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Learned Helplessness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9, 2019년, pp.420 - 431  

설염추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 학습된 무기력,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다문화 가정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93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는 양육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육 스트레스는 학습된 무기력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는 문화적 차이와 새로운 사회에 적응해야 하는 환경 속에서 자아분화 수준을 높이는 것이 양육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influence of self-differentiation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ir learned helplessness. The study deter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llowing variables: self-differentiation, learned helplessness, and the parenti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학습된 무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에 대한 영향 관계를 분석 하고, 자아분화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학습된 무기력을 긍정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대한 대처 방안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학습된 무기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고[44], 이러한 양육태도가 결국에는 양육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므로[45]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은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양육 스트레스는 자아분화와 학습된 무기력 간의 관계를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 서는 자아분화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좀 더 광범위한 지역 분포에 따른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되,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출신국 가별로 면접법이나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를 추가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를 심리적 측면에서 변수를 사용한 양적 연구를 통해 다루었다. 하지만, 자아 분화와 같은 심리적 변인에 대해 질적 연구를 통한 인터뷰 및 조사 내용을 심도 있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다문화 가정 어머니가 가지고 있는 내적상태를 깊이 있게 들여다보고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가정 어머 니들의 자아분화를 높일 수 있는 연구대상자의 통찰력 있는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자녀를 양육하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의 자아분화, 양육 스트레스, 학습된 무기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어머니가 문화적응과 다양한 양육 상황의 어려움 속에서 개인적 변인인 자아분화를 통해 양육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에 효과 적으로 대처하여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양육자인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 검증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지역을 포함한 전국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예비설문을 실시하여, 자아분화가 낮고, 학습된 무기력 상태가 평균보다 낮은 대상자에 한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총 210부를 배부하여 202(96.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시[56]한 Sobel-test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 [Table 5]와 같다.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어머니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 하였다. 특히 다문화 가정의 외국인 어머니는 문화적 차이와 새로운 사회에 적응해야 하는 환경에서 양육에 대한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날 수 있다.
  •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가 학습된 무기력과 양육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아분화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자료 분석을 통해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학습된 무기력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자아분화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며, 더 나아가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의 건강한 정서 및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지니고 양육에 참여하여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가정에서의 역할을 인식하는데 도움을 주는 연구가 될 것을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자녀를 양육하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의 자아분화, 양육 스트레스, 학습된 무기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어머니가 문화적응과 다양한 양육 상황의 어려움 속에서 개인적 변인인 자아분화를 통해 양육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에 효과 적으로 대처하여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H3.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학습된 무기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는 양육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최근 다문화 가족의 개념은 이주민가족(북한이탈 주민, 이주노동자, 유학생 등), 한국여성과 결혼한 이주남성가족,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가족을 포함해 그 범위를 확대하여 사용하고 있다[20].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은 이주여성과 한국남성 결혼을 통해 이루는 가족만 한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주여성들이 처한 상황은 어떠한가? 더 나은 생활을 기대하며 한국으로 들어온 이주여성들은 한국의 집단 사회적 통념 안에서 자녀양육 문제 및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한 의사소통 어려움, 문화 차이로 인한 부적응 문제 등에 직면하고 있다[2]. 이와 관련하여 결혼생활에서 오는 문제는 개인은 물론 가정 및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는데, 다문화 가정의 양육자는 사회에서의 문제와 고향에 있는 가정문제를 미해결 과제로 남겨 둔채 결혼을 통하여 가부장적인 태도와 집단주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한민국의 생활방식과 충돌하면서 다양한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3].
다문화 가정이란 무엇인가? 다문화 가정이란 국제결혼을 통해 이루어진 가정으로 지칭하고 있으며[18], 또한 다문화 가정을 한 가정 내 여러 형태의 문화가 공존하고 있다는 뜻으로 설명하고 있다[19]. 최근 다문화 가족의 개념은 이주민가족(북한이탈 주민, 이주노동자, 유학생 등), 한국여성과 결혼한 이주남성가족,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가족을 포함해 그 범위를 확대하여 사용하고 있다[20].
한국의 육아문화가 스트레스를 주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한국의 육아문화인 자녀를 위한 희생과 더불어 잘 보살펴야 한다는 책임감 혹은 부담감이 원인이 되어 얼마든지 스트레스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출산 및 자녀를 돌보는 과정에서 당연하게 요구되는 부모의 책임감과 노력은 한국의 전통적 유교 문화와 연관 되어 시대를 불문하고 전과 같이 부모들의 주요 과업으로 인식되기 때문일 것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Statistics on foreign residents by local governments [internet]. Seoul: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8 [cited 2018 December 1]. Available from: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jsessionidLJlWKSgvK2l+qM6NGJpFJCri.node50?bbsIdBBSMSTR_000000000014&nttId66841. 

