attention Control Mediate the Impact of tDCS on Attentional Bias for Threat? Limited Evidence from a Double-blind Sham-controlled Experiment in an Unselected Sample.", Psychol Belg, Vol. 15, No. 59, pp.16-32, 2019. DOI: https://doi.org/10.5334/pb.44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