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소 허혈성 뇌손상 흰쥐 모델에서 경두개직류전기자극이 앞다리 운동감각 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mproved Forelimb Sensorimotor Function on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a Focal Ischemic Brain Injury Rat Mode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4, 2011년, pp.273 - 282  

김기도 (한국국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심기철 (동신대학교 보건복지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경윤 (동신대학교 보건복지대학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소 허혈성 뇌손상 흰쥐 모델에서 tDCS의 자극 적용시간을 달리하였을 때, 앞다리 운동감각 기능변화와 신경영양인자(GAP-43)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손상 모델은 Sprague -Dawley계 흰쥐 80마리를 'Longa'방법을 이용하여 중대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을 폐색하여 유발하였고, 실험군을 4개로 나누었다; 실험군I은 허혈성 뇌손상 유발군(n=20), 실험군II는 허혈성 뇌손상 유발 후 tDCS(10분) 적용군(n=20), 실험군III은 허혈성 뇌손상 유발 후 tDCS(20분) 적용군(n=20), 실험군IV는 허혈성 뇌손상 유발 후 tDCS(30분) 적용군(n=20)으로 나누었다. 앞다리운동감각 기능검사를 위해 수정된 앞다리배치 검사와 단일 팰릿 닿기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신경가소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로 운동감각 영역에서의 GAP-43 단백질 발현을 관찰하였다. 앞다리운동감각 검사는 14일에서 실험군III (p<0.05)이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단일 팰릿 닿기 검사는 14일에서 실험군III(p<0.01)과 실험군IV(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면역조직학적 검사는 14일에 실험군III이 다른 군들에 비해 현저한 면역양성반응의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0.1 mA의 강도로 20분간 적용했을 때가 앞다리운동감각 기능과 신경가역성 인자 GAP-43 발현에 가장 좋은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mprove forelimb sensorimotor function and neurotrophic factor(GAP-43) expression when differing an application time of tDCS in ischemic brain injury rat model(pre, $1^{st}$, $7^{th}$, $14^{th}$). Focal ischemic brain inj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Whishaw 등[20]의 연구방법에 따라 앞다리의 근위 및 원위지절의 감각과 정교한 운동 기능을 검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5 × 35 × 30 ㎝의 투명아크릴로 제작하였고, 정면 벽에는 폭 1 ㎝의 수직 틈(slit)을 바닥으로 부터 높이 2 ㎝에서 시작하여 높이 15 ㎝까지 만들고, 벽 밖의 수직 틈 정면에 바닥으로부터 높이 3 ㎝, 폭 2㎝의 선반을 만들었다.
  • 본 연구는 국소 허혈성 뇌손상 흰쥐 모델을 대상으로 일정 강도(0.1 ㎃)하에 tDCS의 적용시간(10, 20, 30분) 을 달리하여 앞다리 감각운동성 기능회복 및 GAP-43단백질 발현 변화를 평가하여 tDCS의 임상적 효율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소 허혈성 뇌손상 흰쥐 모델에 두피를 통한 tDCS의 적용시간을 다르게 하였을 경우, 앞다리 운동감각의 운동학적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 GAP-43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기능 호전과 신경재생 정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tDCS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DCS 적용 시 어떤 현상이 유발될 수 있는가? tDCS는 운동 훈련 프로토콜이나 회복의 인식을 증가시키기 위한 자극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다른 뇌 자극 방법들에 비해 훨씬 용이하며 실험설계를 하거나 평가를 위한 특별한 연구들에서 널리 시용되고 있다[4]. tDCS 적용 시 약간의 따끔거림, 두통, 피로감, 오심 등이 유발될 수 있으나 자극 후 곧 완화되어 큰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보고된다[5]. Liebetanz 등[6]은 tDCS적용시 뇌 흥분성의 가역적 변화는 극성 뿐 아니라 전류의 세기, 자극 기간 등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절된다고 하였다.
비침습적 대뇌피질을 자극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비침습적 대뇌피질을 자극하는 방법으로는 반복 경두개자기자극(repea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과 경두개직류전기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이 대표적이다[4]. tDCS는 운동 훈련 프로토콜이나 회복의 인식을 증가시키기 위한 자극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다른 뇌 자극 방법들에 비해 훨씬 용이하며 실험설계를 하거나 평가를 위한 특별한 연구들에서 널리 시용되고 있다[4].
경두개직류전기자극의 특징은? 비침습적 대뇌피질을 자극하는 방법으로는 반복 경두개자기자극(repea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과 경두개직류전기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이 대표적이다[4]. tDCS는 운동 훈련 프로토콜이나 회복의 인식을 증가시키기 위한 자극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다른 뇌 자극 방법들에 비해 훨씬 용이하며 실험설계를 하거나 평가를 위한 특별한 연구들에서 널리 시용되고 있다[4]. tDCS 적용 시 약간의 따끔거림, 두통, 피로감, 오심 등이 유발될 수 있으나 자극 후 곧 완화되어 큰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보고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 Priori, A. Berardelli, S. Rona, N. Accornero, and M. Manfredi, "Polarization of the human motor cortex through the scalp," Neuroreport, Vol.13, No.9, pp.2257-2260, 1988. 

