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작물 생육모형은 기존의 경험적 작물모형과는 달리 벼의 생장과정을 모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작물생육 모형들은 80년대 후반부터 적극적으로 국내도입이 이루어 졌다. 유럽에서 개발된 MACROS로 부터 시작하여 이후 Oryza1 및 Oryza2000 모형과 북미에서 개발된 DSSAT 계열의 모형인 CERES-RICE 모형을 도입하게 되었다. 각각의 모형들은 최초에는 단순히 품종수 적합 후 특정지역에의 수량을 모의하는데 활용되었으나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국내에 적합한 작물모형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작물생육모형을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하였고 실용적인 수준에서의 활용은 미미하였다. 일부 농가 적용을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널리 활용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활용상의 문제점은 기상자료의 공간해상도가 문제가 가장 크며, 그 다음으로는 각 지역별이 품종에 대한 품종모수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활용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상관측의 공간해상력을 높이기 위한 관측소의 확대 또는 공간 내삽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신품종이 일정 재배면적 이상 확대될 경우 이에 대해 품종모수를 적합할 제도적 기술적 방법이 필요하다. 작물모형의 활용 확대를 위해서는 기상 또는 토양 분야와도 연결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군락의 증산 속도와 토양모형에 정보가 필요하며 이는 군락 광합성 관련 부분과 토양 특성에 대해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rocess-oriented crop growth model can simulate the biophysical process of rice under diverse environmental and management conditions, which would make it more versatile than an empirical crop model.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chronology and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the rice growth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해외에서 개발되어온 작물 모형을 국내에 도입하여 활용된 사례와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기반으로 작물 모형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에 대한 조명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앞으로 스마트팜 관련 기술들의 폭넓은 도입을 위해 작물 모형들의 개발 및 활용에 요구되는 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작물모형에 대한 이해도와 활용도를 넓히기 위해, 국내 벼 작물 생육모형의 도입 및 개발사를 돌아보고 앞으로 연구 방향에 논의해 보고자 한다. 특히, 해외에서 개발되어온 작물 모형을 국내에 도입하여 활용된 사례와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기반으로 작물 모형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에 대한 조명을 하고자 하였다.
  • 신품종의 경우 우선 calibration을 할 수 있는 충분 한 자료가 존재한다면 정확한 품종 모수를 얻어내고 그렇지 않더라도 저품질 자료로 품종모수를 얻어 모의 한후 주어진 지역의 표준품종(example variety)의 품 종 모수를 이용하여 동일한 모의를 한후 각각의 값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 표준 품종에 대한 품종모수 DB가 필요하지만 지역별로 이들 품종수는 한정되어 있다(농촌진흥청, 2016).
  • 본 논문에서는 작물모형에 대한 이해도와 활용도를 넓히기 위해, 국내 벼 작물 생육모형의 도입 및 개발사를 돌아보고 앞으로 연구 방향에 논의해 보고자 한다. 특히, 해외에서 개발되어온 작물 모형을 국내에 도입하여 활용된 사례와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기반으로 작물 모형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에 대한 조명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앞으로 스마트팜 관련 기술들의 폭넓은 도입을 위해 작물 모형들의 개발 및 활용에 요구되는 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험모형이란?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의 생산량 변동을 예측하거나 당해년도의 작황을 예측하기 위해 기상요소 자료와 생산량 자료와의 관계식에 기반한 경험모형(empirical model)이 사용되어 왔다(한 등, 2011; Kim et al., 2017a; Kim et al.
작물모형의 활용 확대를 위해서는 기상 또 는 토양 분야와도 연결을 위해 필요한 것은? 작물모형의 활용 확대를 위해서는 기상 또 는 토양 분야와도 연결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군 락의 증산 속도와 토양모형에 정보가 필요하며 이는 군락 광합성 관련 부분과 토양 특성에 대해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작물 생육모형의 장점은? 작물 생육모형은 기존의 경험적 작물모형과는 달리 벼의 생장과정을 모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작물생육 모형들은 80년대 후반부터 적극적으로 국내도입이 이루어 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농업기술연구소, 1989: 벼군락내 미세기상환경과 물질생산 모형 연구. 81-96. 

