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공유리더십이 조직신뢰, 지식공유,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공유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신뢰와 지식공유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울산과 경주지역의 제조업 종사자 3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SPSS 22를 사용하였다. 변수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연구가설을 검증하고자 공분산 구조분석을 위해 AMOS 22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리더십은 조직신뢰, 지식공유, 혁신행동에 모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신뢰는 지식공유와 혁신행동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공유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유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와 지식공유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높이기 위해서 공유리더십을 통한 조직신뢰와 지식공유를 강화시켜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유리더십이 조직신뢰, 지식공유,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공유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신뢰와 지식공유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울산과 경주지역의 제조업 종사자 3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SPSS 22를 사용하였다. 변수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연구가설을 검증하고자 공분산 구조분석을 위해 AMOS 22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리더십은 조직신뢰, 지식공유, 혁신행동에 모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신뢰는 지식공유와 혁신행동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공유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유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와 지식공유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높이기 위해서 공유리더십을 통한 조직신뢰와 지식공유를 강화시켜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trust,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Also, it was verified that organizational trust and knowledge sharing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Data we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trust,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Also, it was verified that organizational trust and knowledge sharing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348 manufacturing workers in Ulsan and Gyeongju. SPSS 22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MOS 22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variables and for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hared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knowledge sharing, innovative behavior. Second, organizational trus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knowledge sharing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Finally, organizational trust and knowledge sharing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organizational trust and knowledge sharing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shared leadership in order to increase the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 member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trust,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Also, it was verified that organizational trust and knowledge sharing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348 manufacturing workers in Ulsan and Gyeongju. SPSS 22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MOS 22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variables and for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hared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knowledge sharing, innovative behavior. Second, organizational trus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knowledge sharing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Finally, organizational trust and knowledge sharing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organizational trust and knowledge sharing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shared leadership in order to increase the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 members.
Pearce[13]에 따르면, 이러한 공유리더십의 필요성과 관련된 세 가지 특성으로 ‘상호 의존성, 창조성, 복잡성’을 주장하고 있다. 첫째, 상호 의존성은 공유리더십의 매우 중요한 조건이 되어왔다. 집단으로 일하며 매우 통합적이고 상호 연결된 업무를 진행하는 조직은 이러한 상호의존성이 없는 조직에 비해 성공할 가능성이 더 높다. 둘째, 공유리더십에서 창조성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팀워크와 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창조성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지식조직을 만들어간다[5]. 기존의 많은 선행연구를 통해 참여형 조직구성원을 보유한 조직은 과도한 명령형의 리더를 보유한 조직보다 높은 효율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13]. 셋째, 업무 복잡성의 증가[16]이다. 오늘날의 거대하고 복잡한 업무환경은 한 사람이 처리할 수 없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13][16].
공유리더십이란 무엇인가?
공유리더십의 정의는 학자들의 관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공유리더십은 공식적, 비공식적 리더들에 의해 팀 내에서 동시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상호간의 영향력이며[13], 둘 이상의 구성원들에 의해 기능이 분산된 리더십의 형태이다[14]. Hiller et al.
공유리더십은 무엇을 자극하게 되는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수직적 리더십이 아닌 조직구성원 모두가 집합적으로 리더십을 공유하고 행사하는 공유리더십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3]. 이러한 공유리더십은 새로운 시도에 대해 연대책임을 지며 혁신이 성공 할 수 있도록 지원과 배려를 통해 조직구성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여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자극하게 된다[4].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