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폭력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in the Child Viole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9, 2019년, pp.362 - 371  

서영민 (아동행복연구소) ,  신남주 (아동행복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학교폭력이 하향화됨에 따라 유아기 예방교육 실행을 위한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아동폭력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C유치원 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에서 주로 발생하는 아동폭력 관련 유아 문제행동은 신체적 폭행, 공격성, 언어폭력, 위협과 협박, 따돌림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아동폭력 발생 시 주로 직접개입법을 사용하나 많은 업무와 높은 교사 대 유아 비율로 적절한 개입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이에 교사들은 현재보다 낮은 교사 대 유아 비율 적용 또는 각 반 부담임 배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셋째, 교사들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아동폭력 예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적절한 교수 방법으로는 문제행동 발생 직후 상호작용, 전체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대그룹 활동, 구체적인 상황별 멀티미디어 교육자료 그리고 부모교육 등을 제시하였다. 넷째, 교사들은 아동폭력 예방교육 실행 시 교육을 통해 문제행동이 학습되어 흉내 내는 일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발생하는 아동폭력 관련 문제행동의 유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s of child violence for identifying the site's needs for the implementation of preventiv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child violence. To this end, nine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epth. From th...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교사들은 유아 행동 관찰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교사 대 유아 비율을 현재보다 낮추거나 반별로 부담임 배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언어폭력의 경우 가정에서 학습되어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정과 연계하여 교육이 가능하도록 유아 아동폭력 관련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자료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에게 면담 내용을 확인하는 참여자 확인 과정을 거쳤으며, 자료 분석에 2인의 연구자가 함께 참여하여 유목화한 범주에 대해 논의하는 과정을 거치는 삼각검증의 방법을 활용하였다[24]. 마지막으로 일차적으로 분석된 자료를 유아교육 전공자 2인과 유아교육 전문가 1인에게 자료 분석과 해석에 대한 검증 절차를 거쳐서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아동폭력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치원에서 일어나는 아동폭력의 유형은 신체적 폭행, 공격성, 언어폭력, 위협과 협박, 따돌림 등이 있으며, 교사들은 아동폭력 발생 시 효과적인 직접개입을 위한 구체적인 상호작용방법 제공과 더불어 현재보다 낮은 교사 대 유아 비율 또는 부담임 배치를 필요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최근 아동폭력이 하향화됨에 따라 유아기 예방교육 실행을 위한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아동폭력에 대한 집단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아기 아동폭력 예방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집단 심층면담을 통해 유치원에서 일어나는 아동폭력 관련 문제행동의 유형 뿐 만 아니라 유아 아동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아동폭력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경험을 들여다봄으로써 유아 아동폭력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폭력이란 무엇인가? 학교폭력이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하는 상해, 폭력, 감금, 협박, 약취·유인, 명예훼손·모욕, 공갈, 강요·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한다[1]. 학교폭력이 발생하던 초기에는 학생 개인 대 개인 싸움, 학교 대학교, 또는 학교 내 집단 패싸움 등의 신체적인 가해행위와 언어적 폭력을 의미하였으나, 최근에는 심리적 위협과 집단의 따돌림 또한 학교폭력에 포함된다 [2].
학교폭력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학교폭력이 발생하던 초기에는 학생 개인 대 개인 싸움, 학교 대학교, 또는 학교 내 집단 패싸움 등의 신체적인 가해행위와 언어적 폭력을 의미하였으나, 최근에는 심리적 위협과 집단의 따돌림 또한 학교폭력에 포함된다 [2]. 어떤 학생이 힘의 우위에 있는 개인 또는 집단 학생 으로부터 심리적인 소외감과 극도의 불안감을 느끼고 신체적인 상처와 불리한 손해를 감수하고있는 상태라면 학교폭력이 발생 된 것으로 판단한다[3,4]. 학교폭력을 경험한 대부분의 피해 학생들은 학교결석, 학교활동 기피, 등교에 대한 두려움[5] 외에도 학업 성취도와 성적 저하로 학업을 포기하거나 스트레스 때문에 자살을 생각하기도 한다[6].
학교폭력 대책과 예방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 중 따돌림은 여아들 사이에서 90% 이상 일어나며, 남아들 사이에서는 공격정인 행동이 98% 이상 나타나는 등 아동폭력에 성별적 차이가 나타난다고 했다[11]. 미국의 범죄자들의 성장과정 및 개인사를 조사한 Karr-Morese와 Wiley은 ‘영유아시기에 공격성과 폭력성의 씨앗이 자리 잡을 수도 있다’고 하면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영유아기의 중재및 예방 교육이 필요성을 강조하였다[11]. 이러한 연구들은 영유아기에 발현되는 폭력행동을 중재하거나 예방하지 않으면 아동·청소년기의 폭력적 행동이 심각해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아동기의 경미한 형태의 공격행동은 이후의 심각한 폭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선진국에서는 이미 학교폭력에 취학한 아동을 선별하고 이들에게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aw on th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of School Violence, [Enforcement on May 1, 2012[Presidential Decree No.23689, March 30, 2012 Full Revision]]. 