  2. S. H. Kim, Y. K. Noh, "Influence of spous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among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24, No.2 pp. 174-184, 2018. DOI: https://doi.org/10.4069/kjwhn.2018.24.2.174 

  3. N. H. Kim, I. K. Baek, "The effect of child-rear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f married immigrant women on their children's preschool adjustment and social and peer compete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9, No.1 pp. 365-384, 2015. 

  4. K. S. Lee, "The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on rearing attitude of the Vietnamese immigrant women with young children",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Vol.8, No.1 pp. 107-131, 2015. DOI: https://doi.org/10.14328/mes.2015.3.31.107 

  5. J. Y. Kim, The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Mediation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marital intimacy.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p. 34-35, 2016. 

  6. S. M. Lee, K. A. Lee,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efficacy in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y on their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7, No.3 pp. 71-105, 2010. 

  7. M. A. Kim, "The effect of parentiong efficacy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on parentiong stress", Korean Journal of Child Protection, Vol.3, No.1 pp. 59-96, 2018. 

  8. M. Bowen,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Family Therapy: Theory and Practice, Vol.4, No.1 pp. 2-90, 1976. 

  9. S. B. Han, S. H. Cho, S. M. Le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28, No.2 pp. 509-528, 2016. DOI: https://doi.org/10.23844/kjcp.2016.05.28.2.509 

  10. B. K. Chun,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the self-reliance of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through learned helplessness.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of Korea, pp. 5-6, 2015. 

  11. W. S. Lim, "A case study of therapy of family therapy experiencing conflict due to low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with the mother at work and at home", Family and Family Therapy, Vol.16 pp. 31-48, 2008. DOI: https://doi.org/10.21479/kaft.2008.16.2.31 

  12. O. S. Oh,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negative emotio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owerment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Vol.20, No.1 pp. 45-65, 2014. DOI: https://doi.org/10.18205/kpa.2014.19.2.001 

  13. H. A. Ahn, Impacts of child-rearing attitude on learned helplessness with self-esteem as a medium. Master's Thesis,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p. 17-18, 2013. 

  14. W. P. Hong,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and self-differentiation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n learned helplessnes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of Korea, pp. 28-31, 2013. 

  15. Park, S. H. Cho,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self-differentiation, parenting-style,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5, No.2 pp. 537-559, 2011. 

  16. J. M. Starr, "Adolescents and resistance to schooling: A dialectic", Youth & Society, Vol.13, No.2 pp. 189-227, 1981. DOI: https://doi.org/10.1177/0044118x8101300203 

  17. D. Baumrind, "Effects of authoritative parental control on child behavior", Child Development, Vol.37, No.4 pp. 887-907, 1966. DOI: https://doi.org/10.2307/1126611 

  18. K. W. Kim, "The study research on the actual and policy issue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Journal of Academy Of 21century Social Welfare, Vol.9 pp. 31-60, 2012. 

  19. K. S. Kim, "A study on the realities of child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Forum For Youth Culture, Vol.18, No.1 pp. 58-95, 2008. 

  20. H. Y. Kim, The relations among parent attachment,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ie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pp. 6-9, 2011. 

  21. W. C. Kim, "A study on the service usage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family relationship", Journal of Welfare Administration, Vol.25, No.1 pp. 49-75, 2015. 

  22. S. D. Rho, K. H. Kang, "A research on the control effect of teacher's support in the course of school adapt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20, No.3 pp. 157-167, 2015. DOI: https://doi.org/10.9708/jksci.2015.20.3.157 

  23. O. N. Kim,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arital conflicts of immigrant women. Doctoral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p. 21-23, 2010. 

  24. J. H. Lee, The influence of self-differentiation level on relationship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p. 17-18, 2015. 

  25. M. E. Kerr, M. Bowen, Family evaluation: The role of the family as an emotional unit that governs individual behavior and development. Markham, Ontario: Penguin Books, 1988. 

  26. M. J. Kim, Influences of self-differentiat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interpersonal problems.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p. 13-15, 2010. 

  27. S. Y. Bae, I. S. Lee, "The influence of abandonment anxiety on marital satisfaction: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through self-differentiatio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9, No.5 pp. 317-336, 2018. 

  28. S. H. Cho, C. O Park, "Inquiry into parenting experiences based on Bowen's concept of self-differenti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6, No.2 pp. 139-166, 2012. 

  29. S. H. Kwon, S. Y. Kwon, "The effect of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and learned helplessness on computer game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13, No.4 pp. 59-69, 2008. 

  30. M. E. Seligman, "Fall into helplessness", Psychology Today, Vol.7, No.1 pp. 43-48, 1973. DOI: https://doi.org/10.1037/e400492009-003 

  31. S. L. Lee, An analysis on relations between elementary schoolers' learned helplessness and self-concept.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of Korea, pp. 22-24, 2004. 