  2. M. A. Nitsche and W. Paulus, "Excitability changes induced in human motor cortex by weak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J Physiol, Vol.527, No.3, pp.633-639, 2000. 

  3. C. Fraser, M. Power, S. Hamdy, J. Rothwell, D. Hobday, I. Hollander, P. Tyrell, A. Hobson, S. Williams, and D. Thompson, "Driving plasticity in human adult motor cortex is associated with improved motor function after brain injury," Neuron, Vol.34, No.5, pp.831-840, 2002. 

  4. B. R. Webster, P. A. Celnik, and L. G. Cohen,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in stroke rehabilitaton," NeuroRx, Vol.3, No.4, pp.474-481, 2006. 

  5. C. Poreisz, K. Boros, A. Antal, and W. Paulus, "Safety asp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concerning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Brain Res Bull, Vol.72, No.4-6, pp.208-214, 2007. 

  6. D. Liebetanz, M. A. Nitsche, F. Tergau, and W. Paulus, "Pharmacological approach to the mechanisms of transcranial DC-stimulation-induced after-effects of human motor cortex excitability," Brain, Vol.125, No.10, pp.2238-2247, 2002. 

  7. M. A. Nitsche, S. Doemkes, T. Karakose, A. Antal, D. Liebetanz, N. Lang, F. Tergau, and W. Paulus, "Shaping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f the human motor cortex," J Neurophysiol, Vol.97, No.4, pp.3109-3117, 2007. 

  8. A. Prior, "Brain polarization in humans: a reappraisal of an old tool for prolonged non-invasive modulation of brain excitability," Clin Neurophysio, Vol.114, No.4, pp.589-595, 2003. 

  9. R. J. Nudo, E. J. Plautz, and S. B. Frost, "Role of adaptive plasticity in recovery of function after damage to motor cortex," Muscle Nerve, Vol.24, No.8, pp.1000-1019, 2001. 

  10. D. L. Adkins-Muir and T. A. Jones, "Cortical electrical stimulation combined with rehabilitative training: enhanced functional recovery and dendritic plasticity following focal cortical ischemia in rats," Neurol Res, Vol.25, No.8, pp.780-788, 2003. 

  11. J. A. Kleim, R. Bruneau, P. VandenBerg, E. MacDonald, R. Mulrooney, and D. Pocock, "Motor cortex stimulation enhances motor recovery and reduces peri-infarct dysfunction following ischemic insult," Neurol Res, Vol.25, No.8, pp.789-793, 2003. 

  12. A. K. McAllister, L. C. Katz, and D. C. Lo, "Neurotrophins and synaptic plasticity," Annu Rev Neurosci, Vol.22, pp.295-318, 1999. 

