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로청소년의 직무열의에 관한 성별 차이 분석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Job Engagement among Working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9, 2019년, pp.495 - 503  

송지영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근로청소년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업무과잉, 일생활 균형, 직무열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로 구분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5차 근로환경조사에 응답한 만 24세 이하 1,77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 업무과잉, 일생활 균형, 직무열의 정도는 기술통계, t-검정, ANOVA를 이용하였으며,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남성의 경우 전문직, 자영업, 주 41-52시간 근무, 고용차별을 경험한 적이 없는 경우 직무열의는 높았다. 여성의 경우 만 19세 이하, 대졸 이상, 전문직, 임시근로, 주 41-52시간 근무, 성차별, 고용차별을 경험한 적이 없는 경우 직무열의는 높았다. 또한, 남녀 모두 업무과잉이 적고 일생활 균형 상태일수록 직무열의는 높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로자의 대표성을 지니는 근로환경조사를 이용한 근로청소년의 직무열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으나, 학업 여부나 군 복무 등 구체적인 상황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근로청소년을 이해하고 직무열의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ork overload, work life balance, job engagement of working adolescents and the factors affecting job engagement. We examined 1,772 working adolescents under the age of 24 years in response to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근로청소년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성별로 파악하여 이들의 직무열의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만 24세 이하 근로청소년 1,772명을 대상으로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직무열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관리방안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만 24세 이하 근로청소년을 대상으로 근무환경, 직무열의, 업무과잉, 일생활 균형 등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25]에 응답한 만 24세 이하 1,772명 근로청소년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업무과잉, 일생활 균형, 직무열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남성의 경우 전문직, 자영업을 하는 경우, 주 41-52시간 근무,고용차별을 경험한 적이 없는 경우 직무열의는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업무과잉이 업무 열의를 저하시키는 이유는? 또한, 직무열의는 업무과잉이나 일생활 균형과도 많은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업무과잉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부정적인 정서를 일으켜 열의를 저하하는데[14, 15], 역할보다 너무 많은 업무와 책임이 주어지게 되면 온전히 집중하지 못하고 일에 대한 열정도 줄어들기 때문이다[16]. 조은정의 연구[17]에서도 역할 수행 중 업무량이 과도한 경우에는 스트레스를 느끼며, 직무탈진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가 생긴다고 하였다.
청소년기란? 청소년기는 신체적 성숙과 함께 인지 능력, 가치관이 형성되며 자아정체성을 발달하는 시기로, 최근 몇 년간 근로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1]. 2019년 4월 통계청[2]에 의하면 근로청소년은 147만 명으로 우리나라 전체취업인구 2,703만 명 중에서 5.
근로청소년들의 외적 스트레스를 이겨내려면 어떠한 것이 요구되는가? 이렇듯, 급격한 사회 경제적 변화 속에서 생존해야 하는 근로청소년들은 끊임없이 밀려오는 외적 스트레스와 내적 갈등으로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7]. 이런 스트레스를 이겨내기 위해서 업무에 대한 긍정적으로 헌신하며 몰두하는 마음인 직무열의가 필요하다[8]. 활력, 헌신,몰두의 특성을 가진[9] 직무열의는 직무소진의 반대개념으로 직업적 건강 상태를 말하며, 긍정적이고 성취적인 일과 관련된 마음 상태를 의미한다[10, 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 H. Son, "A Study on the Safety Rights of Students on On-the-Job Trainees",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and Law, Vol. 9, No. 3, pp. 41-63, 2018. 

  2. Statistics Korea, "Statistics of employed workers by sex and age",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3. Y. J. Hwang, S. J. Kim, J. H. Bon, M. T. Lee, S. Y. An, "Investigation of actual situation of youth employment and policy measure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pp. 1-424, 2015. 

  4. E. H. Nancy, L. Belle, Y. B. Diamond, P. Maggi, P. Whitney, P. John & S. R. Mandy, "Adolescents Perceptions of the Economy: Its Association with Academic Engagement and the Role of School-Based and Parental Relationship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 47, No. 5, pp. 895-915, 2018. DOI: http://doi.org/10.1007/s10964-017-0802-5 

  5. S. R. Kim, "Difference in Career Compet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Work Experience Types and Gender",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12, pp. 771-785, 2013. DOI: http://doi.org/10.5392/JKCA.2013.13.12.771 

  6. J. E. Roh, J. H. Son, K. B. Kim,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afe Work Environment for Young Workers", Crisisonomy, Vol. 14, No. 12, pp. 85-98, 2018. DOI: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8.14.12.85 

  7. S. J. Kim, "The effect of Wholistic Well-be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teenage workers ", Ph.D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6. 

  8. J. W. Han, "Effect of Job Demands and Resources by Nurses on Health Problem and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Burnout and Engage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8, pp. 103-112,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8.103 

  9. W. B. Schaufeli, M. Salanova, V. Gonzalez-Romaz, A. B. Bakker,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 3, pp. 71-92, 2002. 