  32. N. Bargai, G. Ben-Shakhar, A. Y. Shalev,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on in battered women: The mediating role of learned helplessness", Journal of Family Violence, Vol.22, No.5 pp. 267-275, 2007. DOI: https://doi.org/10.1007/s10896-007-9078-y 

  33. C. E. Hooker, "Learned helplessness", Social Work, Vol.21, No.3 pp. 194-198, 1976. 

  34. D. C. Spendlove, J. R. Gavelek, V. MacMurray, "Learned helplessness and the depressed housewife", Social Work, Vol.26, No.6 pp. 474-479, 1981. DOI: https://doi.org/10.1093/sw/26.6.474 

  35. A. K. Park, "The mediational effects of recovery resilience on child depression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22, No.5 pp. 411-428, 2018. DOI: https://doi.org/10.32349/ecerr.2018.10.22.5.411 

  36. S. H. Lee, J. H. Ba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smart-device addiction levels, and parenting style, parenting stress, and the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trait to mothers' smart-device addiction",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Vol.37, No.1 pp. 299-323, 2016. DOI: https://doi.org/10.18612/cnujes.2016.37.1.299 

  37. Y. J. Hong, S. H. Lee, "Links among parenting stress, family cohesion and family flexibility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arenting role-sharing with fathers",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Vol.11, No.1 pp. 105-125, 2017. DOI: https://doi.org/10.5718/kcep.2017.11.1.105 

  38. Y. E. Jang,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self-efficacy, depression, parenting stress and problem behavior in preschoolers : the role of negative emotionality in infancy", Family and Culture, Vol.28 pp. 1-29, 2016. DOI: https://doi.org/10.21478/family.28.4.201612.001 

  39. H. Y. Lee, K. S. Kim, M. N. Lee, "The effect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on parenting style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8 pp. 109-126, 2018. DOI: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109 

  40. K. H. Kang,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self-esteem and employment stress.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of Korea, pp. 15-18, 2010. 

  41. E. K. Cho, H. J. Jung, "A study on self-differentiation, conflict tactics behavior, and marital adjustment among married men and women", J.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20, No.1 pp. 1-16, 2002. 

  42. Y. J. Kim, Y. M. Paek, "The relationships of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self - concept, and depression of normal and delinquent juveniles",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Mind Science, Vol.3, No.1 pp. 139-160, 2000. 

  43. M. Y. Ham, The relation of the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by children to child depression.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of Korea, pp. 41-46, 2005. 

  44. B. K. Choi, N. J. Son, "Investigation on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home environment , children's self: Evaluation and learned helplessnes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36, No.4 pp. 121-135, 1998. 

  45. J. Y. Kim, "Child-rearing Attitude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Infa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Vol.23, No.2 pp. 91-100, 2015. DOI: https://doi.org/10.17547/kjsr.2015.23.2.91 

  46. O. H. Kim, The effect of mother's self-differentiation on parenting stress :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p. 15-16, 2018. 

  47. J. W. Jung, J. H. Lim, A. B. Kim,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subject related art therapy on parenting stress and learned helplessness of married women", Journal of the Child Developmental Supporting Center, Vol.9, No.1 pp. 101-130, 2019. DOI: https://doi.org/10.34167/cliart.9.1.201904.101 

  48. Y. H. Le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mothers and depression, anxiety, and secure attachment of children.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p. 8-10, 2011. 

  49. W. P. Hong,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and ego differentiation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n learned helplessnes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of Korea, pp. 26-31, 2013. 

  50. H. J. Jung, E. K. Cho, "Korean self-differentiation inventory: Development and validation", Family and Family Therapy, Vol.15 No.1 pp. 19-46, 2007. DOI: https://doi.org/10.21479/kaft.2007.15.1.19 

  51. M. E. Seligman, S. F. Maier, "Failure to escape traumatic shock",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Vol.74, No.1 pp. 1-9, 1967. DOI: https://doi.org/10.1037/h0024514 

  52. K. M. Shi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arned helplessness diagnosis scale. Doctoral Thesis, Konkuk University of Korea, pp. 35-37, 1990. 

  53. R. R. Abidin, Parenting stress index(PSI) . Manual Pediatric PSYC, 1990. DOI: https://doi.org/10.1037/t02445-000 

  54. S. J. Shin,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parent 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 Doctoral Thesis, Yeonsei University of Korea, pp. 36-37, 1997. 

  55. M. J. Ha,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n self-efficacy and daily stress among school-aged children. Master's Thesis,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p. 30-34, 2008. 

  56.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 1173-1186, 1986.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57. J. Kim, J. H.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mother's child rearing str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26, No.5 pp. 245-261, 20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