  2. 농촌진흥청, 2002: 벼농사 정밀 재배관리 전문가 시스템 개발. 

  3. 농촌진흥청, 2016: 2015년도 하계작물 신품종개발공동연구 보고서. 

  4. 작물시험장, 1989: 벼 생육 및 수량 진단 모형 개발. 596-605, 818-823, 860-861. 

  5. 작물시험장, 1990: 벼 생육 및 수량 진단 모형 개발. 540-550. 

  6. 작물시험장, 1991: 벼 생육 및 수량 진단 모형 개발 746-747. 

  7. 한석호, 이병훈, 박미성, 승준호, 양현석, 시성철, 2011: 기상요인을 고려한 단순예측 모형 개발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P15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Basso, B., D. Cammarano, and E. Carfagna, 2013: Review of crop yield forecasting methods and early warning systems. In Proceedings of the first meeting of the scientific advisory committee of the global strategy to improve agricultural and rural statistics, FAO Headquaters, Rome, Italy, 18-19. 

  9. Bouman, B. M., H. van Keulen, H. H. van Laar, and R. Rabbinge 1996: The 'School of de Wit' crop growth simulation models: A pedigree and historical overview. Agricultural Systems 52, 171-198. 

  10. Bouman, B. M. J. Kropff, T. P. Tung, M. Woperesis, H. ten Berge, and H. H. van Laar, 2001: Oryza2000: Modeling lowland rice. IRRI, Manilla, Philippines. 

  11. Cho, K. S., and J. Yun, 1999: Regional crop evaluation and yield forecast of paddy rice based on daily weather observ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rest Meteorology 1(1), 12-19. 

  12. Chung, U., K. S. Cho, and B. Lee, 2006: Evaluation of site-specific potential for rice production in Korea under the changing climat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rest Meteorology 8(4), 229-241. 

  13. Dingkuhn, M., 2017: Crop-model assisted phenomics and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for climate adaptation of indica rice. 2. Thermal stress and spikelet sterility.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68(15), 4389-4406. 

  14. Godwin, D., U. Singh, J. T. Ritchie, and E. C. Alcocija, 1992: A user guide to CERES-RICE, International Fertilizer Development Center, Muscle Shoals, AL, USA. 

  15. Horie, T., 1993: Predicting the effects of climatic variation and elevated CO2 on rice yield in Japan. Journal of Agricultural Meteorology 48(5), 567-574. 

  16. Hyun, S., and K. S. Kim, 2017: Estimating of heading date for rice cultivars using Oryza(V3).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rest Meteorology 19, 246-251. 

  17. Hyun, S., and K. S. Kim, 2019: Calibration of cultivar parameters for cv. Shindongjin for a rice growth model using the observation data in a low qualit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rest Meteorology 21, 42-54. 

  18. Jame, Y. W., and H. W. Cutforth, 1996: Crop growth models for decision support systems.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76, 9-19. 

  19. Jeong, H., C. Kim, and D. Moon, 2013: Impact of abnormal weather factors on rice production. Climate Change Research 4, 317-330. 

  20. Jeong, J. H., J. P. Resop, N. D. Mueller, D. H. Fleisher, K. Yun, E. E. Butler, D. J. Timlin, K. M. Shim, J. S. Gerber, V. R. Reddy, and S. H. Kim, 2016: Random forests for global and regional crop yield predictions. PLoS One 11(6):e0156571. doi:10.1371/journal.pone.0156571. 

  21. Jones, J. W., J. M.Antle, B. Basso, K. J.Boote, R. T.Conant, I. Foster, H. C. J. Godfray, M. Herrero, R. E. Howitt, S. Janssen, B. A. Keating, R. lMunoz-Carpena, C. H. Porter, C. Rosenzweig, T. R.Wheeler, 2017: Brief history of agricultural systems modeling. Agricultural Systems 155, 240-254. 

  22. Kim, D., S. Kim, K. Moon, and J. I. Yun, 2012: An outlook on cereal grains production in South Korea based on crop growth simulation under the RCP 8.5 climate condi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rest Meteorology 14(3), 132-141. 