  2. H. G. Hwang, H. G. Yoon, J. Y. Kim, H. J. Park and S. H. Kim, "Preventing School Violence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for Infant Teachers" Gyung-gi: Yangseowon, 2018. 

  3. J. H. Song, G. S. Kim, S. H. Park, L. H. An, L. S. Oh et al,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of School Violence" Seoul: Hakjisa, 2013. 

  4. T. G. Yang, "The Status of School Violence and Efficient Measures-Focused on media", a Collection of Trearises of Police Science Vol.7, No.2, pp.459-492, Oct. 2012. DOI: http://doi.org/10.16961/polips.2016.11.3.211 

  5. J. H. Lee,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Alternatives in the School Violence of Youth", Pyong-Taek Review Vol.9, No.2, pp.135-156, 1997. 

  6. J. H., Hoover, R., Oliver, R. J. Hazler, "Bulling: Perceptions of adolescent victims in the Midwestern USA",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Vol.13, No.1, pp.5-16, 1992. 

  7. A. M. Ambert, "A qualitative study of peer abuse and its effects: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6, No.1, pp.119-130, 1994. 

  8. D. Olweus, Bull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Oxford: Blackwell, 1993. 

  9. H. J. Kwak, M. H. Kim,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aking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8, No.6, pp.263-281, 2014. DOI: https://doi.org/G704-000814.2014.18.6.010 

  10.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 white paper on youth,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1. 

  11. E. S. Kim, E. Y. Choi, A. R. Cho,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Humanity Education of Infants and Children to Prevent School Violence, Institute for Child Care Policy, 2013. 

  12. H. G. Hwang, H. G. Yoon, J. Y. Kim, H. J. Park, S. H. Kim, Korean Association of School Violence Counseling, School Violence Counseling Theory Practicality, Seoul: Yangseowon, 2013. 

  13. J. H. Ko,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ntal Health of Victims and Victims of School Violence ,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2009. 

  14. S. M. Chae, , A Study on the Youth's Perceptuion of School Violence, Master's thesis, Wonkwnag University, Iksan-si, Korea, 2011. 

  15. S. Y. Kim,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Living Map for Students ,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si, Korea, 2009. 

  16. J. Y. Kim, Teachers and Students' Awareness of the Effectiveness of School Violence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si, Korea, 2013. 

  17. J. S. An, A Study on the Role and Recognition of Teachers to Prevent School Violence,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2006. 

  18. J. K. Song, Comparis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Opinions on School Violence,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si, Korea, 2008. 

  19. E. J. Lee, "Perceptions of Children and Parents toward School Violence o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Vol.11, No.2, pp.291-317 Oct. 2007. DOI: http://doi.org/G704-000427.2007.11.2.005 

  20. H. J. Kwak, M. H. Kim, "An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School Violence-related Training",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0, No.4, pp.217-236, 2016. DOI: https://doi.org/G704-000814.2016.20.4.002 

  21. J. A. You, E. S. Kim, "Recognition of students' parents about kindergarten school violence", Open Infant Education Association, Vol.21, No.4, pp.523-547, 2016. DOI: https://doi.org/G704-000666.2016.21.4.004 

  22. E. J. Sim, Study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for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in preschool,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017. 

  23. Y. C. Kim,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 Academy press, 2016. 

  24. M. E. Graue & J. J. Walsh, Studying Children in Context: Theories, Methods and Ethics, Thousand Oaks, CA: SAGE, 1998. 

  25. S. A. Eman & A. G. Marzoka, "Effectiveness of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Aggressive Behaviors among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Vol.7, No.4, pp.116-123, 2017. DOI: https://doi.org/G704-000666.2016.21.4.004 

  26. Y. R. Moon, "Prevention and Counseling of School Violence" Seoul: Hakjisa, 20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