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조 문화재 건축물의 화재로 인한 초기 대응 능력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of Initial Response Wooden Cultural Asset Architecture by Fir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9, 2019년, pp.112 - 121  

이성우 (광주대학교 소방행정학과)

초록

목조로 된 문화재 건축물들은 국가 또는 지방 자치에서 관리하는 관리의 권원이 분리되어 있으며 국보급 등 많은 문화재 건축물들이 화재로 인한 소실 우려가 높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보급 등 정부와 각 시도에서 관리하는 목조 문화재의 현황을 파악해서 방재측면에서 설치되어 있는 주요 설비 효용성과 화재 시 초기 진압과 소방차의 출동으로 인한 문제점 등을 심층적으로 파악을 하였다. 또한, 관련 법령에 의한 소화설비들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현실에 맞도록 제도 개선을 위하여 관계인에게 심층 개별 면담을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거나 부속 건물들이 인접해 있어 이에 알맞은 방재 대책을 세워 시설을 유지관리 함으로써 화재 등 재난으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에 도달하였다. 목조 문화재의 대부분은 단독 건물에 면적이 작고 단층이기 때문에 소방법상 소방시설 설치규정에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최선의 방법으로는 화재 발생전 안전관리 대책 등 화재 대응 매뉴얼을 작성하여 매뉴얼에 따라 자체적으로 소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향후, 국가의 중요 문화재 건물에 대하여 화재로 소실되기 전 예방을 위한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 전문기관이 설립 또는 지정되어 보호할 수 있도록 실질적 고려를 위한 후속 연구로 제언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itle of management of cultural asset architectures made of wood managed by nation or local government is separated and there is a high concern about the disappearance of many national cultural asset architectures by fi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major installed appliances in te...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보로 지정된 문화재중 특별관리 대상으로 분류하여 국가에서 관심 있게 관리하고 있는 목조 문화재에 대하여 대응단계별 실재 시간을 측정해 보았다.
  • 현재 문화재 보호를 위한 화재 대응 정책은 전문 관리원을 줄이고 무인자동시스템으로 교체하다 보니 화재 대응 보다는 도난 또는 방범에 치중을 두고 있다. 따라서 문화재를 화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응정책이 적절한지 문화재 시설의 안전관리원과 소방시설의 설치 현황, 그리고 소방차의 출동 단계별 대응 절차를 통해서 학문이 아닌 현장을 중심으로 한 화재 대응의 문제점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한편 관련 자료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국내외 선행 연구 자료에서 본 논문이 추구하고자 하는 문화재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소방서의 대응 능력이 현실적으로 적절한지에 관한 자료나 정보가 거의 없었으며 이번 논문에서 비록 일부 문화재 시설을 대상으로 국부적으로 화재 시 단계별 대응 능력의 실효성 조사를 통해서 확인해 봤지만 나름대로 의미있는 조사 결과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목조문화재 건축물이 방재 측면에서 안고 있는 취약 부분은? 우리나라 목조문화재 건축물이 방재 측면에서 안고 있는 취약 부분으로는 좁은 면적에 대웅전을 비롯 전각 등의 인접 거리가 너무나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어 화재시 에는 쉽게 연쇄반응으로 연소 확산되어 번질 우려가 농후하다. 화재 시에는 연소현상이 직접 접하지 않더라도 복사열에 의하여 얼마든지 확산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복사열에 의한 화재 전도현상을 고려하여 예방대책을 세워야 하지만 뚜렷한 대책이 없이 관리되고 있다.
목조 문화재 화재 발생 시 소방헬기가 초기진압 활동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는? 가장 원거리는 이론상 50분으로 조사되었다. 소방청 소속 헬기는 산림청 소속 헬기와 다르게 응급환자 이송, 인명구조, 화재진압 등 다목적용으로 활용하고 있고 이륙 준비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밤비 바스킷(일명 물주머니)을 싣고 화재 현장 부근에 착륙하여 장착한 후 인근 저수지에서 물을 취수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된다. 위의 조사된 소방헬기 출동시간은 실지 현장에서 진화 활동하는 데에는 조사 내용보다 배 이상이 더 소요된다는 주장이다. 따라서 소방헬기 역시 초기진압 활동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 결과 나타났다.
문화재란? 문화재는 그 나라의 역사적, 예술적, 문화적 가치의 존재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자산이다. 이러한 국가 유산은 매우 넓고 풍부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