  10. E. J. Kwon, S. Y. Kim, "The Effects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School Health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 30 No. 2, pp. 103-112, 2017. DOI: https://doi.org/10.15434/kssh.2017.30.2.103 

  11. T. Oshio, A. Inoue & A. Tsutsumi, "Associations among job demands and resources, work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distress: fixed-effects model analysis in Japan", J Occup Health, Vol. 60, No. 3, pp. 254-262, 2018. DOI: http://doi.org/10.1539/joh.2017-0293-OA 

  12. A. B. Bakker, E. Demerouti, "Towards a model of work engagement",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Vol. 13, No. 3, pp. 209-223, 2018. DOI: http://doi.org/10.1108/13620430810870476 

  13. N. Extremera, S. Merida-Lopez, N. Sanchez-Alvarez, C. Quintana-Orts, "How Does Emotional Intelligence Make One Feel Better at Work? The Mediational Role of Work Engagement",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Vol. 15, No. 9, pp. 1-13, 2018. DOI: http://doi.org/10.3390/ijerph15091909 

  14. E. K. Joo, M. H. Choi, I. S. Kim, "The Effects of Flight Attendants' Job Demand and Ostracism on Job Engagement and Social Behavior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Vol. 41, No. 6, pp. 205-218, 2017. DOI: http://dx.doi.org.ocam.korea.ac.kr/10.17086/JTS.2017.41.6.205.218 

  15. A. Van den Broeck, T. V. Elst, E. Baillien, M. Sercu, M. Schouteden, H. De Witte, L. Godderis, "Job Demands, Job Resources, Burnout, Work Engagement, and Their Relationships: An Analysis Across Sector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59, No .4, pp. 369-376, 2017. DOI: http://doi.org/10.1097/JOM.0000000000000964. 

  16. Y. K. Kim, H. J. Lee, H. I. Park, "Relationships between role overload and work engagement among employee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31, No. 1, pp. 249-279, 2018. DOI: http://doi.org/10.24230/ksiop.31.1.201802.249 

  17. E. J. Cho, T. Y. Han, C. S. Song, "Middle-Aged Worker's Work Engagement- Interaction Effects of Deficiency of Job Demand, Job Autonomy and Perceived Age Discrimination-",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25, No. 5, pp. 127-143. 2018. DOI: http://dx.doi.org/10.14396/jhrmr.2018.25.5.127 

  18. D. Y. Bae, H. S. Kim, S. S. Kim, Y. J. Kim,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Job Engag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moral sensitiv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10, No. 3, pp. 93-103. 2019. DOI: http://dx.doi.org/10.15207/JKCS.2019.10.3.093 

  19. C. Higgins, L. Duxbury, K. L. Johnson, "Part-Time Work for Women: Does It Really Help Balance Work and Family?",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 39, No. 1, pp. 17-32, 2000. 

  20. J. G. Grzywacz, D. S. Carlson, "Conceptualizing Work-Family Balance: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Vol. 9, No. 4, pp. 455-471, 2007. DOI: http://doi.org/10.1177/1523422307305487 

  21. R. Y. Kim,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work-family balance, and job engagement on employees of food service businesses: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job motiv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 32, No. 3, pp. 241-256, 2018. DOI: http://doi.org/10.21298/IJTHR.2018.03.32.3.241 

  22. A. Arlinghaus, F. Nachreiner, "Health effects of supplemental work from home in the European Union" , Chronobiol Int, Vol. 31, No. 10, pp. 1100-7, 2014. DOI: http://doi.org/10.3109/07420528.2014.957297 

  23. K. Y. Choi, H. Y. Kim, "Study on the Factors Working Environment and Health Effects of Contingent Workers Youth",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6, No. 12, pp. 170-180, 2016. DOI: http://doi.org/10.5392/JKCA.2016.16.12.170 

  24. S. C. Choi, J. Y. Jeon, Y. E. Cho, K. R. Won, S. A. Chung, "The Impact of Mistreatment of Korean Youth in Part-time Employment on Their Mental Health, Alcohol Consumption and Smoking",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45, pp. 1-22, 2015. DOI : http://dx.doi.org/10.17997/SWRY.45.1.1. 

  25. Korea occupational safety& health agency,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2017. 

  26. B. R. Im,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mental health",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2018. 

  27. M. Y. Oh, "The Impacts of Broadcasting Staff's Role Stress, Job Insecurity, Self-efficacy on Job Engagem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6, No. 5, pp. 449-462, 2016. DOI: http://doi.org/10.5392/JKCA.2016.16.05.449 

  28. Y. D. Kim, Y. H. Hwang, Y. J. Lee, "Work Engagement and Innovation Behavio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Sports Council Member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7, No. 5, pp. 801-812, 2018. 

  29. C. G. Heo, K. A. Lee, "Contribution of Emotional Labor to Burnout and Work Eng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44, No. 4, pp. 610-618, 2015. DOI: http://dx.doi.org/10.3746/jkfn.2015.44.4.6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