  23. Kim, H., J. Ko, S. Kang, and J. Tenhunen, 2013: Impact of climate change on paddy rice yield in a temperate climate. Global Change Biology 19, 548-562. 

  24. Kim, J., W. Sang, H. Shin, H. Cho, M. Seo, B. Yoo, and K. Kim, 2015: Evaluation of regional climate scenario data for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rice productivity in Korea.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18, 257-264. 

  25. Kim, J., C. K. Lee, W. Sang, H. Shin, H. Cho, and M. Seo, 2017a: Introduction to empirical approach to estimate rice yield and comparison with remote sensing approach.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3, 737- 740. 

  26. Kim, J., W. Sang, H. Shin, H. Cho, and M. Seo, 2017b: A meteorological analysis on high rice yield in 2015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rest Meteorology 19, 54-61. 

  27. Kim, S. K., H. J. Lee, H. S. Lee, B. Mun, and S. G. Lee, 2017c: Effect of soil water content on growth, photosynthetic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of Kimchi Cabbage at the early growth stage after Transplanting.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6, 151-157. 

  28. Kim, J., W. Sang, H. Shin, H. Cho, and M. Seo, 2018a: Calibration of crop growth model CERES-MAIZE with yield trial dat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rest Meteorology 20, 227-283. 

  29. Kim, K. S., S.-O. Kim, J. H. Kim, K. H. Moon, J. H. Shin, and J. Cho, 2018b: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op model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rest Meteorology 20, 145-148. 

  30. Kim, J., J. Lee, W. Sang, H. Shin, H. Cho, and M. Seo, 2019: Rice yield prediction in South Korea by using random fores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rest Meteorology 21, 75-84. 

  31. Kropff, M. J., H. H. van Laar, and R. B. Matthews, 1995: The Oryza1 model for potential production of rice. 

  32. Lee, C. K., J. Kim, J. Shon, W. Yang, Y. Yoon, K. Choi, and K. Kim, 2012: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rice production and adaptation method in Korea as evaluated by simulation stud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rest Meteorology 14, 207-221. 

  33. Lee, C. K., K. S. Kwak, J. H. Kim, J. H. Shon, and W. H. Yang, 2011: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follow-up cropping season shift on growing period and growing temperature in different rice maturity types.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6, 223-243. 

  34. Lim, J. T., J. I. Yun, and B. S. Kwon, 1997: Change in potential productivity of rice around lake Juam due to construction of dam by SIMRIW.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46(2), 729-738. 

  35. Moon, K. H., E. Y. Song, S. H. Wi, and S. Oh, 2018: Development of a Chinese cabbage model using Microsoft Excel/VB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rest Meteorology 20, 228-232. 

  36. Nguyen, D., K. Lee, D. Kim, N. T. Anh, and B. Lee, 2014: Modeling and validation of high-temperature induced spikelets sterility in rice. Field crop research 156, 293-302. 

  37. Penning de Vries, F. W. T., D. M. Jansen, H. H. M. ten Berge, and A. H. Bakema, 1988: Simulation of ecophysiological processes in growth of several annual crops.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38. Park, D., R. Cui, and B. Lee, 2002: Relationship of spikelets number with nitrogen content, biomass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 accumulation during reproductive stage of ric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47, 486-491. 

  39. Peart, R. M., and W. D. Shoup, 2018: Agricultural Systems Modeling and Simulation. CRC press. 

  40. Sang, W., J. Kim, P. Shin, H. Cho, M. C Seo, and G. Lee, 2017: A study on grain yield response and limitations of CERES-Barley model according to soil type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50, 509-519. 

  41. Shin, J. C., and M. H. Lee, 1995: Rice production in South Korea under current and future climates. Model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rice production in ASIA. Cab international, UK, 199-214. 

  42. Yun, J., 1990: Analysis of the climatic impact on Korean rice production under the carbon dioxide scenario,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26(4), 263-742. 

  43. Yun, J., 2003: Prediction regional rice production in South Korea using spatial data and crop-growth modeling. Agricultural Systems 77, 23-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