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유체시스템 제작을 위한 3D 프린팅 방식 및 소재 별 표면특성 비교
Comparison of Surfa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3D Printing Methods and Materials for the Fabrication of Microfluidic Systems 원문보기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화학공학, v.57 no.5, 2019년, pp.706 - 713  

배서준 (부경대학교 화학공학과) ,  임도진 (부경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미세유체 시스템 제작에 적합한 3D 프린팅 방식 및 소재 별 표면특성 분석을 통해 각 응용 사례에 적합한 프린터 및 소재 선정에 가이드라인을 줄 수 있는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적층 방식과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광경화 방식에 대해 프린팅 방식과 소재에 따른 표면 특성을 살펴보았다. 적층 방식의 프린트물은 소재에 무관하게 후처리 전에는 친수성 특성을 보이나 아세톤 증기에 의한 후처리 후에는 소수성 특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M을 이용한 표면 조도 관찰을 통해 이러한 접촉각의 변화가 후처리에 의한 표면의 결 구조의 제거에 기인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광경화식 프린트물은 적층식 대비 친수성의 특성을 보였으나 소수성 코팅을 이용해 표면 개질이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두 프린팅 방식 중 투명한 재질이 요구되는 경우, 적층 방식은 투명한 시편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광경화 방식의 경우 충분한 투명도가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액적 접촉충전 현상에 기반한 디지털 전기천공 시스템의 electroporation chip을 광경화 방식으로 제작하였으며 성공적으로 전기천공을 시연함으로써 미세유체 시스템에 직접 적용이 가능함 또한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guidelines for selecting printers and materials suitable for each application case by analyzing 3D printing method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suitable for microfluidic system. We have studied the surfa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린팅 방식, 소재 및 후처리 여부에 따른 표면특성 비교를 통해 미세유체 시스템 제작에 3D 프린터를 이용할 때 각 응용 분야에 적합한 프린팅 방식 및 소재 선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3D 프린팅 방식 중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식인 적층(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프린팅 방식과 광경화(Stereolithography, SLA) 프린팅 방식을 사용하여 프린팅 방식과 소재에 따른 접촉각 및 표면 조도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3D 프린팅 된 표면의 후처리 전후 표면 특성의 변화 역시 비교하였다.
  • FDM 프린팅 방식에 사용되는 필라멘트 재료는 PLA (Polylactic acid)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8]. 본 연구에서는 PLA 외에 CPE (Copolyester), 친환경소재로 ABS, PLA 단점을 보완하여 높은 강도를 가지며 우수한 광투과성을 지닌 PETG (glycol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그리고 CPE와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나 강도와 출력안정성이 높고 출력속도가 빠른 nGen 이란 CPE 계열 소재를 사용하여 각각의 표면 특성을 살펴 보았다. SLA 방식에 사용되는 광경화성 레진은 Epoxy 또는 Acrylate 기반의 proprietary photoinitiators를 포함한 재료를[4] 사용하였으며 Formlabs사에서 제공하는 투명색의 레진을 사용하여 표면 특성을 살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미세유체 시스템 제작에 적합한 3D 프린팅 방식 및 소재 별 표면특성 분석을 통해 각 응용 사례에 적합한 프린터 및 소재 선정에 가이드라인을 주고자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러 3D 프린팅 방식 중 본 연구에서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FDM 방식과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SLA 방식에 대해 프린팅 방식과 소재에 따른 표면 특성을 살펴보았다.
  • 3D 프린팅 방식에는 다양한 방식들이 존재하지만 현재 상용화되어 널리 쓰이고 있는 방식은 크게 열가소성 고분자 소재를 필라멘트 형태로 공급하여 용융 후 압출하여 적층하는 FDM [4] 방식과 광 경화성 레진을 레이져를 통해 경화시키는 SLA [9] 방식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방식을 채택한 3D 프린터를 이용해 프린팅 방식에 따른 표면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세유체 시스템 제작에 적합한 3D 프린팅 방식 및 소재 별 표면특성 분석을 통해 각 응용 사례에 적합한 프린터 및 소재 선정에 가이드라인을 주고자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러 3D 프린팅 방식 중 본 연구에서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FDM 방식과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SLA 방식에 대해 프린팅 방식과 소재에 따른 표면 특성을 살펴보았다. FDM 방식의 프린트 물의 경우 후처리 전 약 60~80°의 접촉각을 나타냈으며 아세톤 증기를 이용한 후처리 후에는 대부분 90° 이상의 접촉각을 가져 접촉각이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특히 Optofluidics 분야와 같이 반드시 투명 소재를 요구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소재의 투명도는 미세유체 시스템 제작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프린팅 방식에서 제공되는 투명 소재들을 직접 제작하여 투명도를 확인해 보았다.
  • 다양한 3D 프린팅 방식 중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식인 적층(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프린팅 방식과 광경화(Stereolithography, SLA) 프린팅 방식을 사용하여 프린팅 방식과 소재에 따른 접촉각 및 표면 조도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3D 프린팅 된 표면의 후처리 전후 표면 특성의 변화 역시 비교하였다. 투명 소재를 이용해 두 프린팅 방식 중 어떤 방식과 소재가 투명도를 요구하는 분야에 적합한지 역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액적 접촉충전 현상에[12-16] 기반한 디지털 전기천공 시스템의[17-23] 미세유체 칩 제작에 적합한 프린팅 방식 및 소재를 선정하여 직접 칩을 제작, 시연함으로써 실제 미세유체 시스템에의 적용 가능성 또한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LA (Polylactic acid)란 무엇인가? FDM 프린팅 방식에 사용되는 필라멘트 재료는 PLA (Polylactic acid)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8]. 본 연구에서는 PLA 외에 CPE (Copolyester), 친환경소재로 ABS, PLA 단점을 보완하여 높은 강도를 가지며 우수한 광투과성을 지닌 PETG (glycol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그리고 CPE와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나 강도와 출력안정성이 높고 출력속도가 빠른 nGen 이란 CPE 계열 소재를 사용하여 각각의 표면 특성을 살펴 보았다.
미세유체 시스템 제작의 한계는 무엇인가? 현재의 미세유체 시스템 제작은 대부분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리소그라피 기술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높은 제작 비용과 디자인 변경에의 제한 등 많은 한계가 있다[7]. 또한 이러한 한계는 연구 단계에서의 시간 및 비용 문제뿐 아니라 상용화에도 큰 걸림돌이 되어 왔다.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 프린트의 특징은 무엇인가? 1 좌측에 나타나 있는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이다. 열가소성 소재를 압출하고 층별로 쌓아 3D 형상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작동 원리가 비교적 단순하고 명확하여 프린팅 기계 및 소재의 가격 경쟁력이 여타의 방식보다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현재 가장 많이 보급된 3D 프린팅 방식이다. FDM 방식의 또 다른 장점은 여러 종류의 재료를 동시에 사용하여 보다 복잡한 프린트물을 제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FDM 방식의 프린터 중 Ultimakert사의 Ultimaker 3를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