  13. L. I. Benowitz and A. Routtenberg, "An intrinsic determinant of neuronal development and plasticity," Trends Neurosci, Vol.20, No.2, pp.84-91, 1997. 

  14. D. Liebetanz, F. Klinker, D. Hering, R. Koch, M.A. Nitsche, H. Potschka, W. Loscher, W. Paulus, and F. Tergau, "Anticonvulsant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current stimulation(tDCS) in the rat cortical ramp model of focal epilepsy," Epilepsia, Vol.47, No.7, pp.1216-1224, 2006. 

  15. D. Liebetanz, R. Koch, S. Mayenfels, F. Konig, W. Paulus, and M. A. Nitsche, "Safety limits of cath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rats," Clin Neurophy, Vol.120, No.6, pp.1161-1167, 2009. 

  16. J. B. Bederson, L. H. Pitts, M. Tsuji, M. C. Nishimura, R. L. Davis, and H. Bartkowski, "Rat middle cerebral atery occlusion: evaluation of the model and development of a neurologic examination," Stroke, Vol.17, No.3, pp.472-476, 1986. 

  17. E. Z. Longa, P. R. Weinstein, S. Carlson, and R. Cummins, "Reversible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without craniectomy in rats," Stroke, Vol.20, No.1, pp.84-91, 1989. 

  18. 김상준, 뇌졸중 백서에서 반복적 경두개 직류 전기 자극에 의한 운동 기능 회복 기전,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9. S. W. Jeong, K. Chu, K. H. Jung, S. U. Kim, M. Kim, and J. K. Roh, "Human neural stem cell transplantation promotes functional recovery in rats with experimental intracerebral hemorrhage," Stroke, Vol.34, No.9, pp.2258-2263, 2003. 

  20. I. Q. Whishaw, W. T. O'Connor, and S. B. Dunnett, "The contributions of motor cortex, nigrostriatal dopamine and caudate-putamen to skilled forelimb use in the rat," Brain, Vol.109, No.5, pp.805-843, 1986. 

  21. G. Paxinos, and C. Watson, The rat brain in stereotaxic coordin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Inc., pp.13-38, 2005. 

  22. Y. H. Kwon, M. H. Ko, S. H. Ahn, Y. H. Kim, J. C. Song, C. H. Lee, M. C. Chang, and S. H. Jang, "Primary motor cortex activation by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the human brain," Neurosci Lett, Vol.435, No.1, pp.56-59, 2008. 

  23. P. S. Boggio, L. O. Castro, E. A. Savagim, R. Braite, V. C. Cruz, R. R. Rocha, S. P. Rigonatti, M. T. Silva, and F. Fregni, "Enhancement of non-dominant hand motor function by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Neurosci Lett, Vol.404, No.1-2, pp.232-236, 2006. 

  24. F. Hummel, P. Celnik, P. Giraux, A. Floel, W. H. Wu, C. Gerloff, and L. G. Cohen, "Effects of non-invasive cortical stimulation on skilled motor function in chronic stroke," Brain, Vol.128, No.3, pp.490-499, 2005. 

  25. N. Lang, H. R. Siebner, N. S. Ward, L. Lee, M. A. Nitsche, W. Paulus, J. C. Rothwell, R. N. Lemon, and R. S. Frackowiak, "How does transcranial DC stimulation of the primary motor cortex alter regional neuronal activity in the human brain?," Eur J Neurosci, Vol.22, No.2, pp.495-504, 2005. 

  26. 고명환, E. M. Wassermann, 서정환, 김연희, 피질기저핵변성 환자에서 경두개 직류전류 자극 후 실행증 및 손기능 호전, 대한재활의학회지, Vol.31, No.3, pp.278-282, 2007. 

  27. T. M. Barth, T. A. Jones, and T. Schallert, "Functional subdivisions of the rat somatic sensorimotor cortex," Behav Brain Res, Vol.39, No.1, pp.73-95,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